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이병덕, 크리스티안 슈판, 권영우, 강순전, 이광모, 랄프 보이탄, 안톤 프리드리히 코흐, 스티븐 홀게이트 (지은이), 정대성, 서세동, 정대훈 (옮긴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50원
2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ISBN : 9791166841040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2-04-25

책 소개

실로 헤겔 철학은 영미권 철학에서 오랫동안 거부되었거나 겨우 주변부에서만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매우 놀랍지만 분명하게 감지되는 헤겔로의 귀환이라는 경향이 관찰되고 있다. 영미 철학에서 헤겔은 이제 헤겔 연구자들조차 놀랄 정도로 다시 활발한 논의의 중심에 서 있다.

목차

들어가며

제1부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제1장 현대 영미 분석철학의 헤겔주의적 전회: 왜 칸트가 아니라 헤겔인가? _이병덕
제2장 분석철학과 헤겔 연구의 분기점으로서 무어와 러셀에 의한 “관념론 논박” _크리스티안 슈판, 정대성 역
제3장 감각 소여의 신화와 헤겔적 전회 _권영우
제4장 칸트의 직관-개념 관계 문제에 대한 헤겔적 해결로서 맥다월의 철학 _강순전
제5장 독일 고전 철학과 현대 영미 철학에서 개념과 언어: 개념주의-비개념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_강순전

제2부 분석적 헤겔 해석과 형이상학적 헤겔
제6장 헤겔 ‘논리학’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과 그 문제들 I _이광모
제7장 헤겔 ‘논리학’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과 그 문제들 II _이광모
제8장 규범적 존재론으로서 헤겔 논리학: 형이상학적 독해의 관점들 _랄프 보이탄, 강순전 역
제9장 헤겔 철학에서 존재와 사유 _안톤 프리드리히 코흐, 권영우 역
제10장 헤겔 논리학에서 사유와 존재: 헤겔, 칸트 그리고 피핀에 대하여 _스티븐 훌게이트, 서세동·정대훈 공역

