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속삭이는 내러티브

속삭이는 내러티브

장은애, 허민석, 송혜림, 고성만, 김상애 (지은이), 고성만 (엮은이)
한그루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속삭이는 내러티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속삭이는 내러티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8671577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4-03-15

책 소개

2023년, “완전한 해결로 환유되는 현실과의 불화를 꾀하고, 비판적 시각과 목소리를 확보하기 위한 시도”로 시작한 ‘비판적 4·3 연구’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이다. 이번에는 문학과 영상, 증언과 기록, 여성과 가족·친족에 관한 다섯 편의 글을 모았다.

목차

15 『화산도』의 여성주의적 독해: 4·3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듣는다는 것(장은애)
85 희생자의 얼굴 너머: 4·3 다큐멘터리 영상과 재일제주인 여성(허민석)
137 증언-공백으로 읽기: 여성의 기억이 말해질 때의 침묵에 대하여(송혜림)
189 학살 이후의 친족지(親族誌): 친족지(親族知)의 생성과 실천(고성만)
235 아버지의 기록, 딸의 기억: 4·3과 딸의 가족사(김상애)
286 참고문헌/ 298 주석/ 328 에필로그/ 340 필자 소개

저자소개

허민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펼치기
송혜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비교문학협동과정 박사과정
펼치기
김상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펼치기

책속에서

『화산도』를 경유하여 4·3과 여성에 관해 이야기할 때 새롭게 보이는 것은 무엇인가. 『화산도』는 기본적으로 남성인 이방근을 중심으로 직조된 서사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여성 인물에 주목함으로써 남성 중심적 시각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4·3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찰해 내기도 하는데, 그러한 인식은 여성 인물의 불안정한 실존적 자리로부터 출현한다.
남성만이 인식과 발화의 정통성을 가질 때 여성은 예외적이고 ‘비정상’적인 자리에서 4·3을 조망한다. 여성은 자신이 처한 불안정하고 취약한 실존적 지위로 인해 남성을 중심으로 직조된 4·3 인식에 위화감을 느낀다. 이 경우 여성의 위치는 4·3에 대하여 기존과는 다른 방식의 탐색과 사유를 산출하는 조건이 된다. 그뿐만 아니라 여성은 현실과 연결된 유·무형의 자원으로부터 소외된 탓에 기존 질서에서 벗어난, 이질적인 방식으로 현실을 재구성한다. 따라서 여성의 자리에서 송출되는 목소리는 주류 역사의 이해(理解)와 충돌하고 어긋나며, 기존의 언어로는 번역할 수 없는 형태로 굴절되면서 낯선 언어로 재구성되고 채워진다.
여성의 현실은 안정된 질서를 교란하고 위협하면서 4·3의 새로운 면모를 드러낸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시각을 통해 4·3을 재인식하려는 시도는 여성이라는 존재의 실존적 취약성 때문에 대단히 대범하고 전위적인 기획이 된다. (장은애)


4·3 재현에서 되풀이되는 ‘여성=희생자’ 표상은 희생자에 대한 인정과 보상을 중심으로 축적되고 있는 한국의 과거사 담론의 산물이다. 이런 표상의 매개로 ‘4·3은 무고한 희생의 역사’라는 제도화된 기억이 재생산되는 한편, 국민국가 성립의 정당성을 되묻는 내전 및 항쟁으로서 4·3의 기억은 억압된다. 상기한 문제의식 위에서, 지금까지 이 글은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와 다큐멘터리 영화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4·3의 문화적 기억에서 재일제주인 여성이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재일제주인 여성에 주목한 이유는 디아스포라 여성 서사가 각광을 받고 있는 동시대 학술장 및 문화계의 동향을 고려함과 동시에, 국민국가의 남성 중심적인 시선에 의해 회수되지 않는 4·3의 기억법을 모색하기 위함이었다. 궁극적으로 이 글에서는 재일제주인 여성의 표상을 경유하여 국민국가라는 중심을 탈구하는 공간론적 관점을 도입할 때, 희생자 서사로 일원화된 4·3의 기억을 갱신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했다. (허민석)


‘말하지 않음’은 어떤 이가 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권위나 지위를 가진 사회적 ‘주류’에 속하는 이들의 침묵은 더 명시적으로 그 의미와 감정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이 대부분 사회에서 통용되는 지배적 관념을 생산하고 소유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반응은 일반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구태여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맥락 속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화된 존재, ‘소수자’의 경우 침묵은 완벽한 공백에 가깝다. 맥락을 유추할 수 있는 설명이 보태어지지 않는 이상, 통상적인 이해 범주에 빗겨난 그들의 경험과 감정을 가늠하기 어렵다. 언어 그 자체도 지배 권력에 의해 만들어진 산물일 뿐, 힘없는 자들의 것이 아니었다. 여성, 아동, 퀴어, 장애 등 중층적인 차별과 폄훼 아래 놓인 고유한 경험과 감정을 서술하기에 언어라는 도구는 늘 불충분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이들의 증언에서 돌출되는 모순, 비정합성, 감정의 과잉 등은 권력에 의해 전유될 위험 또한 크다. 그러므로 이 침묵이 가닿을 수 있는 가정적 진실의 층위를 탐구하는 것이 이들의 증언을 배반하지 않으려는 노력 중 하나일 것이다. (송혜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