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92062105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22-05-31
책 소개
목차
서문: “여기(Hic)”의 두께, 난민 경험과 기억 톺아보기 7
삼국 간 전쟁포로 난민의 동향과 그 의미 ▣ 장창은 15
Ⅰ. 머리말 15
Ⅱ. 『삼국사기』 전쟁포로 기록의 讀法 17
Ⅲ. 전쟁포로의 시기별 발생 규모 21
Ⅳ. 삼국 간 전쟁포로 동향의 의미 30
Ⅴ. 맺음말 39
대몽항쟁기 전쟁난민과 피난처 ▣ 전영준 43
Ⅰ. 머리말 43
Ⅱ. 무신정권의 강화천도와 山城 및 海島入保 전략 44
Ⅲ. 서남해안 漕運路의 주요 해도입보처 53
Ⅳ. 삼별초 난민의 남행지, 제주도와 류큐 60
Ⅴ. 맺음말 65
조선 성종-중종 대 제주도 출륙 포작인 정책과 난민적 성격 고찰▣ 양정필 67
Ⅰ. 머리말 67
Ⅱ. 성종 대 포작인 정책과 그 특징 71
Ⅲ. 중종 대 포작인 활용 정책과 그 한계 84
Ⅳ. 맺음말 94
구한말 독일인 Moellendorff(穆麟德)의 조선 이미지 ▣ 박재영 97
Ⅰ. 머리말 97
Ⅱ. 출생과 중국에서의 활동 99
Ⅲ. 조선에서의 활동 101
Ⅳ. 묄렌도르프(Moellendorff)의 조선 이미지 107
Ⅴ. 맺음말 124
영연방 점령군(BCOF) 사료를 통해 본 제주 사람들의 밀항과 4・3 경험▣ 고성만 127
Ⅰ. 머리말 127
Ⅱ. ‘불법입국자들의 활동 (Activities of Illegal Entrants)’ 분석 130
Ⅲ. 조각 맞추기 137
Ⅳ. KIN Gen-chin 찾기 141
Ⅴ. 맺음말: 행방불명 이후의 행방 146
예멘 난민의 입도와 제주도민의 난민인식 ▣ 전영준・김준표 149
Ⅰ. 머리말: 예멘 난민의 입도 149
Ⅱ. 연구 방법 152
Ⅲ. 제주도민의 난민 인식 156
Ⅳ. 맺음말 172
환대 공동체에서 제외된 장소상실의 존재-제주소설의 4・3 난민 형상화 방식- ▣ 김동윤 175
Ⅰ. 그들은 그저 살기 위해 도망간 것일까 175
Ⅱ. 공모된 침묵과 기억의 자살: 오성찬의 「잃어버린 고향」 177
Ⅲ. 선명한 낙인과 책임의 전가: 현길언의 「귀향」・「먼 훗날」 181
Ⅳ. 기피와 차단이 배태한 광기: 고시홍의 「도마칼」 188
Ⅴ. 여전한 자기검열과 머나먼 환대 공동체 192
Ⅵ. 그들이 공동체로 복귀되는 그날을 기대하며 198
빅데이터로 본 제주 예멘 난민 ▣ 강진구・이기성 201
Ⅰ. 머리말: ‘지금-여기’의 문제가 된 제주 예멘 난민 201
Ⅱ. 빅테이터로 본 예멘 난민 207
Ⅲ. 텍스트마이닝 분석 결과 215
Ⅳ. 맺음말: 난민 문제에 대한 진전된 논의를 기대하며 227
주 석 229
초출일람 265
참고문헌 267
찾아보기 282
필자소개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