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소설론
· ISBN : 979116861019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토지』를 읽기 전에
1. 서사를 위한 선택
2. 『토지』를 바라보는 시선들
3. 새로운 관점들
1장 박경리의 생명관과 창작관-‘생명’을 바라보는 시선
1. 대립되는 존재들의 비정한 균형
2. 억압과 절멸, 공존을 위한 평등
2장 인물 형상화 방법
1. 선택적 자유간접화법 —인칭 변화와 인물의 생동감
2. 선택적 초점화 —렌즈의 선택과 균형 있는 인물의 등장
3. 인물의 다각 관계 —성격과 인물의 관계
3장 서사를 만드는 방법-공간 중심 서사와 위계 없는 서사 진행
1. 말 돌리기 —서사 진행 양상
2. 사건의 역순행성 —사건 삽입 방식
3. 소설의 개성을 만드는 세부사항
4장 서사의 패턴과 리듬-서사의 아름다움 찾기
1. 치맛자락 패턴 —균형과 패턴
2. 다성부 음악적 특성과 교향악적 리듬색
결론 『토지』를 읽는 방법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이 살아가는 시대와 장소, 모든 사회에 걸쳐 서사가 나타났다.
26년 동안 『토지』를 집필하면서 작가가 쉬어 간 시간은 8년이 넘지 않는다. 소설이 탄생시킨 인물만 600여 명, 소설에서 다루어진 시간만 50여 년이다. 작가가 공백기를 이겨내면서까지 소설 『토지』를 쓴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왜 하필 하동의 평사리를 이야기의 배경으로 삼은 것일까. 무엇보다 동학농민 항쟁이 실패로 끝난 지 3년이 지난 1897년을 소설의 시간 배경으로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글은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작가의 선택과 관련된 의문은 작가의 창작방법에 대한 궁금증으로 이어진다.
인물의 성격은 서사 속 인물들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토지』에는 수많은 관계가 등장하지만 특히 애정관계의 경우 다각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흥미롭다. 서희와 길상이를 비롯한 애정관계가 다각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은 개별 인물의 성격에 기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다각 관계는 주요 인물과 부수적 인물을 가리지 않고 공평하게 나타난다. 이는 선택적 초점화를 통해 인물을 균형 있게 등장시키는 것은 물론 모든 인물을 평등하게 기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술방식이 나타나는 것은 작가 박경리의 세계관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