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어 학습자 검사도구

영어 학습자 검사도구

(배움중심 학습 사회의)

김정렬 (지은이)
한국문화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32,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200원
28,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영어 학습자 검사도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어 학습자 검사도구 (배움중심 학습 사회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88968176548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8-07-31

책 소개

배움중심 사회에서 우리가 대하게 되는 영어학습자들의 수준, 학습 유형과 전략, 성격, 좌/우뇌형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수집도구를 정리하고 이들을 활용한 연구들을 소개한다.

목차

서문

제1부 언어발달, 언어적성, 학습전략
Ⅰ. 형태소 발달 검사
Ⅱ. 어휘 수준 테스트
Ⅲ. 언어 적성 검사
Ⅳ. 읽기 전략 설문
Ⅴ. Oxford의 언어 학습 전략 목록
Ⅵ. Griffiths의 영어 학습 전략 목록
Ⅶ. 학습 동기화 전략 질문지

제2부 동기, 학습, 사고 유형
Ⅷ. Apter의 동기 유형 프로파일
Ⅸ. O'Brien의 학습 채널 선호 체크리스트
Ⅹ. Reid의 지각 학습 유형 선호 질문지
Ⅺ. Felder와 Silverman의 학습유형 지표
Ⅻ. Cohen, Oxford와 Chi의 학습 유형 설문
ⅩⅢ. Dunn과 Dunn의 학습 유형 모형
ⅩⅣ. Honey와 Mumford의 학습 유형 질문지
ⅩⅤ. VARK 학습 유형 모형
ⅩⅥ. Sternberg와 Wagner의 사고 유형 목록
ⅩⅦ. Hayes와 Allison의 인지 유형 지표

제3부 뇌, 지능, 성격 유형
ⅩⅧ. 뇌의 선호도 지표
ⅩⅨ. 정신적 경계 질문지
ⅩⅩ. 다중지능 검사
ⅩⅩⅠ. 성격 유형 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정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하와이대학교에서 응용언어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와 대학원 영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영어과 교수학습방법론], [초등영어교수법(듣기.말하기, 읽기.쓰기), [한국영어교육사], [웹기반영어교육], [이러닝과 영어교육], [교실영어], [스마트영어교육 웹&앱] 외 다수가 있고 역서로는 [아동중심 영어교육]이 있다. 학술논문으로는 현대영어교육학회의 2010년도 우수논문상을 받은 [선제시스템 자동화를 위한 청해문항 분류 준거 개발]을 비롯해서 초등영어교육, 영어교육정책, ICT 활용영어교육 분야에 100여 편의 논문을 각종 학술지와 학술대회에 발표했다. 학회봉사활동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회장,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장, KOTESOL 회장, 한국영어다독학회 회장, 한국영어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부회장, 중앙영어영문학회 편집부회장을 거쳐서 현재 한국코퍼스언어학회 회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Ⅰ. 형태소 발달 검사
1. 형태소와 형태소의 습득

형태소에 대해 Hockett(1954)는 한 언어의 발화 속에서 개별적인 의미를 갖는 최소의 요소라고 하였다. 미국 구조언어학(Structural linguistics)에서 주로 사용된 개념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apple 등과 같은 단어는 분할할 수가 없지만 apples는 apple과 복수를 나타내는 -s로 두 단어로 구별할 수 있다. 명사뿐만 아니라 부정형 동사인 jump, climb 등과 같은 단어도 apple처럼 분할되지 않지만 과거형인 jumped, 진행형인 climbing은 jump와 과거를 나타내는 -ed, 진행을 나타내는 climb과 -ing로 나눌 수 있으며 -ed와 -ing가 붙었을 때에 의미가 바뀐다.
Stageberg(1981)는 문법의 최소 변별 단위로서 형태소가 가져야 하는 기준을 다음 세 가지로 정의하였다. 첫째, 의미를 지니는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이다. 둘째, 그 의미를 벗어난다거나 의미 없는 나머지 부분을 남기지 않고는 더 이상 의미 있는 부분으로 나눌 수 없다. 셋째, 비교적 안정된 의미를 갖고 여러 언어 환경에 되풀이하여 나타난다.
언어 발달을 측정하는 적절한 수단으로는 물론 언어의 발음, 어휘 사용 등도 고려해야겠지만 개인적 특성에 따른 발음의 다양성과 어휘 선정의 어려움으로 언어 발달을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많은 난점이 있다. 그러므로 발음, 어휘 사용의 측면보다는 특정 언어의 화자들 중에 가장 작은 변이를 나타내고 있는 구문적인 면을 언어 발달의 측정 수단으로 삼는 것이 적당하다고 할 수 있겠다(Burt, Dulay & Hermandez, 1976).
특히 문법 형태소를 측정 대상으로 하면 구문 발달의 초기 모습을 잘 설명해 줄 수 있으며, 언어 자료를 쉽게 추출할 수 있어 언어가 정확히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다(이경희, 1994). 이러한 이유로 형태소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Chomsky(1959)가 어린이의 언어 습득은 습관 형성 과정이 아닌 천부적인 언어 습득 장치(Language Acquisition Device; LAD)에 의한 창의적 구성과정(Creative Construction Process)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 이래 많은 학자들(Brown, 1973; de Villiers and de Villiers, 1973; Hakuta, 1974; Dulay & Burt, 1974; Kim Im-Deuk, 1985; 이경희, 1994)은 이를 지지하는 연구 결과들을 모국어, ESL, EFL상황에서의 어린이와 성인, 사춘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형태소 습득 순서 연구를 통해 발표하였다.

