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독서심리학

독서심리학

(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폴라 J. 슈와넨플루겔, 낸시 플래너건 냅 (지은이), 서혁, 윤준채, 이소라, 류수경, 오은하, 편지윤, 윤희성, 변은지, 한지수 (옮긴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870원
28,130원 >
27,550원 -5% 0원
카드할인 10%
2,755원
24,79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독서심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독서심리학 (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7070227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심리학과 교육학을 접목한 새로운 독서 교육 안내서. 아동이 좀 더 잘 읽을 수 있는 방법론에 치중해 온 기존의 독서 교육의 한계를 넘어 최근의 심리학적 이론과 연구 성과를 끌어들여 아동의 발달 순서에 따른 독서 교육의 필요성을 설파한다.

목차

옮긴이 서문 5

01 서론 17
1. 왜 심리학자들은 독서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20
2. 왜 독서 교사들은 심리학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22
3. 독서와 관련된 주요 두 심리학파: ‘인지적 정보처리’와 ‘구성주의’ 23
4. 이 책의 구성과 방향 37
3. 형제자매와 조부모 65
4. 읽기 습득 및 발달에 대한 빈곤의 영향 69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초기 읽기 발달 지원을 위한 가족과의 협력 78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82

02 가정과 독서 39
1. 구어 발달과 읽기 42
2. 초기 읽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문식성 요인 50
3. 형제자매와 조부모 65
4. 읽기 습득 및 발달에 대한 빈곤의 영향 69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초기 읽기 발달 지원을 위한 가족과의 협력 78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82

03 발생적 문식성 87
1. 읽기 준비도 관점 90
2. 발생적 문식성 관점 92
3. 환경적 문자 97
4. 알파벳 지식 101
5. 음운 인식과 음소 인식 109
6. 해독 관련 기능과 음성언어 및 어휘와의 관련성 118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121
8. 결론 124

04 단어 읽기 학습 127
1. 낱자-소리-의미의 연결 130
2. 철자의 규칙성 131
3. 단어 읽기 학습의 단계 135
4. 파닉스 지식 이외의 요인 141
5. 수업을 위한 시사점 146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156
7. 결론 159

05 능숙한 단어 읽기 163
1. 낱자 재인 166
2. 자소-음소 대응과 능숙한 단어 재인 169
3. 단어 재인 모형 176
4. 개별 단어의 특성과 그것이 단어 읽기에 주는 영향 183
5. 후속 단어 읽기에 대한 의미 맥락의 효과 199
6. 평가를 위한 함의 206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07

06 읽기 유창성 211
1. 음독 유창성이란 무엇인가 214
2. 유창성과 독해의 관계 227
3. 읽기 발달 과정에서의 유창성 232
4. 묵독으로의 전이 236
5. 이중 언어와 읽기 유창성 240
6. 수업을 위한 시사점 241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44

07 어휘 249
1. 어휘 지식의 차원 256
2. 아동은 얼마나 많은 단어를 알고 있는가 261
3. 학령기 아동이 발달해야 하는 중요한 어휘 영역 266
4. 왜 풍부한 어휘를 갖는 것이 중요한가 270
5.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 277
6. 새로운 단어 학습을 위한 교실 수업 288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93

08 독해(읽기 이해) 모형 299
1. 읽기에 대한 단순 관점 304
2. 스키마 이론 관점 309
3. 구성-통합 모형 322
4. 직접·추론 매개 모형 332
5. 결론 336

09 독해(읽기 이해)의 구성 요소 339
1. 사전지식 341
2. 추론 347
3. 독해 전략 363
4.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독해를 촉진하는 교실 수업 379
5.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383

10 읽기 동기 389
1. 읽기 동기의 기대×가치 모형 395
2. 읽기 성공에 대한 기대 398
3. 독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9
4. 독서에서 목표 지향 425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읽기 동기를 향상시키는 교실 수업 429
6. 읽기 동기 측정하기 435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439

11 언어적 차이와 읽기 학습 443
1. 문자 체계와 읽기 학습 446
2. 제2 언어에서의 읽기 학습 458
3. 방언과 읽기 학습 467
4.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474
5. 결론 476

12 독서의 이유: 독서의 심리사회적 혜택 479
1. 독서가 주는 인지적 혜택 483
2. 문식성이 주는 사회·정서적 혜택 489
3. 문식성이 주는 사회적 혜택 493
4. 결론 496
5. 교육과정과의 연계 497

13 읽기 평가 501
1. 읽기 평가의 개념과 읽기 평가 관점의 변화 503
2. 읽기 평가의 목적 507
3. 읽기 평가의 원리 508
4. 읽기 평가의 내용 511
5. 읽기 평가의 방법 514
6. 읽기 평가 결과의 활용 523

