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아시아
· ISBN : 9791167915382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4-05-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Ⅰ. 고려바다와 고래바다
1. 바다는 5층 빌딩, 국호가 붙은 바다의 5대 장점
2. 한일간의 바다 5대 특징
3. 고려, 고래, 한국만(COREA GULF)은 세 쌍둥이
Ⅱ. 경해 vs 동해
1. 바다와 이름
2. 삼한 시대부터 조선 말까지 고래바다
3. 중국은 지금도 경해(鯨海)로 부르고 있다
4. 동해는 지구상에 무수히 많다
5. 『삼국사기』의 동해는 어디인가?
6. 광개토대왕 비문의 ‘동해고’는 바다 이름인가?
7. 조선 시대 지도 속 동해는 어디일까?
8. 중국의 동해는 어디일까?
9. 베트남의 동해는 어디일까?
10. 일본의 동해는 어디일까?
11. 동해는 일본의 미칭(美稱)
12. 명성황후 시해 교사범이 성을 ‘동해’로 간 이유는?
13. 東은 일본의 약칭, 東자 성씨 30개
14. 일본 동해대학은 말한다. 일본과 동해는 동의어라고
15. 일본을 동해(태평양)로 쫓아내라 – 안창호
16. 누가 언제부터 왜 한국해를 동해로 부르게 했나?
17. 여기 바다의 음모가 서리어 있다 – 이육사
Ⅲ. 한국해와 한국만 지도
1. 나라 이름이 붙은 바다 지도의 힘
2. 『걸리버 여행기』, 동해도 일본해도 아닌 한국해
3. 서양 고지도, 한국해 318점, 일본해 212점, 동해 0점
4. 동양해(MARE ORIENTAL)가 ‘동해’인가?
5. MARE EOUM이 한일간의 바다 ‘동해’인가?
6. EASTERN or COREA SEA가 ‘동해’인가?
7. 서양 각국의 한국해 vs 일본해 최초 표기 지도
8. 포르투갈·이탈리아, ‘한국해’ 표기의 시작
9. 네덜란드, 17세기 한일간의 바다를 한국해로 도배
10. 프랑스, 18세기 한국해 황금시대를 열다
11. 영국, 19세기 후반에도 한국해 표기 지도
12. 미국, 1840년까지 한국해 60점 vs 일본해 9점
13. 독일, 양보다 질- 한국의 만, 한국의 해협
14. 러시아, 한국해를 동해로 부르는 한국 이해 불가
15. 일본, 1910년까지 조선해 표기 지도 27점
16. 이토 히로부미 비롯 구한말 일본정부 ‘조선해’ 표기
17. 한국만 86점 vs 일본만 0점
18. 한국만은 한국의 역사적 만, 한국의 내해
19. 천하무적 국호가 붙은 만의 힘
Ⅳ. 고래사냥과 한국해
1. 고래와 반구대, 물 반 고래 반 한국해
2. 『하멜 표류기』와 네덜란드 한국해 지도
3. 프랑스 포경선 리앙쿠르호와 독도
4. 영국의 포경 산업 – 한국해, 대한해협, 독도
5. ‘COREA’는 미국 포경선 이름이자 한국의 국호
6. 미국 포경선의 조업지는 일본해가 아닌 한국해
7. 『모비 딕』의 포경선이 고래사냥한 한국만
8. 일본이 귀신고래를 최우선 멸종시킨 까닭은?
Ⅴ. 팩트체크와 대책
1. 한일간의 바다 이름에 대한 논쟁
2. 한국 외교부가 한국해로 주장하지 않는 이유
3. 창해와 청해가 한국해의 대안인가?
4. 동해 버리고 한국해로 불러야만 할 이유
5. 황해 이름은 황해도에서 유래되었다
6. 세계는 대한해협, 한국에서만 남해
7. 일제강점기 이전 우리나라 남해는 동중국해
8. 주권국 대한민국 바다 이름: 한국해, 황해, 대한해협
※ 마크 밀리 전 미국 합참의장, ‘일본해(동해)’를 ‘한국해’로 바로잡아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