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707075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9-1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글
감사의 글
1 서론
패션의 어원 | 개념과 현상으로서의 패션 | 패션의 지지자와 반대자 | 사회과학에서의 패션 연구 | 책의 개요 | 더 읽을 거리
2 패션에 관한 사회학적 담론과 실증적 연구
패션의 고전 사회학 담론 | 패션, 모더니티, 사회적 이동성 | 패션 현상의 기원 | 패션의 현대 사회학 연구 | 패션과 문화사회학 | 생산된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패션 | 청년 패션, 하위문화, 테크놀로지 | 결론 | 더 읽을 거리
3 제도화된 시스템으로서의 패션
패셔놀로지의 이론적 틀 | 시스템이 뒷받침하는 신화로서의 패션 | 패션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접근법 | 패션 시스템의 시작 | 집단 활동으로서의 패션 생산 | 실증적 연구: 원형으로서의 프랑스 패션 시스템 | 결론 | 더 읽을 거리
4 디자이너: 패션의 화신
패션 연구에서의 디자이너 | 디자이너, 창의성, 사회 구조 | 디자이너 창의성의 정당화 | 디자이너의 스타 시스템 | 패션 시스템 내 디자이너 간의 위계질서 | 결론 | 더 읽을 거리
5 패션 생산, 게이트키핑, 확산
패션 확산 이론 | 패션 게이트키퍼: 미학적 판단 | 패션 인형에서 패션쇼까지, 패션 확산 전략 | 광고를 통한 패션 선전 | 결론 | 더 읽을 거리
6 패션의 채택 및 소비
소비: 역사적 관점 | 상징적 건략으로서의 패션 소비 | 소비와 사회적 지위 | 결론 | 더 읽을 거리
7 대안적 시스템으로서 청년 하위문화 패션
하위문화의 이론적 기초 | 포스트하위문화 이론과 현대 청년 하위문화 | 청년 하위문화 및 패션에 관한 시스템적 접근 | 펑크: 덜 구조화된 대안적 패션 시스템의 원형 | 대안적 패션 시스템의 내부 메커니즘 | 결론 | 더 읽을 거리
8 테크놀로지가 변화하는 패션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수평전파 이론의 실제: 범주 간 경계의 붕괴 | 패션의 변화하는 직업 구조 | 파리에서 세계로, 패션 지형의 탈중심화 | 결론 | 더 읽을 거리
9 결론
부록: 패션과 복식의 사회학적 연구를 위한 실용 가이드
본문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