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67522801
· 쪽수 : 630쪽
· 출판일 : 2023-04-05
책 소개
목차
제11장 6·15, 10·4 선언과 인혁당 무죄투쟁
01 김대중 정권의 통일 정책과 통일대축전의 무산
02 민화련·민화협의 출범 그리고 범민련과의 갈등
03 마지막 범민족대회
04 범민족대회의 소멸과 6·15 공동선언
05 6·15 공동위원회의 성립과 10·4 선언
06 인혁당 무죄투쟁
07 무죄 받고도 죄인이 되다
08 박정희가 물고문·전기 고문하더니 박근혜가 ‘이자 고문’ 하더라
제12장 반-통일 정책과 통일운동의 불씨
01 전창일이 바라보는 한국 정치 현실과 미래
02 5·24 조치와 대북 제재
03 반국가단체와 이적단체 그리고 통일운동의 불씨
04 강희남 목사와 연방통추
05 통일대박론과 촛불 정국
06 남북정상회담과 조미정상회담
07 전창일과 청년들
표 목차
표21: 범민족대회 개최 일람표
표22: 6·15 북측위 임원 명단
표23: 6·15 남측위 임원 명단
표24: 6·15 해외위 임원 명단
표25: 인혁당·민족일보·아람회 사건 국가 상대 손해배상청구소송
표26: 천안함 침몰상황과 원인
표27: 천안함 침몰 보도 목록
표28: 반국가단체, 이적단체 목록
표29: 조선일보의 ‘통일이 미래다’ 시리즈 목록(일부)
표30: 세월호 침몰 전후의 상황 및 보도
표31: 북조선의 핵 및 미사일개발 일지
표32: 하노이 회담 결렬 원인에 대한 북미의 입장
자세히 보기 목차
38. 2001 민족통일대축전에 참가하여(홍근수)
39. 6·15 남북 해외 공동행사 공동준비위 결성선언문(2005.3.4.)
40. 국정원으로부터 인혁당 부당이득 배상금 반환소송을 당한 77인의 호소문(2013.7.27.)
41. 유신독재 인혁당 재건위 사건 반국가단체 고문조작 국가범죄 주범 박정희 고소(2019.4.9.)
42. 한국 정치 현실과 미래
43. 천안함 사태 관련 대북 조치 발표문(5·24 조치)
44. '맥아더를 알기나 하나요?'(2005.11.25.)
45. 천만 동포들에게 드리는 글:마지막 고별사(2009.5.1.)
46. 김정은 북한(조선) 노동당 위원장 육성 신년사 전문(2018.1.1.)
47. 한(조선)반도의 평화와 번영,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4·27 선언, 2018.4.27.)
48.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과 도널드 제이·트럼프 미합중국 대통령 사이의 싱가포르 수뇌회담 공동성명(2018.6.12.)
49. 9월 평양 공동선언(2018.9.19.)
전창일의 맺음 글, 인혁당 영어(囹圄)의 수업을 마치면서
연보: 해방·통일 관련 현대사 연표 및 전창일 연보
부록: 전창일 수신함
책속에서
김대중 정부의 출범과 함께 많은 통일운동단체가 출범했다. 첫해인 1998년에는 정당, 사회단체 협의회 형식의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와 통일부에 등록된 사단법인 민족화합운동연합(민화련)이 출범했다. 이듬해 오월에는 민주노총과 전국연합이 주도하는 민족화해자주통일협의회(자통협)이 새 민간 통일 협의체로 등장했다. 자통협은 민화협에 속하지 않는 전국연합과 민주노총, 평화통일을여는사람들(평통사), 전농, 민가협, 유가협 등 25개 단체들이 지난 3월 9일 첫 준비 모음을 가진 후 5월 7일 서울 기독교회관에서 창립선언을 했다.
자통협과 범민련은 1999년 ‘하나의 대회’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전국연합과 민주노총이 범민련이 주도하는 범민족대회에 참여하는 결과를 낳았다. 전국연합은 범민련 노선을 비판하는 민족회의에 합류했던 바 있으나, 범민련 초창기처럼 다시 연대하게 된 것이다.
6·15 공동선언 이후 통일운동 조직체 간 갈등을 봉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유력한 통일단체가 새로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대표적 단체의 하나가 ‘6·15 남북공동선언 실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통일연대(통일연대)’다. 2001년 3월 15일 오후 1시, 종로5가 기독교회관 신관 중강당에서 전국연합과 범민련 남측본부, 한총련 등 30여 개 단체가 통일연대 결성식을 가졌다. 지난해 12월 4일 ‘6·15 남북공동선언에 동의하는 단체나 개인은 모두 함께 한다’는 기치 아래 준비위원회 형태로 발족한 뒤 3개월여 만에 공식출범한 것이다. 결성식 이틀 전인 3월 13일, 민주 노총에서 박순경 공동준비위원장의 사회로 열린 10차 집행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직기구 및 인선 안이 상정되어 승인되었다.
2007년 10월 2일, 우여곡절 끝에 성사된 남북정상회담의 첫날이다. 이날 오전 7시 55분께 전용차 편으로 청와대를 떠난 노 대통령은 1시간여 만에 군사분계선 앞 약 30m 지점에 도착해 하차한 뒤 간단하게 소감을 밝혔다. 그리고 오전 9시 5분경, 부인 권양숙 여사와 함께 노무현 대통령은 군사분계선(MDL)을 통과해 북측 관할 지역 내로 진입했다. 대한민국 국가원수가 도보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방북한 것은 사상 처음으로, 이 역사적인 장면은 TV를 통해 생중계됐고, CNN 등 외신들도 긴급 뉴스로 보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