1) 모국어(L1)로서의 영어 형태소 습득 연구
Brown(1973)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2살 된 어린이 3명을 대상으로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를 통해 14개의 형태소 습득 순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 형태소가 발화 속에 나타날 수 있도록 의무적 상황(obligatory context)을 구성하여 피험자가 자신의 어머니와 대화한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 14개 대상 형태소의 습득 순서는 다음 <표 I-1>과 같았다.

어린이들이 제일 먼저 습득하는 형태소는 현재 진행형이었는데, I am driving 과 같이 대부분의 어린이들의 활동이 이와 같은 유형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인 것 같다. 초기에는 I baking 처럼 조동사를 사용하지 않다가 나중에 조동사와 함께 말을 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로 습득되는 것은 전치사 on과 in인데 이러한 전치사는 공간적 의미가 매우 명확할뿐더러 그들이 사용하는 놀이기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네 번째는 복수형인데, 어린이들은 한 개의 물건을 여러 개의 물건과 초기에 잘 구분하며, 규칙 변화가 불규칙 변화보다 일찍 습득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섯 번째는 불규칙 과거형인데 초기에는 breaked, felled 등과 같이 오류를 범하다가 나중에 정확한 형태를 말할 수 있다고 한다. 여섯 번째는 daddy’s chair에서처럼 ’s로 끝나는 소유격이고, 일곱 번째는 비축약 계사이며, 여덟 번째가 관사, 아홉 번째가 규칙 과거였다. 열 번째와 열한 번째는 3인칭 단수 현재형인데 불규칙형(does, has)보다 규칙형의 습득이 빠르다고 하였다. 열두 번째는 비축약 조동사이고, 마지막으로 습득되는 형태소는 축약 계사와 축약 조동사였다.
Brown(1973)은 이러한 형태소 습득 순서를 각 형태소의 복잡성으로 설명하였는데, 14개 형태소의 파생에 필요한 변형의 수를 측정하여 각 형태소에 대한 복잡성 순위를 조사한 후 습득 순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86으로 매우 높은 것을 발견했다. 또한 그는 각 형태소에 의해 표현된 의미를 복잡성의 또 다른 지표로 삼음으로써 문법적 복잡성과 의미적 복잡성을 통해 습득 순서를 설명하려고 하였다.
이 연구에 자극을 받아 유사한 연구가 이어졌으며 모국어(L1)에 있어 Brown(1973)이 제시한 문법적 형태소 습득 순서를 확인하였다(de Villiers & de Villiers, 1973). de Villiers와 de Villiers(1973)도 Brown이 연구했던 14개 형태소를 횡단적 연구(cross-sectional study) 방법을 통해 21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형태소 습득 순서를 조사하였는데, 이 연구 결과에서도 어린이들은 현재 진행형, 복수형, 전치사를 일찍 습득하고 3인칭 단수 현재형, 계사, 비축약 조동사를 늦게 습득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Brown(1973)의 연구 결과를 확인해 주었다.
이 두 연구의 중요성은 연구 방식이 다르다고 해도 어린이들의 형태소 습득은 지속적으로 변함없는 순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국어의 보편적 형태소 습득은 제 2언어 습득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언어 발달을 측정하는 적절한 수단을 결정할 때, 물론 언어의 발음, 어휘 사용 등도 고려해야겠지만 개인적 특성에 따른 발음의 다양성과 어휘 선정의 어려움으로 언어 발달을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 약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발음, 어휘 사용의 측면보다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 사이에서 가장 작은 차이를 보이는 구문적인 면을 측정 수단으로 삼는 것이 적당하다고 할 수 있겠다(Burt, Dulay & Hermandez, 1976).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9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