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9791169956840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5-05-15
책 소개
목차
서론 마르크스주의와 정치철학
1. 정치철학이란 무엇인가? … 9
2. 정치철학의 쇠퇴와 부흥 … 65
3. 마르크스 정치철학에 대한 연구 및 그 의의 … 85
제1장 마르크스 정치철학의 기본 이론
제1절 마르크스 사회이론에서의 정치철학의 위치 … 107
1. 마르크스 사회이론의 복합적 성격 … 107
2. 사회생활을 고찰하는 두 가지 방식 … 116
3. 종합적 윤리 사실과 복합적 사회정치 이론 … 120
제2절 마르크스 사회정치 이론에서의 두 가지 차원 … 125
1. 유물론적 역사관에서의 두 가지 차원의 통일 … 125
2. 마르크스는 분열되었는가? … 128
3. 두 가지 공산주의 이론이 있는가? … 133
제3절 규범적 이론으로서의 마르크스 정치철학 … 141
1. 마르크스의 규범적인 도덕관점 … 142
2. 의무론 아니면 공리주의? … 153
3. 역사주의 의무론 … 165
제2장 현대성에 대한 정치 비판
제1절 현대성에 대한 문제 … 173
1. 마르크스의 현대성에 대한 비판 범주 … 174
2. 현대성이란 무엇인가? … 181
3. 현대성 의식과 현대가치체계 … 192
4. 현대성과 현대사회의 성취 … 204
제2절 현대성의 곤경 … 214
1. 편협한 이성 … 216
2. 도구화된 이성 … 221
3. 막다른 골목에 들어선 이성주의 철학 … 236
제3절 현대성 곤경에서 벗어나는 정치철학방안 … 244
1. 보수주의의 정치철학방안 … 247
2. 무정부주의의 정치철학방안 … 253
3. 자유주의의 정치철학방안 … 259
4. 마르크스의 정치철학방안 … 266
제3장 시민사회의 환상에 대한 비판
제1절 전통사회에서 현대사회로 … 280
1. 시민사회와 전(前)시민사회 … 281
2. 시민사회의 특징 … 284
3. 시민사회의 환상 및 그 비밀 … 290
제2절 시민사회의 환상에 대한 마르크스의 다차원적인 비판 … 297
1. 물질의 의존관계 … 297
2. 사회관계의 소외 … 302
3. 시민사회가 국가를 결정한다 … 307
4. 국가의 소멸 … 314
제4장 인간 사회에 입각한 자유와 해방
제1절 실천에 입각한 마르크스의 정치철학 … 322
1. 소홀히 한 내재 연관 … 322
2.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에 대한 또 다른 해석 … 324
제2절 시민 사회로부터 인간 사회까지 … 331
1. 헤겔부터 마르크스까지 … 331
2. 마르크스의 궁극적 관심과 정치적 자유 … 336
제3절 현대 사회의 정치 논리 … 342
1. 현대사회를 위해 제공한 정치형체의 논리 … 343
2. 자명한 선과 전략적 목표 … 345
제5장 정의와 초정의
제1절 마르크스 정의 이론의 4가지 변호 … 351
1. 마르크스는 정의로 문제를 해석하는 것을 반대하는가? … 352
2. 마르크스 정의 이론의 비판적 전제 … 356
3. 마르크스의 “인간사회”에 입각한 정의 관념 … 364
4. 마르크스 정의 이론의 두 가지 차원 … 371
5. 마르크스의 고차적인 정의 개념 … 379
제2절 마르크스는 어떻게 정의 문제를 논의하였는가? … 387
1. 마르크스 정의 이론의 당대 맥락 … 387
2. 정의는 도덕성이 아닌 제도와 관련된다 … 390
3. 문제는 무엇이 필요한 것이고 무엇이 불가피한 것인가에 있다 … 398
4. 초월적인 정의 및 기타 방안 … 404
제6장 마르크스 정의 이론의 당대 구축
제1절 중국 마르크스 정의 이론의 당대 구축은 무엇 때문에 가능한가? … 414
1. 당대 중국은 어떤 정의 이론을 구축해야 하는가? … 414
2. 초정의와 당대 중국 마르크스주의 정의 이론의 구축 … 417
3. 당대 중국 마르크스주의 정의 이론의 구축 … 422
제2절 이질적 사회의 사회 조화 문제 … 430
1. 이질적 사회에서의 사회단결 문제 … 431
2. 보편화된 교환관계와 사회윤리 간의 위화감 … 435
제3절 당대 중국의 공평 정의 문제 및 그 해결방안 … 440
1. 중국의 사회 전환과 공평 정의 문제 … 441
2. 두 가지 공평 정의 문제 및 그 원인 … 444
3. 공평 정의를 보장함에 있어서의 국가의 역할과 한계 … 448
4. 공평 정의 의존하는 사회 기반 … 452
참고문헌 … 457
후기 …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