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66840890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2-07-25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일러두기
서장
1. 삼판개명 자서(三版改名自序)
2. 중국 은주(殷周)의 사회 성격 문제에 관한 보충의견―대만판 서문을 대신하여
3. 자서(自序)
제1장 서주(西周) 정치 사회의 구조 성격 문제
1. 서주 노예사회론자에 대한 검토
2. 주 왕실의 종법제도
3. 주 왕실의 봉건제도와 그 기본정신
4. ‘국인(國人)’의 성격, 지위 문제
5. 토지제도와 농민
6. 농민의 지위와 생활 형편
원주
제2장 봉건 정치사회의 붕괴와 전형적 전제정치의 성립
1. 봉건 정치질서의 붕괴
(1) 주 왕실의 봉건적 지도력의 상실과 그 원인
(2) 봉건정치의 전면적 붕괴
2. 부세(賦稅) 중압에 의한 봉건사회의 해체
3. 봉건사회 해체 속에서의 국인(國人) 계층의 발전과 전환
(1) ‘상(商)’의 의미와 유래
(2) 춘추 말기의 상업 발전
(3) ‘사(士)’의 의미와 유래
(4) 춘추 말기 사(士)의 발전 중의 전환
(5) 국인(國人) 계층의 발전 전환이 정권에 미친 영향
4. 봉건 도덕의 전승 문제와 종법의 정치에서 사회로의 이동
(1) 공자가 전승한 봉건 도덕의 가치 문제
(2) 예(禮)의 전승 중의 전환
(3) 종법의 정치에서 사회로의 이동
5. 개방의 과도시대
(1) 국가 성격의 변화
(2) 상공업의 발전
(3) 사(士) 집단의 확대
(4) 정치사상의 대분야
(5) 관념상 정치사회의 개방과 폐쇄
6. 상앙 변법과 진의 통일 및 전형적 전제정치 출현과의 관계
(1) 유동사회에서 맹자가 “보민위왕(保民爲王, 백성을 보호해야 왕자가 될 수 있다)”을 말한 근거
(2) 유동사회의 배경하에서 상앙(商鞅) 변법의 부정적 의미
(3) 상앙 변법의 긍정적 의미
(4) 여불위(呂不韋)의 에피소드
7. 전형적 전제정체(專制政體)의 성립
(1) 중국과 서양의 전제의 차이
(2) 중앙 전제
(3) 일인 전제
8. 일인 전제의 다섯 가지 특성
9. 전제정치의 사회적 기초 문제
원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요컨대 나는 주대에 노예가 없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주 초 이후 3천여 년 동안 중국사회에 노예는 모두 있었다. 또한 농노가 없었다고 말하는 것도 아니다. 『국어』 「진어(晉語)」에서 곽언(郭偃)의 말 가운데 “예농(隸農)과 다름이 없어 비록 비옥한 경지를 얻어서 부지런히 가꾼다 해도 자신이 먹지 못하고 남 좋은 일만 시킬 것이다”라는구절이 있다. 이것은 예농이 사전(私田)을 소유하지 않았음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 하지만 주대 농부의 절대다수는 예농이 아니었는데 그들은 사전을 소유했기 때문이었다. 주대에 노예가 있었다고는 해도 전반적 상황으로 보아 노예는 주대 정권의 기초도 아니었고 당시 사회생산의 주요 성분도 아니었다. 주대를 노예사회로 일컫는 것은 역사사실에 위배되는 일이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종법의 친친(親親)은 주나라 봉건정치의 골수(骨髓)이다. 효제(孝悌)·예양(禮讓)·인애(仁愛)를 기저로 하는 도덕적 요구는 모두 여기서 발전한 것이다. 주나라 정치는 후세와 비교하여 특히 인도적 의미가 풍부한데 이 또한 “친친(親親)”의 뿌리에서 발전된 것이다. 고고학 발굴로 드러난 은나라 귀족의 무덤에는 항상 많은 수의 순장자가 있었다. 그러나 근년 대량 발굴된 주대의 무덤에는 거의 이러한 현상이 없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바로 은·주 교체기에 정신상의 대전환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 골수가 고갈되면 봉건정신은 파멸되고 만다.
그러나 이 봉건제도가 역사의 특정 단계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했고, 그 붕괴는 의식적이고 무의식적인 두 가지 동력 아래 장기간의 변화를 겪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봉건제도의 점차적인 붕괴 과정은 바로 전제정치의 점차적인 형성 과정이다. 내가 여기서 말하는 “전형적 전제정치”는 진대(秦代)의 단기로 끝난 전제정치를 가리킨다. 왜냐하면 진대의 전제정치는 한편으로는 물론 봉건제도의 붕괴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조건들에 의존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법가들이 오랫동안 추구해 온 정치 형태와 진정(秦政, 시황제)·이사(李斯) 등이 달성하려는 정치적 목적에 근거하여 “정치적 창의”로써 수립한 정치제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