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91193878156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목차
서문. 『청소년을 위한 과학 인문학』을 펴내며
제1장. 상상력과 창의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상상력과 창의성에 대한 오해
- 코페르니쿠스의 상상력
- 토마스 쿤
- 과학혁명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수렴적 사고와 발산적 사고
- 이행기적 인물로서의 코페르니쿠스
- 특허청의 아인슈타인
- 훌륭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제2장. 직립 그날 이후
- 과학 하기
- 직립 이후
- 우리 몸의 변화들
- 발의 변화
- 손의 변화
- 위의 변화
- 털의 변화
- 흔적 기관
- 양육과 협력
- 직립과 인간
제3장.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 낯설게 하기를 통해 탄생한 현대의 진화 이론
- 그리 오래되지 않은 옛날이야기
- 태초에 훔볼트가 있었다
- 다윈, 다윈, 다윈
- 월리스와 자연선택
- 월컷의 버제스 셰일 화석 발견
- 다리 달린 물고기를 찾은 닐 슈빈
- 모든 것과 연결된 우리를 찾아서
제4장. 무지의 혁명과 과학혁명
-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 우리는 모른다, 이그노라무스
-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
- 이그노라무스의 정신을 위하여
제5장. 코페르니쿠스 혁명
- 코페르니쿠스의 영향
- 티코 체계
- 갈릴레오의 재판
- 케플러의 새 천문학
제6장. 우주와 우리의 삶
- 현재까지 우리가 알아낸 우주의 역사
- 우주 탐사의 시작
- 우주로 보낸 메시지
- 사진에 찍힌 작고 창백한 푸른 점
- 지구 밖 자연의 확장, 우주 개발 시작
- 개발된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
- 우주 개발의 시대, 문제는 없을까?
- 우주 개발의 시선, 무엇이 필요할까?
제7장. 왕진 의사를 통해 보는 의학의 휴머니즘
- 왕진은 운명을 다한 구시대의 유물일까?
- 왕진하는 의사
- 히포크라테스도 왕진을 했다?
- 의료의 목표는 무엇인가?
제8장. 코로나바이러스가 우리에게 알려준 것들
-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 감염병들
- 천연두, 질병의 세계화
- 티푸스, 나폴레옹 군대의 패배
- 조선에서의 감염병
- 코로나바이러스, 페스트, 그리고 뉴노멀
- 코로나바이러스가 알려준 것들
제9장. 생태적인 삶
- 여는 글_ 등산 안내문
- 기후 위기와 생태 위기는 어떻게 다른가?
- 이 문제에 누가 책임이 있을까?
- 생태 배낭이란 무엇일까?
- 경제와 자연은 두 개의 다른 영역인가?
- 생태적인 삶은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삶일까?
- 생태적인 삶은 행복한 삶일까?
- 닫는 글_ 하산 안내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과학은 과학자라는 직업이 존재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사회의 주요한 제도이며, 과학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 주목하면 그 자체로 인간 활동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과학은 여러 모습을 갖고 있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는 과학이 사회와 무관하지 않고 사회 속에서, 사회적 요소와 상호작용하면서, 서로를 변형하고 또 서로를 새로운 모습으로 창조하면서 진행되는 인간 활동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과학을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펼쳐지는 인간 세상의 중요한 문화로 인식하고, 과학이 우리 모두의 바람직한 미래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 것인지를 성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상상력과 창의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각종 기계 장치들이 사람이 할 일 중에서 자동화가 가능한 영역을 빠르게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한 인간의 영역이라고 여겨지는 상상력과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자연스럽습니다. 사실 엄격하게 따지자면 인공지능을 비롯한 대부분의 기술이 인간의 상상력이나 창의성을 흉내낸 것에 불과하기에 진정한 창의성은 여전히 인간의 몫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뛰어난 기술이라도 진정으로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수 없다고 원리적으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사람들도 이미 앞선 사람들의 상상력과 창의성의 산물을 사용하고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훌륭한 상상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영장류 중에서 현재 우리 사람만이 두 발로 서서 걷습니다.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과거 어느 순간 이렇게 곧추서게 되었다는 사실이야말로 인류가 지금과 같은 발전을 이룩하는 데 있어 획기적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고인류 선조가 왜 이런 놀라운 결정을 하게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가 발굴된 뼛조각 들을 가지고 여러 설명을 하고 있지만 선명하게 와닿는 주장은 거의 없습니다. 그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