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죽간 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죽간 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권인한, 김경호, 이승률 (엮은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죽간 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죽간 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9868630
· 쪽수 : 391쪽
· 출판일 : 2011-01-10

책 소개

동아시아학 분야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는 ‘자료학’에 관한 최근 성과들을 담은 연구서이다. 이 책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과정에서 죽간과 목간이라는 ‘시원始原적인 서사재료’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문자(한자)’의 역할과 전근대 동아시아의 사회질서와 문화의 다양성 등에 주목하면서, 동아시아학이라는 사유의 진폭을 넓혀 나간다.

목차

· 책을 펴내면서

1부 고대 동아시아 목간 연구의 현황

·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목간 출토 및 연구 현황...............................................................김경호
· 한국목간연구의 현재―신라목간연구의 성과를 중심으로.........................................................이성시
· 중국의 목간.............................................이승률

2부 한국 목간의 세계

· 목간으로 본 한자문화의 수용과 변용.....윤선태
· 한국 경주 안압지 출토 ‘책사’ 목간에 관한 시론................................................뤼징·이하얀·쟝러

3부 문자와 언어의 세계

· 목간을 통해본 한국의 문자와 언어........이용현
· 출토자료를 통해서 본 중국 고대의 문자와 언어................................................오오니시 가쓰야
일본 고대의 문자와 언어.........미카미 요시타카

4부 목간과 진한제국

· 상서 리야진간里耶秦簡과 진대秦代 역사 연구...............................................................부셴친
리야 행정문서의 운영을 통해본 진왕조의 기층통치............................................................후핑셩
수학과 한대漢代의 국토관리....................펑하오
《한서·문제기》“양로령養老令” 신고....쟈오카이

