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70800606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10-15
책 소개
목차
서문・ 군주의 길을 물어 리더로 거듭나다 •5
이병二柄 상벌이라는 두 개의 칼자루 •15 // 오두五蠹 나라를 좀먹는 다섯 가지 •25 // 현학顯學 전혀 쓸모없는 학문 •51 // 난언難言 직언의 어려움 •61 // 십과十過 군주의 열 가지 잘못 •66 // 고분孤憤 홀로 불만에 가득 찬 마음 •93 // 세난說難 군주를 설득하는 어려움 •103 // 화씨和氏 옥을 바치고 다리가 잘린 변화卞和 •113 // 간겁시신姦劫弒臣 간사함으로 군주를 해치는 신하 •120
망징亡徵 나라가 망하는 조짐 •128 // 삼수三守 군주의 세 가지 철칙 •138 // 비내備內 측근을 경계하라 •144 // 식사飾邪 사악한행위를 경계하라 •151 // 안위安危 나라의 안정과 혼란 •158 // 수도守道 나라를 지키는 방법 •165 // 용인用人 인재를 쓰는 방법 •170 // 해로解老 노자의 이론을 해석하다 •178 // 유로喻老 노자의 사상을 설명하다 •190 // 설림說林・上 이야기의 숲 •202 // 설림說林・下 서른일곱 가지의 고사 •209 // 내저설內儲說・上 신하를 통솔하는 일곱 가지 •219 // 내저설內儲說・下 군주가 주의해야 하는 여섯 가지 — 231
외저설外儲說・左上 언행의 효용 사례 •242 // 외저설外儲說・左下 언행의 사상적인 사례 •261 // 외저설外儲說・右上 군주가 가져야 하는 권세와 통치술 •276 // 외저설外儲說・右下 군주가 견지해야 하는 원칙 •289 // 난難・一 •하나씩 고치는 데는 한계가 있다 •300 // 난難・二 수치를 씻어내는 어려움 •304 // 난難・三 지혜로는 모두를 알지 못한다 •308 // 난難・四 사면의 어려움 •312 // 애신愛臣 총애하는 신하의 폐단 •317 // 주도主道 군주가 지켜야 하는 도리 •322
저자소개
책속에서
송나라 대신 자한이 임금에게 청하기를 “상을 주면 백성들은 기뻐합니다. 그러니 상을 주는 은혜는 임금께서 직접 베푸십시오. 그러나 형벌이라는 것은 백성들로부터 원망을 사는 일입니다. 그러니 이것은 제게 맡겨주시면 어떻겠습니까?”라고 아뢰었다. 그리하여 형벌이라는 자루를 신하가 쓰도록 하였는데, 훗날 송나라 임금에게 돌아온 것은 왕위를 탐내는 자한의 위협뿐이었다. _두 개의 칼자루
명군이 다스리는 나라는 책도 소용이 없다. 법 그 자체가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성인의 말씀도 소용이 없다. 관리가 곧 선생이기 때문이다. 협객들의 사사로운 무력도 쓸 곳이 없다. _변론의 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