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67522795
· 쪽수 : 626쪽
· 출판일 : 2023-04-05
책 소개
목차
제7장 통일운동에 뛰어들다
01 4월 혁명 후 혁신계 활동과 공영토건 사장의 배려
02 아내의 변신, 교사직 사표를 내다
03 통일운동 참여의 계기와 삼민당 당수 문용채와의 조우
04 혁신정당의 상황과 7·29 총선
05 전창일, 민자통 중앙위원이 되다
06 민족일보 창간과 혁신계
07 2대 악법 반대투쟁
제8장 5·16 쿠데타와 도피생활
01 이 땅이 뉘 땅인데 오도 가도 못하느냐
02 5·16 쿠데타와 혁신계
03 도피생활
04 6·3 항쟁과 1차 인민혁명당 사건
05 콜린스 라디오 입사, 그리고 간첩 오인 사건
제9장 인혁당 조작사건과 전창일
01 자강학회 이야기 그리고 박정희의 무한 권력욕
02 민족통일촉진회와 7·4 공동성명 그리고 10월 유신
03 긴급조치 시대
04 긴급조치 4호와 전창일의 구속
05 중앙정보부의 고문과 짜인 각본
06 군사재판
07 운명의 4월 8일
08 전주교도소에서의 수형생활
09 전창일의 단식과 아내의 구명운동
10 임인영의 구속과 남민전 사건
11 출옥과 사상전향서
제10장 범민련의 통일운동
01 북조선, 고려민주연방공화국(80.10.10.) 창설을 제안하다
02 ‘투쟁대오의 선봉’ 학생들의 희생과 6월 민주항쟁
03 ‘형집행정지자’ 전창일의 삶
04 범민족대회와 황석영, 문익환, 임수경의 방북
05 민자통 재건과 전민련의 통일운동
06 조국통일 범민족연합(범민련)의 발족
07 노태우 정권의 탄압과 범민련의 투쟁
08 UN 동시 가입과 남북기본합의서 그리고 헌법 제3조와 국가보안법
09 범민련 강령 규약이 제정되다
10 김영삼의 당선과 문익환의 범민련 이탈
11 문익환 프락치 사건의 진실
12 조문단 사건
13 가자 서울대로, 보라매공원에서 관악산을 넘어
14 마지막 투옥 그리고 공안당국과의 투쟁
표 목차
표11: 5·16 쿠데타의 전개과정
표12: 혁명재판 공판기록
표13: 특수반국가행위 사건 수형자 목록
표14: 제1차 인민혁명당 관련 피의자 명단
표15: 국방경비법, 국가보안법, 반공법의 적용 건수
표16: 인혁당 및 민청학련 피고인 재판결과(긴급조치 1, 4호 위반)]
표17: 남민전 사건 피고인 재판결과
표18: 분신 사망 일람표
표19: 6월 민주항쟁 연표
표20: 문익환 목사 사망경위 보도
자세히 보기 목차
25. 긴급조치 제1호(1974년 1월 8일 공포)
26. 긴급조치 제4호(1974년 4월 3일 공포)
27. 전창일 공소사실 요지(1974.5.27.)
28. 전창일(무기징역)의 아내 임인영 씨가 작성한 호소문
29.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설방안, 조선노동당 제6차 대회 사업 총화 보고, 198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30. 문익환, 나는 왜 평양에 갔나
31. 1990년 제1차 범민족대회 결의문(판문점 대회 결의문)
32. 1990년 1차 범민족대회 서울 채택 결의문
33. 남북기본합의서(1991.12.13.)
34. 조국통일 범민족연합 강령, 규약(1993.12.16.)
35. 백인준 의장과 문익환 목사의 송수신 편지 3통
36. 조문단 사건, 전창일의 모두진술서(1994.10.26.)
37. 변호사 변정수, 변론 요지(1996.9.6.)
책속에서
혁신계 활동을 하는 이들을 만나기 시작했다. 그들은 대부분 실업자였다. 이승만 치하에서 통일운동을 했거나 진보당에 속했던 사람들은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대부분 감옥에 끌려갔던 경험이 있었다. 즉 전과자였던 것이다. 취직할 수 없었다. 젊디젊은 지식인 청년들이 백수 신세였다. 사정이 묘했다. 혁신계 인사들은 대부분 유학을 하거나 고등교육을 받을 정도로 부모 대대로 자산가 출신이 많았다. 하지만 부모의 지원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고, 활동비 쓰고 나면 호구지책이 문제인 형편이었다.
반면, 전창일의 경우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은 없었지만, 안정적인 월급을 받고 있는 중견 사원이었다. 혁신계 인사들과 어울릴 때 커피, 술값, 밥값은 대부분 전창일의 몫이었다. 그렇게 그 세계의 사람들과 어울리기 시작했다.
1961년 현재의 대한민국에는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이나 단체는 없었다. 공산당과 남로당 등은 미군정 시기 불법단체로 지정되어 이미 소멸되었다. 4월 혁명 후 사회당, 사대당, 혁신당, 통사당 등 사민주의를 주장한 정당이 나타났으나 사회주의 정강·정책보다는 통일 문제에 보다 큰 비중을 두었고, 더욱이 통사당은 반공통일정책을 주장했던 단체였다. 결국, 박정희 군부의 반공정책은 혁신계 정당·단체를 소멸시키면서 쿠데타의 정당성을 확보하겠다는 의도였다.
쿠데타군의 혁신계 소멸 움직임은 쿠데타 사흘째인 5월 18일부터 시작되었다. 「민족일보」에 대한 탄압이 신호탄이었다. 사장 조용수를 비롯해 8명의 간부들이 18일 자로 구속되었고, 「민족일보」는 19일 자로 폐간되었다. 그 후 모든 언론은 군에 의한 사전검열로 통제되었고 수많은 신문이 폐간당했다. 아울러 정당 활동, 집회 등 정치의 자유는 허용되지 않았고, 전국에 계엄령이 선포되어 1년 7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3·24, 6·3항쟁 배후 및 관련자에 대한 검거 열풍이 대학가를 강타했다. 심재택 역시 검거 대상이었다. 그는 5·16쿠데타 무렵 ‘민족통일 전국학생연맹 사건’ 건으로 단기 5년 장기 7년의 형으로 형무소 생활을 하다가 1962년 4월 19일 형 면제로 출옥한 바 있다. ‘2대 악법 반대투쟁’ 당시 민통련 간부로서 민자통을 드나들다가 전창일과 연을 맺은 사이다. 심재택의 도피를 도와주기로 했다. 전창일의 도피처였던 평택공사는 이미 끝났다. 마침 춘천 미군 부대 안에 공사장이 있었다. 심재택은 그곳에서 몇 달 동안 은거하다가 수배가 풀린 후 나왔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피 중이던 도예종·김정강에게 현상금이 걸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