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67961020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2-04-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혐오와 함께 살아가기
들어가며
1부
1 혐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2 혐오 범죄 통계
3 두뇌와 혐오
4 나의 두뇌와 혐오
5 집단 위협과 혐오
2부
6 트라우마, 담아내기 그리고 혐오
7 범죄 유발 사건에 따른 혐오의 증감
8 혐오의 하위문화
9 봇과 트롤의 등장
10 말과 행동으로 표현되는 혐오
11 편견에서 혐오로 넘어가는 티핑포인트 그리고 방지하는 법
감사의 말씀
주석
사진 출처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자연 상태에서 뇌를 연구하기 위해 심리학자들은 어린아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폈다. 사회화가 덜 되어 있는 어린 시절에는 다른 집단에 대한 어른들의 생각이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에, 아예 없진 않겠지만, 미미한 역할을 한다.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살펴보면 진화가 작용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약 세 살부터 우리는 집단의 존재를 인식하기 시작하며, 어떤 한 집단을 다른 집단보다 선호하는 성향을 기른다.
들어가며
대단한 상상력을 동원하지 않고서도, 다음과 같은 상황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즉, ‘위험에 처해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한테 편견에 관한 뇌 검사를 실시하고, 혐오에 차 있다고 드러난 이들─아마도 흑인 얼굴을 보여주었더니 편도체와 뇌섬엽에서 고수준의 활성화 반응이 나왔고 실행 통제 영역에서는 활동이 부족했던 이들─을 교정 프로그램에 집어넣어 버리는 상황이다. 《1984》에 나오는 조지 오웰의 ‘생각범죄’라는 개념이 실현된 셈이다
4.나의 두뇌와 혐오
1991년 3월, 로스앤젤레스에서 경찰차의 추격을 받은 흑인 건설 노동자 로드니 킹(Rodney King)은 과속 혐의로 도로가에 차를 대고 차 밖으로 나오라는 지시를 받았다. 킹이 손을 뻗어 무기를 잡으려 했다고 여기고서 경찰관 네 명이 그에게 테이저건을 발사했고 곤봉으로 56차례 구타했으며 일곱 차례 발로 찼다. 폭행은 8분 이상 지속되었고, 다른 열두 명의 경찰관이 보고만 있었다.
7. 범죄 유발 사건에 따른 혐오의 증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