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통의 도약

고통의 도약

(트라우마 후 성장을 위한 감정, 관계, 삶의 회복)

이재희 (지은이)
시공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통의 도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통의 도약 (트라우마 후 성장을 위한 감정, 관계, 삶의 회복)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71258314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5-07-15

책 소개

암 생존자의 트라우마와 성장을 오랜 시간 연구해 온 이재희 교수가 트라우마 후 성장 개념을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한다. 트라우마 후 성장은 무엇이고,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며, 어떻게 하면 그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목차

나의 평생 연구, 트라우마 후 성장의 이유와 여정

1장. 트라우마 이해
트라우마와 스트레스, 그 미묘한 차이
끔찍함의 기준은 누구에게나 다르다
왜 트라우마 후 성장인가?

2장. 트라우마 후 스트레스
트라우마 자가 진단 측정법
플래시백
되풀이되는 기억
악몽
트리거
신체적 반응

3장. 트라우마 후 성장
트라우마 후 성장의 다섯 가지 영역
내면의 강인함
새로운 가능성 발견
타인과의 관계 향상
삶에 대한 감사
영적 변화

4장. 트라우마 후 첫걸음
트라우마를 넘어 다음 이야기로
나를 지키는 본능
스트레스 대처 전략
감정 알아차리는 연습
나를 마주하는 용기
건강한 자기 돌봄
나와 타인의 경계 설정

5장. 트라우마 너머
트라우마 이후 다시 쓰는 삶
그 생각, 그 걱정은 가짜다
강박적 사고 떨치기
삶의 방향을 바꾸는 질문
다시 괜찮아질 수 있다는 증거들
감정의 파도에서 나를 지키는 일
성장의 열쇠는 내 손에 있다
혼자가 아닌 함께 성장하기

글을 마치며
참고 문헌

저자소개

이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죽음과 사별, 상실을 경험한 이들의 트라우마 후 성장을 중심으로 연구·교육·상담을 하고 있다.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이 성장, 치유하기를 바라는 실천가이자 연구자다. 오랜 시간 트라우마 후 성장을 연구하며, 언젠가 한국의 독자들과 경험을 나누고자 이 책을 썼다. 저자는 유년기의 상처, 유학 시절의 고립감, 아버지의 죽음을 지나며 삶의 여러 겹에서 트라우마와 마주했고, 그 고통을 어떻게 회복과 성장으로 전환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이 책은 그런 시간의 축적 위에서 쓰인 글이다. 이 글은 상처를 이해하고, 감정을 수용하고, 관계를 회복하며, 삶과 연결되는 길을 찾도록 돕는 실천적 안내서다. 2011년, 사진을 활용해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연구 방법인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국내에 처음 도입해 학계와 현장에 새로운 흐름을 열었다. 2016년에는 문제 해결 기술 훈련 프로그램(Bright IDEAS)을 국내에 처음 소개했다. 현재 이 프로그램은 소아암 생존자와 가족을 위한 심리 사회적 지원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 보건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2022-현재) *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 노화 및 평생 건강 연구소 연구 펠로(2022-현재) *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아동 종양 그룹 위원(2016-2019) * 미국 유타 대학교 사회복지대학 교수(2011-2022) * 미국 헌츠먼 암 연구소 연구원 (2011-2022) *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학위(2011) * 미국 소아암 사회복지사 협회 이사회 이사 및 연구 위원장(2010-2016) * 미국 국립 의학 아카데미 크리스틴 미르자얀 과학 기술 정책 대학원 펠로(2004) * 미국 미시간 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학위(2005) *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학위(1994)
펼치기

책속에서



‘트라우마’라고 부르려면 그 사건이 개인의 존재와 생명에 대한 근본적인 위협이 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세계관, 인생관, 자아관까지 흔들려야 한다. 즉, 트라우마는 그 안에 ‘변화의 성격’을 담는다. 어떠한 형태로든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은 변화하게 된다. 이전의 ‘나’와 트라우마를 경험한 이후의 ‘나’는 명백한 차이를 보인다. 바로 이러한 근본적인 변화의 본질이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를 구분하는 핵심이다.
“트라우마와 스트레스, 그 미묘한 차이” 중에서


트라우마 이후의 삶이란, 삶의 밀도를 다시 조정하는 경험이다. 더 크고 화려한 것이 아닌, 더 작고 본질적인 것에 눈이 머무는 순간이 많아진다.
“삶에 대한 감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