· 찾아보기

저자소개

권인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사(1985.2.), 문학석사(1987.2.), 문학박사(1995.8.) 국어연구소 연구원 및 국립국어연구원 학예연구사(1990.7.~1996.2.)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부교수(1996.3.~2002.2.)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교수(2002.3.~현재) 【주요 논저】 『조선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태학사, 1998), 『중세한국한자음훈집성』(J&C, 2005/개정판 2009), 『동아시아 자료학의 가능성』(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_공편), 『학문장과 동아시아』(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_공저),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_공저), 『광개토왕비문 신연구』(박문사, 2015), 『신라의 언어와 문학』(경상북도, 2016_공저), 「고대 한국한자음의 연구(Ⅰ~Ⅴ)」(2016~2022) 등 다수
펼치기
김경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중국고대사(전국·진한시기)와 출토 문헌 및 고대동아시아사 전공. 전국·진한시기 국가권력의 성격, 변경 지역의 실태, 사상 문화의 보급 및 고대 중국과 한국의 관계 등을 연구해 왔다. 주요 논문으로 「전한시기 『논어(論語)』의 전파와 그 내용-새로운 출토문헌 『논어(論語)』의 『제론(齊論)』설과 관련하여-」(2018), 「前漢時期 西域 境界를 왕래한 使者들 -『敦煌懸泉置漢簡』 기사를 중심으로」(2021) 외 다수와 주요 역서로 『문자의 발견-역사를 흔들다』(2016), 『간독이란 무엇인가?』(2017),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청도에서 태어나 경북고, 동국대 철학과(학사 및 석사)를 졸업했으며 50대 초반에 중국 연변대학교 대학원(국제정치학 석사), 중앙민족대학교 대학원(민족학계 법학박사)에서 관심분야 공부를 계속했다. 젊은날 방황하던 중에 아내의 전공(조경)을 살려 건설회사를 창립했고, 이를 발전시켜 가는 과정에 인생 후반에 극적인 대전환을 겪으며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다루는 전문가 집단의 수장으로 변신했다. 1990년 초 가족들의 손에 이끌려 교회에 다니게 됐으며, 그해 가을 북경에서 우연히 김진경 총장을 만나 연변과학기술대학 건립과 학사 운영에 참여하게 되면서 새로운 삶의 양식(자비량 봉사와 헌신)과 민족사관에 눈뜨게 되었다. 중국 소수민족정책을 학문적으로 연구했고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 진출을 돕는 한편, 조선족 청년기업 육성 및 고려인 유학생 교육선교에 힘쓰면서 중국과 중앙아시아를 잇는 CBMC(기독실업인회) 실크로드 사역에도 선도적 역할을 감당했다. 2001년 봄에 남북한 합작 교육사업으로 승인된 평양과학기술대학의 건축위원장과 대외부총장을 역임하면서 한반도 통일사역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동북아 국제협력을 통한 통일정책을 연구하는 한편, 다음세대 인재양성과 코리언 디아스포라 네트워크를 위해 (사)동북아공동체문화재단이라는 싱크탱크를 설립(통일부 등록, 2007)하여 각종 국제컨퍼런스와 정책세미나, 장학사업 등을 운영해 왔다. 한국CBMC중앙회장을 역임하여 비즈니스 미션(BAM)을 확장하는 데 힘써 왔으며, 국가조찬기도회 부회장으로서 기독교 일치와 갱신을 위해 노력하였다. 무엇보다 가족기업으로 창립(2012년)한 참포도나무병원을 통하여 해외 개발도상국 및 국내 지역사회 약자를 돌보는 ‘이웃사랑 의료봉사’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2021년부터 평양과학기술대학 제3대 공동운영총장으로서 남북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인생의 마지막 헌신을 도모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나무와 비단과 나무는 이미 언급했듯이 보편과 특수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모두 보편적인 서사재료에 속한다. 대나무를 폭 0.4~1cm 정도로 가늘고 길게 다듬고 살청殺靑하여 서사용으로 만든 다음 그 위에 먹이나 주사?沙로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린 것을 ‘죽간竹簡’이라고 하는데, 특히 ‘간 簡’이라고 할 때에는 보통 일행용一行用을 의미한다. 복수의 행으로 서사할 수 있도록 너비를 좀 더 넓게 다듬어 놓은 것은 ‘죽독竹牘’이라고 한다. 죽독의 경우는 원통형의 대나무의 형태적 특징상 타원형의 모양이 된다. 대나무의 경우 현재까지 출토된 예를 보면 죽간이 거의 대부분이다(본문 74~75쪽, ‘중국의 목간’ 중에서).


그러므로 한자의 전파란 일방적으로 중국의 문자인 한문을 소통시킨 것이 아니라, 각 지역에서 독자적인 사용 방법으로 변용되면서 문화 형성을 촉진시키거나, 지역 상호간의 의사를 전달하고, 소통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본문 6쪽, ‘책을 펴내면서’ 중에서).


1975년 4월 한국 경주 안압지 유적에서 51점의 목간이 출토되었다. 이것은 제2차 세계대전 종료 이전 평양(옛 낙랑군) 한대漢代 유적에서 출토된 목간을 제외하면, 근년에 한반도에서 발굴된 가장 오래된 목간이자 한국인이 한자를 서사한 최초의 유물이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목간 중에는 ‘책사策事’로 추정되는 문자가 서사되어 있는 두 점의 목간이 있다. ‘책사’란 본래 황제와 신료 사이에서 박학을 겨루는 유희 문화의 한 종류로서 중국 남조南朝 시기에 출현하였다. 그 후 점차 사인士人들의 재능과 학문을 평가하는 찰거察擧 시험으로 이용되면서 우수한 관리를 선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렇다면 신라왕조의 궁원지에서 ‘책사’ 목간이 발견된 이러한 특이한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8세기 신라왕조에서 ‘책사’가 갖는 의미와 본질은 과연 무엇인가? ‘책사’ 목간이 발견된 것은 한반도 고대 사회를 이해하고 파악하는 데에 어떤 의의가 있는가?(본문 147~148쪽, ‘한국 경주 안압지 출토 책사 목간에 관한 시론’ 중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