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표로 읽는 천수경 입문

도표로 읽는 천수경 입문

목경찬 (지은이), 배종훈 (그림)
민족사
17,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750원 -10% 0원
870원
14,8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도표로 읽는 천수경 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표로 읽는 천수경 입문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89269609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1-12-27

책 소개

‘도표로 읽는’ 시리즈 네 번째 책. 천수경이 담고 있는 의미를 하나하나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매우 자상하게 풀어 놓았다. 또 감각적이고 트렌디한 배종훈 작가의 카툰과 도표는 천수경의 핵심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목차

머리말 5

1부 『천수경』 길잡이

•경전 공경과 공양의 공덕··14
•경전 성립과 천수경의 위치··16
•천수경의 전래와 의례 독송용 편집··18
•천수경과 관세음보살··20
•관음신앙과 관음도량··22
•천수경과 정토신앙··24
•다라니와 진언··26
•다라니를 풀이하지 않았던 이유··28
•다라니 해석 여부와 독송··30
•천수경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는 한 방법··32
•천수경의 구성··34

2부 『천수경』 풀이

경전을 여는 진언과 게송··40
입으로 지은 업을 맑히는 진언··42
오방의 모든 신을 편안하게 하고 위로하는 진언··44
경을 여는 게송··46
부처님 법 만나기 어려운 이들··48
부처님 법 만나기보다 더 어려운 일··50
믿음과 지혜··52
발보리심, 깨닫고자 하는 마음으로··54
경전을 여는 진언··56
<천수천안관자재보살 광대원만무애대비심 대다라니>··58
경전 열기를 청함··60
<천수천안관자재보살 광대원만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경 이름 풀이··62
머리 숙여 예를 올리는 게송··64
<계수문> 제1 게송··66
<계수문> 제2 게송··68
<계수문> 제3 게송··70
<계수문> 제4 게송··72
관세음보살이라 불리는 이유··74
관세음보살의 모습, 상호··76
천룡팔부와 신장··78
십원과 육향, 관세음보살의 본원··80
<십원문(열 가지 발원)>··82
<십원문> 중 앞의 4원··84
<십원문> 중 뒤의 6원··86
십원ㆍ육향과 사홍서원, 그리고 사성제··92
육향문(여섯 곳을 향해 제도)··94
육도, 육취··96
별귀의··98
육관음··108
정취보살과 관세음보살··110
33관음보살··112
신묘장구대다라니··114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천수경』의 핵심··116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담긴 보살의 마음··118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다양한 이름과 공덕··120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담긴 관세음보살의 강한 원력··122
대비신주를 외운 공덕··124
의심 없이 지극한 마음으로 외우다··126
<신묘장구대다라니>를 독송하는 횟수의 의미··128
청정하게 장엄한 도량에 삼보께서 강림하시다··130
사방에 물을 뿌려 청정해짐을 찬탄하는 게송··132
청정한 도량을 찬탄하는 게송··134
모든 것이 도량이다··136
참회문, 불보살님 앞에서 모든 악업을 참회하다··138
악업을 참회하는 게송··140
행법에 의한 사참과 깨달음을 통한 이참··142
참회한 업장을 없애 주시는 열두 부처님··144
참회한 업장을 없애 주시는 열두 부처님의 공덕··146
다양한 부처님이 계시고, 부처님의 공덕에 차이가 있는 이유··148
십악을 참회하다··150
십악과 신구의 삼업··152
십악에 대한 간단한 풀이··154
십선으로 십악을 다스리다··156
이참게··158
백겁 동안 쌓인 죄업을 소멸하는 방법··160
죄와 참회··162
이참에 대한 『유마경』의 법문··164
참회와 죄와 마음에 대한 선사들의 이야기··168
죄가 소멸되길 기원하는 참회진언··170
준제지송행법의 핵심인 준제진언··172
<준제진언>의 공덕을 찬탄하는 게송··174
준제진언의 공덕··176
준제보살에게 귀의하다··178
사대주··180
법계를 깨끗하게 하는 진언··182
몸을 수호하는 진언··184
관세음보살의 본심미묘한 여섯 글자의 매우 크고 밝은 진언··186
천수경 후반부의 핵심 진언··188
부림에 대한 견해··190
<준제진언>의 공덕 1··192
<준제진언>의 공덕 2··194
‘옴 자례 주례 준제 사바하’ 9자를 생각하여 살피는 법··196
‘옴 자례 주례 준제 사바하’ 9자 각각의 의미··198
준제발원··200
발원 및 귀의, 그것은 바로 회향··204
부처님의 열 가지 발원··206
여래십대발원문··208
사홍서원··212
자성사홍서원··216
삼귀의··218
<삼귀의>로 마무리하며 다시 시작하다··220

