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91166891489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3-05-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J. 브로노우스키 6
천사 아래 있는 존재 15
동물의 적응-인간 선택-아프리카에서의 시작-화석 증거-선견력-머리의 진화-인간의 모자이크-수렵 문화-빙하시대를 넘어서-이동방목 문화:랩족(Lapp)-동굴 그림에서의 상상력
계절의 수확 59
문화적 진화의 보조-유목 문화:바크티아리(Bakhtiari)-농경문화의 시작:밀-예리코-지진 지대-부락의 생활 기술-바퀴-동물의 가축화:말-전쟁놀이:부즈카시(Buz Kashi)-정착 문화
돌의 결 93
신세계로 오다-혈통 집단에 의한 이주의 증거-쪼개고 형상화하는 행위-구조와 위계 조직-도시:마추픽추-수직 건축:파에스툼-로마의 아치:세고비아-고딕 건축의 모험-랭스 성당-건축술로서의 과학-숨겨진 형상:미켈란젤로에서 헨리 무어까지-건설의 기쁨-물질의 보이지 않는 구조
숨겨진 구조 129
불:변형의 요인-금속의 추출:구리-합금의 구조-예술품으로서의 청동-쇠에서 강철로:일본도-황금-황금의 불멸성-인간과 자연의 연금술적 이론-파라셀수스와 화학의 도래-불과 공기:조지프 프리스틀리-앙투안 라부아지에:결합의 정량화-존 돌턴의 원자론
천구의 음악 165
수 언어-화음의 열쇠:피타고라스-직각과 삼각형-알렉산드리아의 유클리드와 프톨레마이오스-이슬람 문화의 부흥-아라비아 숫자-알람브라:공간의 무늬-결정의 대칭-알하젠의 원근법-시간 운동, 새로운 역학-변화의 수학
별의 사자(使者) 201
계절의 주기-그려지지 않은 하늘:이스터 섬-돈디 시계 속의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코페르니쿠스:중심으로서의 태양-망원경-과학적 방법의 창시자 갈릴레이-코페르니쿠스 체계의 금지령-두 체계에 관한 대화-종교재판-갈릴레이의 항복-과학혁명의 북상
장엄한 시계 장치 241
케플러의 법칙-세계의 중심-아이작 뉴턴의 발견들:유율법(fluxions)-스펙트럼을 펼치다-중력과 『원리』-지성적 독재자-풍자의 도전-뉴턴의 절대 공간-절대 시간-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여행자는 자기의 시간과 공간을 가지고 있다-증명된 상대성-새로운 철학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마추픽추는 1500년경 잉카 제국의 절정기에 건설되었다. 이들의 계단식 농경문화의 핵심에는 관개시설이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강력한 중앙의 권위가 요구된다. 그 권위의 통신망은 도로, 다리, 통신이라는 3개의 고리가 지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리 아래에는 아치가 없었으며 통신은 문자로 씌어지지 않았고, 도로에는 바퀴 달린 수레가 없었다. …… 인류의 기념비들은 군왕들과 종교, 영웅들과 신조를 찬양하기 위해 세워졌다고 생각되어 왔으나, 궁극적으로 찬미되는 것은 그것을 건설한 사람이다. 그러므로 모든 문명의 위대한 신전 건축은 개인이 곧 인류와 하나가 됨을 표현한다. / 돌의 결
마야인들은 유럽보다 훨씬 앞선 수체계(그들에게는 ‘0’의 기호가 있었다)를 가지고 있었지만, 간단한 것을 제외하고는 별의 운동을 작성한 적이 없었다. 왜 못했을까? 한 가지 분명한 이유는 남반구의 하늘에 북극성이 없다는 데 있다. 하지만 그들에게 천문학이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위대한 상상력, 즉 바퀴 같은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천체가 축을 중심으로 돈다는 생각은 콜럼버스가 출항할 때 그에게 영감을 주었고, 그 축은 둥근 지구였다. / 별의 사자
제임스 브린들리는 열일곱 살에 물레방아를 만들며 자수성가의 생애를 시작했다. 또한 공장과 광산의 토목공사를 하러 다니며 운하들을 독자적인 계획에 따라 조사하여 400마일이나 되는 운하를 건설, 영국 전역에 수로망을 형성했다. 운하망을 건설하는 데는 두 가지 요소가 두드러지는데 이것이 산업혁명 전반의 성격을 규정한다. 하나는 산업혁명을 이룩한 사람들이 실용적이었다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새로운 발명, 발견들이 일상생활에 이용되었다는 점이다. 운하를 통해 잡다한 물건들이 운반되었고, 촌락에서 생산된 물건들은 전국적인 교역이 가능해졌다. …… 동력은 과학의 새로운 관심사, 어떤 의미로는 새로운 사상이다.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과학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탐색하는 일에만 전념했지만 이제는 자연을 변형시켜 동력을 얻으며, 한 형태의 동력을 다른 형태의 동력으로 전환한다는 ‘에너지’에 대한 근대적 개념이 과학의 첨단에 나타났다. / 동력을 찾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