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뇌과학/인지심리학
· ISBN : 979116689081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 10
Part 1 나 자신을 알라-자기인식의 과학
1 불확실성을 추적하는 뇌 * 29
2 우리는 스스로 관찰한다 * 55
3 나를 알고 너를 알기 * 79
4 자기를 인식하는 수십억 개의 뇌 * 105
5 메타인지는 언제 실패하는가 * 136
Part 2 뇌과학으로 다시 태어난 소크라테스의 지혜
6 자신을 알아야 성공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 153
7 성공적인 결정의 비결 * 179
8 협업과 공유의 비밀 * 205
9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 228
10 기계 시대의 자기인식 * 248
11 다시, 나 자신을 알라 * 273
감사의 말 * 289
옮긴이의 말 * 293
주 * 298
참고문헌 * 315
찾아보기 * 357
리뷰
책속에서
메타인지는 인간의 마음이 가진 섬세하고 아름다우면서 솔직히 기이한 특성 중 하나로, 수 세기 전부터 과학자와 철학자들을 매료시켜왔다. 생물학자 칼 린네Carl Linnaeus는 1735년 출간한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에서 수백 종種에 이르는 생물의 외형적 특징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하지만 인간에 해당하는 사람속Genus Homo 항목에 이르러서는 “Nosce te ipsum(노스케 테 입숨)”이라고 딱 한 줄만 적었다. 라틴어로 “너 자신을 알라”는 뜻이다. 자기 자신을 아는 능력을 인간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은 것이다. _ 들어가는 말
손상을 입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 결과로 볼 때 우리는 메타인지와 관련된 전전두피질에서 차이를 발견하게 될 것으로 가정했다. 하지만 그 차이가 구체적으로 무엇일지에 대해서는 전혀 감을 잡지 못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메타인지가 좋은 사람일수록 뇌의 맨 앞쪽에 있는 전전두피질 영역인 전두극frontal pole(앞쪽전전두피질 또는 전두극피질로도 알려져 있음)에 회색질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영역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신경섬유다발에 있는 백색질도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발견을 통해 우리는 정확한 자기인식을 지원하는 뇌 회로의 일부를 우연히 만난 것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_ 4 자기를 인식하는 수십억 개의 뇌
실험자들은 학생들이 단어 짝을 외우는 동안 예상되는 과제 수행 성과에 대해 학생들 스스로 느끼는 자신감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좋아하는 공부 스타일과 실제 수행 성과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다. 스스로 시각 선호 학습자라고 밝힌 학생들은 그림을 통한 학습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고, 언어 선호 학습자라고 말한 학생들도 단어를 통한 학습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하지만 선호하는 스타일이 메타인지에는 영향을 미쳤다. 시각파는 그림을 통한 학습에, 언어파는 단어를 통한 학습에 더 자신감을 보였다. 공부 스타일 신화는 메타인지 착각—좋아하는 스타일로 공부할 때 더 자신감을 느끼는—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_ 6 자신을 알아야 성공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