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98347039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4-10-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데이터, 그 진실과 권력의 역사
데이터,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열쇠
이 책에 관하여
PART 1 데이터의 탄생
Chapter 1 권력이 된 데이터의 경고
현실이 된 데이터의 위협
기술 결정론의 한계
Chapter 2 숫자로 사회를 정의하다
통계로 세상을 다스리다
세계의 규칙성을 찾다
평균인의 탄생
인간에 대한 새로운 과학
통계 법칙으로 인간을 해석하다
개인적 차이에 관한 과학
인간 향상의 새로운 과학을 위하여
Chapter 3 사회적 문제에 대한 과학적 해답
위기 속에서 탄생한 우생학
데이터의 상관관계
우생학의 기반이 된 수리통계학
우생학적 통계가 밝혀낸 진실
과학의 시각으로 사회를 해석하라
상관관계가 아닌 인과관계
데이터가 만들어낸 인종차별주의
새로운 생체측정 프로그램
인종과 계급 간 차이의 원인
Chapter 4 개인 차이의 과학
가난의 원인을 분석하다
상관관계에서 인과관계로
통계 작업의 위험성
지능 검사의 탄생
인간의 삶이 데이터가 되다
과학적 인종차별주의의 오만
Chapter 5 무엇을 위한 데이터인가?
맥주 제조를 위한 과학
진리를 위한 과학
의사결정을 위한 과학
진리의 알고리즘
전쟁이 가져온 통계학의 발달
PART 2 진화하는 데이터
Chapter 6 전쟁과 데이터
블레츨리 파크의 비밀 프로젝트
미국의 암호해독법
베이즈 정리, 기적의 확률을 정의하다
더 크고, 더 빠른 컴퓨터를 위한 투자
암호가 아닌 통신을 위한 데이터
데이터, 비즈니스가 되다
Chapter 7 인간 지능의 원리를 찾아서
튜링, 생각하는 기계를 설계하다
데이터에 반대하다
인공지능의 탄생
지능이란 무엇인가?
AI를 위한 자금 지원
전문가의 지식을 모방하다
지식 습득의 규칙을 찾아라
다시 데이터로
Chapter 8 빅데이터의 시대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술들
정보의 가치와 프라이버시의 부활
약해진 프라이버시
데이터에서 가치를 생산하다
Chapter 9 스스로 학습하는 기계
인간의 신경망을 모방하다
패턴 인식에 기반한 학습
기계학습의 놀라운 성공
인공지능에서 기계학습으로
소련의 데이터 산업
신경망으로 최상의 답을 찾다
기계학습의 알고리즘
넷플릭스상
Chapter 10 진화하는 데이터과학
데이터과학의 속성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들
데이터 마이닝
구글 검색 시스템의 구조
데이터 마이닝에서 빅데이터까지
인공적인 인공지능
통계학, 데이터과학을 수용하다
데이터 과학자의 등장
전문지식 없는 윤리
PART 3 데이터, 권력이 되다
Chapter 11 데이터를 둘러싼 윤리 전쟁
윤리적 알고리즘을 위하여
터스키기에서 벨몬트까지
벨몬트 보고서의 원칙들
실리콘밸리에 적용하기
윤리를 소유한다는 것
기술적 해법의 한계
규제기관에 포위되지 않기 위해
Chapter 12 주의력 경제의 탄생
가치가 높아진 주의력
인터넷 세상 속 주의력의 의미
공짜 정보의 대가
광고와 현실
벤처캐피털의 등장
주의력 경제가 가져온 결과
Chapter 13 해결지상주의를 넘어선 해결책
첫 번째 권력: 기업 권력
두 번째 권력: 국가 권력
세 번째 권력: 시민 권력
시민 권력
불안정한 게임들
감사의 말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권력을 가진 세력들은 현재의 권력을 일구고 지배적으로 만든 역사적 과정을 조사하길 꺼린다. 복잡한 역사를 살펴보면 자신들이 가진 권력의 필연성과 합법성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기술이 득세하게 된 결코 당연하지 않은 과정들을 살펴봄으로써 역사는 특정한 기술들의 성장 자체가 역사를 이끈다는, 이른바 ‘기술 결정론’을 위태롭게 만들 수 있다.
여러 해 전에 리사 지털먼(Lisa Gitelman)이 언급했듯이, “미가공 데이터란 말은 형용모순이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든 과정에서 무엇을 고를지, 어떻게 분류할지, 누구를 포함하고 누구를 배제할지 등은 인간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모든 데이터 수집에는 수집하는 측의 인지적 편향과 더불어 해당 정보를 분류하고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해 저마다 매우 다른 인프라가 관여한다. 1600년에도 1780년에도 2022년에도 데이터는 발견되는 게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었다. 이런 데이터가 어떻게 힘을 갖게 되었을까?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하는 구조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