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67071675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4-11-27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들어가는 말/ 임신중절, 왜 도덕 문제인가
윤리를 묻는 이유 | 임신중절이란 | 임신중절 물음의 특수성: 그 어디에도 없는 충돌 | 개인적 문제와 정치적 문제 | 세 가지 입장
1장/ 자유주의 입장
권리 이론의 한계 | 태아의 도덕적 지위를 부정하는 워런 | 툴리의 주장은 유아 살해까지도 허용한다 | 임신중절, 무례하지만 부당하지 않다 | 도덕적 회의주의: 모든 입장은 그저 하나의 기호다
2장/ 보수주의 입장
자연법과 보수주의 | 미끄러운 언덕길 논증 | 수정은 도덕적으로 왜 중요한가 | 인간 생명의 시작에 관하여 | 출생의 의미
3장/ 도덕적 지위론
도덕적 지위란 무엇인가 | 도덕적 지위를 정하는 기준들 | 쾌락과 고통을 느끼는 능력 | 유정적 존재의 경계
4장/ 죽음은 왜 악인가
에피쿠로스 논증 | 미래 가치 손실 논증 | 미래 가치는 누가, 더 지니는가 | 자아동일성과 죽음의 악
5장/ 자아동일성 입론
잠재성 논증 | 잠재적인 존재 | ‘될 잠재성’과 ‘산출할 잠재성’ | 단계 이론과 과정 이론 | 수정 논증과 분절 논증
6장/ 가치 논변
권리 논변 대 가치 논변 | 태아는 본래적 가치를 지닌다 | 가치 논변의 실천적 함의와 그 비판 | 이론적 한계 | 죽임과 죽음
7장/ 정당방위
이중효과 원리 | 정당방위 권리 | 누구의 생명을 구할 것인가 | 딜레마
8장/ 의학의 발달
생식보조 의술이 가져온 것 | 새롭게 논의되는 잠재성 논증 | 확률적 존재들 | 사후피임약의 윤리 | 성윤리 문란이냐 여성 해방이냐
9장/ 페미니즘
핵심은 생명이 아니라 성 | 도덕적 칭찬을 받겠지만 | 여성 해방과 미래지향적 책임 | 신체적 자율권 | 임신중절 권리와 양성평등
맺는말/ 사회적 임신중절
반성적 평형의 방법과 신보수주의 | 공공 정의에 관한 물음 | 또 하나의 성 불평등 그리고 사회적 임신중절 | 윤리의 상향평준화: 남성에게도 동등한 책임을
부록/ 임신중절과 법: 헌법재판소 결정에 관한 ‘윤리 법정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명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다른 사람의 몸을 사용할 권리를 가지는 것이 아니며, 다른 사람의 몸에 대한 지속적인 사용이 허락되어야 한다는 권리를 가진 것도 아니다.” 따라서 기생 관계에 있는 임신 상황에서, 비록 태아가 자유권으로 생명권을 지녀도 산모는 얼마든지 자기 몸의 사용을 거절할 권리를 가지기에 임신중절은 허용되어야 한다는 게 톰슨의 지적이다.
―1장 「자유주의 입장」
사실 인류의 역사는 도덕적 지위를 지닌 존재의 외연 확장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 흑인들은 주인의 소유물인 노예로서, 아무런 도덕적 권리가 없지 않았는가? 여성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여성과 흑인은 물론이거니와 쾌와 고통을 느끼는 고등 동물에 대해서도 ‘동물의 권리’ 내지 ‘동물 해방’을 주장하는 철학자들이 제법 많아졌다. 이러한 외연 확장은 오늘날 AI 로봇까지 확장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고등 동물이나 로봇 혹은 외계인도 도덕적 지위를 지니느냐는 물음은 응용윤리학에서 중요한 도덕적 물음이지만, 여기서 우리는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물음에 국한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3장 「도덕적 지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