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67428745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4-12-2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한국한자음 연구 30년(1991~2020)
제1부 서론
제1장 연구 개설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자료 개관
3. 한자음 관련 자료별 연구 절차와 방법
제2장 고대 한국한자음 기층음의 형성과 전개
1. 한자문화의 전래와 수용
2. 고유명사 표기의 등장
3. 외교 접촉 기록과 출토 문자자료의 관계
4. 맺음말
제2부 본론: 자료 각론 및 연구 종합
제3장 6세기 신라 금석문
1. 머리말
2.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 및 표기자 정리
3.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과 그 의의
4. 맺음말
제4장 함안 성산산성 목간
1. 머리말
2. 목간 판독 및 원문 구조 분석
3.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 및 표기자 정리
4.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
5. 고유명사 이표기례 분석
6. 맺음말
제5장 『묘법연화경석문妙法蓮華經釋文』
1. 머리말
2. 주석 자료의 수집과 정리
3. 통일신라의 한자문화 분석
4. 맺음말
제6장 오타니大谷대학 소장 『판비량론判比量論』 단간
1. 머리말
2. 원문의 판독과 해석
3. 각필점의 수집과 정리
4. 각필점들의 언어문화사적 의의 탐색
5. 맺음말
제7장 동대사 도서관 소장 『대방광불화엄경』 권12~20
1. 머리말
2. 원문의 판독과 해석
3. 종류별 한자음 관련 각필점 개관 및 고찰
4. 맺음말
제8장 최치원의 찬술
1. 머리말
2. 최치원의 협주 분석
3. 사산비명 비명시 압운 분석
4. 맺음말
제9장 11~13세기 초 고려시대 불서류
1. 머리말
2. 개별 자료 검토
3. 11~13세기 초 한국한자음의 특징
제10장 연구 종합 및 결론
1. 장별 연구 내용 요약
2. 고대 한국한자음의 체계성 검증
3. 결론 및 남은 과제
에필로그: 저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