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기타 종교
· ISBN : 979116629174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08-3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1부┃한국 유교사의 맥과 인류 종교의 미래
1 _ 밭에 감춰진 보화 같은 유교의 도(道)
2 _ 동아시아 문명화 과정과 유교
3 _ 유교 문명의 기원과 전개
4 _ 유교의 인간 이해(人)와 한국인의 사람됨(仁)
5 _ 유교적 인설(仁說)과 성학지도(聖學之道)의 종교성
6 _ 공자의 어린 시절과 어머니 안징재
7 _ 맹자의 정의(義)와 인간 삶의 조건
8 _ 맹자의 효(孝)와 유교적 궁극신앙(事天)
9 _ 16세기 조선에서 퇴계와 양명 만나다
10 _ 16세기 조선의 퇴계와 율곡, 그리고 오늘의 우리
11 _ 17세기 하곡 정제두, 주자학과 양명학의 조선적 통섭
12 _ 18세기 성호 이익, 조선의 주체성과 실학으로서의 성리학
13 _ 18세기 조선 성리학 여성 주체를 일깨우다, 임윤지당의 삶과 사유
14 _ 사유하는 집사람 강정일당의 유교 종교성과 페미니즘
15 _ 18·19세기 조선 성리학, 천학(天學)에 이르다
16 _ 순암 안정복과 하빈 신후담의 서학적 천학 비판
17 _ 18·19세기 호락논쟁의 조선 성리학, 실학을 일으키다
18 _ 19세기 조선 토양에서 다시개벽으로 탄생한 동학, 한국적 지구종교
19 _ 20세기 초 조선 유교와 민족, 홍암 나철의 대종교와 해학 이기의 진교
20 _ 한말의 의병 운동과 유교 공(公)의 영성과 종교성
21 _ 근대 유교개혁과 진암 이병헌의 유교종교화 운동
22 _ 유교와 기독교의 대화와 인류 종교의 미래
2부┃한국 종교문화사 전개와 현대 페미니즘
1 _ 한국 종교문화사를 여성주의적으로 이해하기
2 _ 무교(巫敎)와 한국 여성: 존재의 현재적 기반을 지시해 주는 무교
3 _ 불교와 한국 여성: 존재의 모든 구별과 차별을 無(무)로 돌릴 수 있는 힘
4 _ 조선 유교와 한국 여성: 일상의 삶을 聖으로 승화시키는 유교
5 _ 현대 한국 여성과 기독교 그리고 페미니즘: 여성적 자아의 확장과 전통과의 새로운 만남
6 _ 한국 여성 종교성의 세 차원: ‘통합성’(聖), ‘타자성’(性), ‘지속성’(誠)
도움 받은 책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 21세기 초 인류가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복병을 만나기 전까지 전 지구가 서구 기독교 문명의 세례를 받았지만, 그러나 지금 심각한 한계가 드러나면서 인류는 다른 길을 탐색하며 그 ‘이후’(以後, postmodern)를 찾고 있다. 나는 그 길 위에서 동방의 유교와 그 핵심 정신으로 나타나는 참된 인간정신의 선비 사유가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을 의심치 않는다. ‘한국 페미니스트 신학자의 유교 읽기-신학(神學)에서 신학(信學)으로’라는 제목으로 써 내려 가고자 하는 이 글은 이런 생각을 좀 더 구체적으로 풀어내고 변증해 가는 과정일 것이다.
우리는 ‘가장 적게 종교적이면서도 참으로 풍성하게 영적인’ 초월을 찾아 나서고자 한다. 거기서 유교 도(道)가 줄기차게 여기 지금의 지극한 일상과 평범, 정치나 교육과 같은 구체적인 세간(世間)의 삶에서 초월과 궁극을 찾는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이나 ‘극고명이도중용’(極高明而道中庸)을 말하는 것이 시선을 끈다. 그래서 이러한 모든 정황을 더는 어떤 초월적 신에 관한 이야기(神學)가 아니라 여기 지금 우리의 진정한 눈뜸과 새로운 인식(信學)이 가장 긴요한 관건이라는 의미를 담아서 이번 성찰의 부제를 ‘신학(神學)에서 신학(信學)으로’로 했다.
유교 사상의 핵심인 인(仁) 사상의 인이 고대 동이족의 이름(人方)으로부터 연원했다는 주창은 한국사람 고유의 인성과 그 인격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중략) 이러한 모든 이야기는 한국 사람의 본래 인격적 특성이 ‘사람다움’(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이는 (중략) 한국 사람의 마음이 한 시대 동아시아 보편의 선과 미의 기준이 될 수 있을 정도로 공평무사한 것이었다는 말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