부록 한국헤겔학회 창립 30주년 및 국제학술대회 기념 기부자 명단

저자소개

강순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사 졸업 및 박사 수료, 독일학술교류처(DAAD) 장학생으로 독일 보쿰(Bochum)대학교에서 수학 후 박사학위 취득, 서울대학교 Post-doc., 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명지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 독일 훔볼트재단 장학생, 한국헤겔학회 회장 역임. 저서 Reflexion und Widerspruch. Eine entwicklungsgeschichtliche und systematische Untersuchung des Hegelschen Begriffs des Widerspruchs, Hegel-Studien Beiheft 41, 『칸트에서 헤겔로』, 『정신현상학의 이념』, 『철학수업』(2인 공저) 등 다수. 논문 Intuitiver Verstand bei Kant und Hegels Begriff des Begriffs, Kant-Studien 107:4, 「순수이성비판에서 일차적 현상과 이차적 현상의 구별 문제」, 「피히테, 셸링, 헤겔에게 있어서 칸트의 자기의식의 전개」, 「헤겔주의의 변형: 칸트 철학에 대한 맥다월의 헤겔적 해석」, 「독일 고전 철학과 현대 영미 철학에서 개념과 언어: 개념주의-비개념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등 다수. 편집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펼치기
이광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관념론과 헤겔 철학으로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악에 관한 형이상학적 고찰〉과 〈자연의 원리로서의 생명〉, 〈이성의 자기비판과 그 한계〉 등이 있으며, 《헤겔 철학과 학문의 본질》,《토론과 논증》(공저), 《논증과 글쓰기》(공저), 《세계정신의 오디세이》, 《세계 존재의 이해》(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헤겔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스티븐 홀게이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워윅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철학 교수이며 현재 영국 헤겔학회 회장이다. 『헤겔 입문: 자유, 진리, 역사』 제2판(Blackwell, 2005)과 『헤겔 논리학 개설』(Purdue University Press, 2006)을 집필했고 『헤겔 읽기』(Blackwell, 1998)를 편집하였으며 마이클 보어(Michael Baur)와 공동으로 『헤겔 안내서』(Wiley-Blackwell, 2011)를 편집하였다. 그 밖에 『헤겔, 니체 그리고 형이상학 비판』(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등을 집필했다. 최근에는 헤겔의 『미학 강의』에서 건축의 이론에 관한 논문을 완성했고, 헤겔과 들뢰즈에 관한 에세이를 계획하고 있다.
펼치기
이병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철학과에서 세계적인 논리학자인 아닐 굽타의 지도하에 논리적 역설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행정고시 공직적격성평가(PSAT) 언어논리영역 출제위원과 선정위원ㆍ법학적성시험(LEET) 추리논증영역 출제위원과 운영위원으로 참여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 전문위원ㆍ한국논리학회 회장 및 한국논리학회가 발행하는 등재지 '논리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분석철학회가 발행하는 등재지 '철학적 분석'의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 현대인식론(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과 표상의 언어에서 추론의 언어로(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7)가 있다.
펼치기
권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와 스위스 바젤대학 철학과, 독일 튀빙겐대학 철학과,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철학과에서 수학하였다. 우송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빙교수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공저로 《서양철학의 수용과 탈식민철학의 가능성》,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칸트와 헤겔에서 논리학과 형이상학의 관계에 대한 고찰〉, 〈자유주의의 내재적 문제와 헤겔의 법철학〉, 〈융복합의 관점에서 본 자연과학과 형이상학의 관계와 철학의 미래에 관한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정대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과 석사과정, 프랑크푸르트대학 철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서울대, 명지대, 단국대, 숭실대, 한국공학대에서 강의를 했다. 주요 논문으로 “Geschwister-Welt, Geschwister-Staat, “Spiel mit der Maske: Hegel und Schlegel zur Komodie”, 「정신의 도야(Bildung): 예나 시기 헤겔 철학에서 근대적인 것으로서의 도야 개념의 형성과정 및 그 의의에 대한 고찰」 「선택의지(Willkur)의 자유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칸트의 『윤리형이상학』의 한 문단(MS VI 226∼7)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표상에서 개념으로, 개념에서 표상으로: 헤겔의 학문 체계의 형성에서 표상의 위상과 기능에 대하여」 등이 있으며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공저)을 썼다.
펼치기
정대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
펼치기
서세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고 동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현재는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철학 박사과정을 이수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두 가지로 세분화될 수 있는 이 책의 주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물음으로 요약될 수 있다. 오늘날 분석철학은 헤겔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헤겔이 초기 분석철학계에서 거의 완전히 배척당한 이후에 분석철학에서 발흥하는 헤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어디에 근거하는가? 이러한 물음을 통해, 이 책은 현대 영미 철학에서 진행되는 헤겔로의 전회라는 배경하에서 헤겔 철학과 관련하여 벌어지는 풍부하고 생산적인 논쟁을 탐구한다. 들어가며


최근 셀라스, 브랜덤, 맥다월을 중심으로 일단의 현대 영미 분석철학자들이 칸트주의에서 벗어나 헤겔주의로 전회하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반실재론(또는 관점주의)과 실재론 사이의 오랜 갈등을 헤겔주의의 틀 속에서 해결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같은 사실은 분석철학이 관념론에 대한 반동으로 태동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소 아이러니한 일이다. 그렇지만 사유의 발전이 테제와 안티테제 사이의 지양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헤겔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어쩌면 자연스러운 귀결일 수도 있다. 제1장 현대 영미 분석철학의 헤겔주의적 전회


요약해 보자. 모종의 판단들은 (감성을 통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만 파악된다는 사실은 어떤 문젯거리나 (나쁜 의미의) 주관성의 징후가 아니다. 오히려 이성은 경험적 직관들 한복판에서만이 아니라 순수 개념들 한가운데서도 실재성을 띠거나 존재와 접촉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세계 그 자체가 판단의 성격을 띠고, 따라서 개념적이기 때문이다. 제2장 분석철학과 헤겔 연구의 분기점으로서 무어와 러셀에 의한 “관념론 논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