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71173389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24-01-02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_경이로운 1초의 과학, 그리고 그 역사
머리말_더 정확하고 더 정밀하게 1초를 측정하라
Chapter 1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시계
태양의 움직임을 기록하다
그림자의 길이로 거리를 재다
Zoom In 계절이 있는 모든 것은 돌고 돈다
Chapter 2 완벽한 달력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
계절에 따라 변하는 별자리의 의미
태양력, 태음력, 태음태양력
달력은 사회적 필요의 결과다
Chapter 3 자연의 시간 vs. 사회적 시간
변화무쌍한 기념일이 가져온 혼란
그레고리우스력의 탄생
Chapter 4 마야 문명의 낯선 시간 속으로
시간을 결정하는 서로 다른 기준
마야 문명을 만든 세 개의 역법
마야력의 기원을 찾아서
종말이 아닌 영원한 시간의 기록
Chapter 5 물시계, 시대의 첨단기술
어둠 속에서 시간을 재는 법
중국 첨단기술의 결정체, 수운의상대
물시계의 한계를 극복한 모래시계
Zoom In 다양한 물시계의 작동 원리
Chapter 6 기계식 시계가 발명되다
혁명이 일어나기 전
시계추의 물리학
진자시계의 한계
Zoom In 갈릴레오의 진자 실험
Chapter 7 별을 이용한 시간의 측정
혼란스러운 금성의 주기
사라졌다 나타나는 행성
행성의 운동을 정리한 천문학의 천재
Chapter 8 천체 시계를 만든 철학 혁명
행성의 운동 법칙을 발견하다
목성의 위성들
빛의 속도를 계산하다
Chapter 9 달을 이용한 시간 측정
뉴턴의 세계관과 그 계승자들
달 주기표를 완성한 마이어스
Zoom In 항해를 위한 시간 측정법
Chapter 10 항해력과 해상시계의 탄생
정확한 항해용 시계를 제작하라
바다 위의 시계
천재와 장인
Zoom In 휴대용 시계의 등장
Chapter 11 시간을 정의하는 다양한 기준
철도를 위한 표준 시간
본초자오선을 둘러싼 경쟁
일광 시간 절약제
Zoom In 시간을 동기화하는 방법
Chapter 12 시간과 공간의 패러다임이 바뀌다
시간의 철학
빛의 속도와 속성
아인슈타인 이전의 상대성 이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위치가 달라지면 시간도 달라진다
Zoom In 열차 안의 시간, 열차 밖의 시간
Chapter 13 양자역학이 가져온 또 하나의 시간 혁명
빛과 어두움의 선
진자시계에서 원자시계까지
원자시계의 작동원리
Zoom In 공식적인 세계 시간의 측정
Chapter 14 중력과 시간의 상관관계
아인슈타인의 행복한 공상
엘리베이터 안의 마법
중력에 의한 시간 지연
중력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Zoom In 빛의 굴절 현상
Chapter 15 시간 측정의 대중화
달러를 유명하게 만든 시계
더 정밀한 시계를 위한 경쟁
크리스탈 혁명
시계의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
Zoom In 수정시계의 원리
Chapter 16 시간의 미래
세슘시계를 뛰어넘는 원자시계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
더 정밀한 시계를 향한 갈망
Zoom In 세슘시계가 사용되는 이유
감사의 글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뉴그레인지 석실분의 중앙 통로는 원래 언덕의 경사면보다 살짝 높은 위치에 있다. 즉, 중앙 묘실의 바닥은 지붕 상자의 윗부분보다 약간 낮다. 바닥에서부터 지붕 상자를 지나는 직선을 그어보면 남동쪽 지평선으로 연장되어 일출 지점의 가장 남쪽에 가까운 곳에 닿는다. 동짓날 아침이 되면 좁은 햇빛이 지붕 상자를 통해 중앙 묘실까지 비추면서 1년 중 유일하게 중앙 묘실에 자연광이 들어온다.
오켈리의 발굴 이후에도 뉴그레인지를 누가 건축했는지, 그곳에서 어떤 의식이 치러졌는지 등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었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뉴그레인지 석실분의 본질이 시계이며, 건축 이후5 ,000년 이상 완벽하게 작동해왔다는 사실이다.
순환 주기의 이런 불일치 현상은 역법을 설계할 때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적어도 태양과 달의 주기 중 하나는 완벽하게 들어맞을 수가 없는 것이다. 그 결과 사계절에 맞춰 살아야 하는 농경사회에서는 태양의 움직임이 무엇보다 중요했으므로, 어쩔 수 없이 달의 움직임을 무시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다. 그러나 지평선을 따라 일출 지점이 변화하는 속도는 너무나 느려서 하루 단위의 변화는 거의 알아차릴 수 없는 데 비해, 달의 위상은 쉽게 눈에 띌 정도로 빠르게 변화한다. 그러므로 달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려는 유혹은 거부할 수 없는 것이었다.
술툰의 천문 계산이 석주 벽화로 그려진 시기는 고대 마야 말기로, 그 시대를 지배했던 몇몇 도시국가들이 마지막 붕괴 단계에 접어든 지 한참 지났을 때였다. 그들이 기록을 남긴 당시 상황과 함께 여기에 관련되는 장대한 시간 범위는 그들이 시간적 주기를 먼 미래로 투영하는 일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그들의 세계관이 현대인의 그것과 매우 달랐음을 넌지시 알려준다. 마야
인들에게 롱 카운트는 단 한 번의 재앙을 향해 다가가는 종말의 초읽기가 아니라 끝없이 이어지며 반복되는 주기의 연장선이었다. 술툰 유적 발굴을 주도했던 보스턴대학교의 고고학자 윌리엄 사투르노가 시적으로 표현했듯이, 서구인들의 시선은 “언제나 종말을 향하지만, 마야인이 추구한 것은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 세상이었다. 그들의 사고방식은 우리와 전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