저자소개

목경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유식불교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번역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현재 여러 불교대학에서 불교 교리 및 불교문화를 강의하고 있다. 불교문화 대중화를 위해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사찰기행’ 강좌를 열었고, 인터넷 카페 ‘저 절로 가는 사람(cafe.daum.net/templegoman)’에서 사찰 문화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사찰, 어느 것도 그냥 있는 것이 아니다』, 『부처님께 다가가는 방법』, 『유식불교의 이해』, 『연기법으로 읽는 불교』, 『도표로 읽는 천수경 입문』, 『정토, 이야기로 보다』, 『관음신앙, 33개의 나침반』, 『지장보살, 원력에 스며들다』 등이 있다.
펼치기
배종훈 (그림)    정보 더보기
2003년 ‘월간 불광’ 연재를 시작으로 ‘불교신문’, ‘현대불교신문’ 등의 교계 언론사에 삽화와 카툰을 지금까지 연재하고 있다. 출간한 책으로 『도표로 읽는 불교 입문』–2016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도표로 읽는 경전 입문』, 『도표로 읽는 천수경 입문』, 『연꽃 향기로 오신 묘엄 스님』, 『안에 있을까? 밖에 있을까』, 『유럽을 그리다』, 『행복한 명상카툰』, 『내 마음의 죽비소리』, 『자네 밥은 먹었는가』, 『처마 끝 풍경이 내게 물었다』, 『도표로 읽는 부처님 생애』, 『도표로 읽는 유식 입문』, 『도표로 읽는 명상 입문』–2023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등이 있다. 2010년 불일미술관 개인전(맑은 생각, 카툰 선을 만나다), 2014년 스페이스 선+ 2인전(마음이 추울 때 카투니카노 한잔 어때요), 2014년 불교박람회&붓다아트 페스티벌 기획 초대전, 2016년 스페이스 선+ 갤러리 개인 초대전 등의 선카툰 전시회를 가졌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h.bae.963
펼치기

책속에서



밀교(密敎)는 비밀불교의 줄임말로서 ‘비밀로 설해진 가르침’이라는 뜻이다. 상대되는 말은 현교(顯敎)다. 3세기경부터 밀교 의례가 보이는 경전이 등장하였다.
특히 7세기 무렵 『대일경』, 『금강정경』 등의 등장은 불교사에서 밀교의 새로운 지위를 부여하였다. 이때를 정통밀교라 한다. 이전을 초기밀교, 이후를 후기밀교로 구분한다.
『천수경』의 바탕이 되는 『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등은 밀교부 경전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천수경』에는 의례, 다라니, 진언 등 밀교 경전의 특징이 보인다. 그러나 『천수경』에는 밀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불교사상과 신행이 녹아 있다.


『천수경』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독송하는 경전이다. 새벽예불, 저녁예불이 끝난 뒤에 『천수경』 독송을 시작으로 기도가 이어진다. 사시예불, 불공의식 때에는 삼보를 모시기 위해 먼저 『천수경』을 독송한다. 또는 신행의 한 방법으로 『천수경』을 독송한다. (중략) 오늘날 『천수경』은 이전 여러 의식집을 바탕으로 신행에 맞게끔 재구성된 경전이다. 이 『천수경』은 우리나라에서만 독송하고 있다. 한편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2014년부터 『우리말 천수경』을 편찬하였다. 현재 우리말로 『천수경』을 독송하는 사찰이 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690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