주 526
참고문헌 542
찾아보기 597

저자소개

폴라 J. 슈와넨플루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조지아 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명예교수이다. 독서심리학, 심리언어학, 아동발달에 대한 연구와 교육에 힘써 왔으며, 언어학 및 인지과학 프로그램 개발에도 관여해 왔다. 읽기 유창성, 어휘 처리 과정, 의미 발달, 어휘 지식에 대한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를 하면서, 문식성과 관련한 대규모 학교 기반 중재 연구를 수행해 왔다. 심리학, 교육학 관련 학술 논문과 독서(읽기) 관련 공저가 다수 있다. 최근까지 문식성 발달과 관련한 이론적 기반의 교육 실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The Psychology of Word Meanings(2013)와 PAVEd for Success: Building Vocabulary and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Learners(2011)를 출간했다.
펼치기
낸시 플래너건 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조지아 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부교수로, 학습, 설계, 테크놀로지를 담당하며 20년간 독서심리학을 강의해 왔다. 문식성과 학습 이론에 관한 과목을 주로 가르친다. 최근에는 유·초·중등(K-12) 및 대학생 수준의 읽기 부진 독자를 위한 교수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전문적인 코스 개발과 세미나를 수행해 왔다. 특히 중등학교와 대학의 학문 목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도제식 읽기(Reading Apprenticeship) 프로그램, 초등학교 읽기 부진 학습자를 위한 2단계(Tier 2) 중재 프로그램 개발자이기도 하다. 문식성에 관한 학술 논문을 다수 발표했으며, 학술지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y의 창간 에디터이다.
펼치기
서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독서(읽기)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 연구」(2011), 『국어교육학과 사고』(공저, 2007),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공저, 2007), 『더 나은 수업을 위한 셀프스터디』(공역, 2014), 『독서교육론』(공저, 2015), 『독서심리학』(공역, 2021)
펼치기
윤준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구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대구교육대학교 난독증연구소장. 주요 공저로 『초등 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독서교육의 이해?독서의 개념·지도·평가』, 『비판적 사고와 교실 수업』 등이 있고, 역서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어휘 지도』, 『읽기 전략과 읽기 수업』(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소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주요 논문으로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글 읽기와 눈동자 움직임 특성 분석」, 「인식론적 신념이 독자 신념과 다문서 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 「인식론적 신념, 읽기 전략에 대한 상위인지 및 다중관점 읽기의 구조적 관계 분석」 등이 있다.
펼치기
류수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주요 논문으로 「내재적 독서 동기 촉진 교수 전략에 대한 이론적 탐색: 외적 보상이 내재적 독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이론에 기반한 해외 중등학교 과제 중심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의사소통 과제 활동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오은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원대학교 교양학부 객원 교수직을 거쳐 지금은 이화여대, 경인교대, 세종대, 경기대에서 국어교육론, 독서교육론, 작문교육론, 국어과 교육과정 및 평가, 사고와 표현 등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 논문은 「다문서의 텍스트성에 대한 교육적 고찰」,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 독자들의 읽기 행동 분석」, 「성인의 어휘 능력 조사 결과 분석?어휘 등급과 응답자 수준 비교를 중심으로」, 「통합적 국어교육의 내용 마련을 위한 예비 교사의 언어 활동 인식 분석?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대한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공동 번역서로 『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독서심리학』이 있다.
펼치기
편지윤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라대학교 교양과정부 조교수. 주요 논문으로 「행위주도적 독자(Agent Reader) 형성을 위한 읽기 교육 연구」, 「청소년 독자의 읽기 활동체제(activity system) 분석: 우수한 고등학생 독자의 ‘의미 있는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읽기 관여(reading engagement)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은유분석을 통해 본 초·중·고등학생의 읽기 개념 인식의 발달적 경향」 등이 있다.
펼치기
윤희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주요 논문(공동)으로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Degree of 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2)」, 「다문화 교육지원 전달체계 연구」가 있고, 「이주배경청소년 진로탄력성 프로그램 ‘진로탄탄’ 프로그램 개발」, 「탈북학생을 위한 표준 보충교재 ‘돋움 국어’ 및 진단 도구 개발」 등의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했다.
펼치기
변은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주요 논문(공동)으로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문자 텍스트 읽기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한지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주요 논문(공동)으로 「복합양식 텍스트성으로서의 영상성의 의미 고찰」, “How is culture represented in textbooks?‘marriage’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Cogent Education”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