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7070227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5
01 서론 17
1. 왜 심리학자들은 독서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20
2. 왜 독서 교사들은 심리학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22
3. 독서와 관련된 주요 두 심리학파: ‘인지적 정보처리’와 ‘구성주의’ 23
4. 이 책의 구성과 방향 37
3. 형제자매와 조부모 65
4. 읽기 습득 및 발달에 대한 빈곤의 영향 69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초기 읽기 발달 지원을 위한 가족과의 협력 78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82
02 가정과 독서 39
1. 구어 발달과 읽기 42
2. 초기 읽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문식성 요인 50
3. 형제자매와 조부모 65
4. 읽기 습득 및 발달에 대한 빈곤의 영향 69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초기 읽기 발달 지원을 위한 가족과의 협력 78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82
03 발생적 문식성 87
1. 읽기 준비도 관점 90
2. 발생적 문식성 관점 92
3. 환경적 문자 97
4. 알파벳 지식 101
5. 음운 인식과 음소 인식 109
6. 해독 관련 기능과 음성언어 및 어휘와의 관련성 118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121
8. 결론 124
04 단어 읽기 학습 127
1. 낱자-소리-의미의 연결 130
2. 철자의 규칙성 131
3. 단어 읽기 학습의 단계 135
4. 파닉스 지식 이외의 요인 141
5. 수업을 위한 시사점 146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156
7. 결론 159
05 능숙한 단어 읽기 163
1. 낱자 재인 166
2. 자소-음소 대응과 능숙한 단어 재인 169
3. 단어 재인 모형 176
4. 개별 단어의 특성과 그것이 단어 읽기에 주는 영향 183
5. 후속 단어 읽기에 대한 의미 맥락의 효과 199
6. 평가를 위한 함의 206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07
06 읽기 유창성 211
1. 음독 유창성이란 무엇인가 214
2. 유창성과 독해의 관계 227
3. 읽기 발달 과정에서의 유창성 232
4. 묵독으로의 전이 236
5. 이중 언어와 읽기 유창성 240
6. 수업을 위한 시사점 241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44
07 어휘 249
1. 어휘 지식의 차원 256
2. 아동은 얼마나 많은 단어를 알고 있는가 261
3. 학령기 아동이 발달해야 하는 중요한 어휘 영역 266
4. 왜 풍부한 어휘를 갖는 것이 중요한가 270
5.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 277
6. 새로운 단어 학습을 위한 교실 수업 288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93
08 독해(읽기 이해) 모형 299
1. 읽기에 대한 단순 관점 304
2. 스키마 이론 관점 309
3. 구성-통합 모형 322
4. 직접·추론 매개 모형 332
5. 결론 336
09 독해(읽기 이해)의 구성 요소 339
1. 사전지식 341
2. 추론 347
3. 독해 전략 363
4.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독해를 촉진하는 교실 수업 379
5.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383
10 읽기 동기 389
1. 읽기 동기의 기대×가치 모형 395
2. 읽기 성공에 대한 기대 398
3. 독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9
4. 독서에서 목표 지향 425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읽기 동기를 향상시키는 교실 수업 429
6. 읽기 동기 측정하기 435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439
11 언어적 차이와 읽기 학습 443
1. 문자 체계와 읽기 학습 446
2. 제2 언어에서의 읽기 학습 458
3. 방언과 읽기 학습 467
4.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474
5. 결론 476
12 독서의 이유: 독서의 심리사회적 혜택 479
1. 독서가 주는 인지적 혜택 483
2. 문식성이 주는 사회·정서적 혜택 489
3. 문식성이 주는 사회적 혜택 493
4. 결론 496
5. 교육과정과의 연계 497
13 읽기 평가 501
1. 읽기 평가의 개념과 읽기 평가 관점의 변화 503
2. 읽기 평가의 목적 507
3. 읽기 평가의 원리 508
4. 읽기 평가의 내용 511
5. 읽기 평가의 방법 514
6. 읽기 평가 결과의 활용 523
주 526
참고문헌 542
찾아보기 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