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9117117619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06-14
책 소개
목차
서문 - 『군주론』 번역과 해설의 이상과 현실
군주론
로렌조 데 메디치 전하께
제1장 군주국의 종류와 군주국 건립 방식들
제2장 세습 군주국
제3장 복합 군주국
제4장 알렉산더 대왕이 정복했던 다리우스 왕국에서는 대왕이 죽은 후 왜 인민들이 그의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제5장 점령되기 이전에 자신들의 법에 따라서 살아온 자치도시나 군주국은 어떤 방식으로 통치해야 하는가?
제6장 자기 군대와 비르투로 획득한 신생 군주국에 대하여
제7장 타인의 무력과 포르투나로 획득한 신생 군주국에 대하여
제8장 사악한 방법을 사용하여 군주가 된 인물들에 관하여
제9장 시민 군주국에 관하여
제10장 모든 군주국의 국력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제11장 교회 군주국에 대하여
제12장 군대의 다양한 종류와 용병
제13장 (지)원군, 혼성군, 자국군에 관하여
제14장 군주는 군사 업무 관련 처신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제15장 사람들, 특히 군주가 칭송받거나 비난받는 일들에 관하여
제16장 관후함과 인색함에 관하여
제17장 잔인함과 인자함, 그리고 사랑을 느끼게 하는 것과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중 어느 편이 더 나은가에 대하여
제18장 군주는 어떤 방식으로 신의를 지켜야 하는가
제19장 경멸과 증오를 어떤 방식으로 피할 수 있는가
제20장 요새 구축과 일상적으로 행하는 수많은 일들이 군주에게 유용한 직무일 것인지 아닐 것인지에 관하여
제21장 군주는 자기 명성과 명예를 드높이기 위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제22장 군주의 측근 신하들(각료들)에 대하여
제23장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제24장 어떻게 해서 이탈리아의 군주들은 나라를 잃게 되었는가
제25장 포르투나는 인간사에 얼마나 많은 힘을 행사하고, 인간은 어떻게 포르투나에 저항하는가?
제26장 야만족의 지배로부터 이탈리아를 해방시키기 위한 호소
해설
제1장 마키아벨리의 삶과 정치 역정
제2장 마키아벨리의 저서와 정치사상
제3장 마키아벨리 정치학과 군주론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그러나 신생 군주국에서는 어려운 문제들에 봉착하게 됩니다. 무엇보다 모든 신생 군주국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존 군주국의 속국처럼 병합된 경우(이렇게 병합된 국가를 복합 군주국principato misto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변수들이 처음부터 자연스럽게 발생한 어려움으로부터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한 자연발생적인 어려움은 모든 곳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새로운 것이기도 합니다. 인민들은 자신들의 처지를 개선할 수 있다고 믿으면 자발적으로 지배자인 군주들을 갈아치우려고 하며, 이런 믿음으로 인해서 통치자에 맞서 무기를 들고 봉기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들은 속았던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뒤늦게 자신들의 상황이 악화되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자연적이고 일반적인 또 다른 필연성에 의해 비롯되기도 합니다. 신생 군주가 되기 위해서는, 그러한 필연성은 항상 자기 군대를 통해 신민들에게 해를 입히거나, 혹은 새로운 국가를 정복하기 위해 뒤따르는 무수히 많은 희생과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필연성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기 마련입니다.
_제3장
인민들이 스스로 만든 법에 따라서 자유롭게 사는데 익숙한 국가를 정복했을 경우, 그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정복한 국가를 파괴하는 것이고, 둘째, 정복한 국가에 가서 거주하며 사는 것이며, 셋째, 정복한 국가의 법에 따라 계속해서 예전처럼 살게 내버려 두면서 공물을 바치게 하고, 정복자와 지속해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소수의 사람으로 과두정부를 구성하여 지배하는 것입니다.
_제5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