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71520275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24-03-01
책 소개
목차
서문 / 미래에도 사회 제도의 한 축으로 대학이 존재하길 바라며
|제1부| 대학 교육 개혁을 왜 해야 하는가?
1장 / 내가 다시 태어난다면 대학에 진학할까?
1 메가 트렌드로 보는 대학의 위기
2 대학 교육과 산업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
3 지금과 다른 고등 교육의 탄생과 선택
2장 / 대학은 미래 변화에 맞추어져 있는가?
1 디지털 혁명과 미래 대학 변화
2 사회 변화와 미래 대학 변화
3 교육 공급 기관에서 플랫폼 대학으로의 미래 변화
4 전공 중심에서 초월 전공의 대학 패러다임 변화
|제2부|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3장 / 수요자 중심의 교육 과정 혁신
1 북아메리카 선진 대학의 혁신 교육 과정 | 미국, 캐나다 |
2 유럽 선진 대학의 혁신 교육 과정 | 프랑스, 핀란드, 네덜란드, 독일 |
3 아시아 선진 대학의 혁신 교육 과정 | 튀르키예, 대한민국, 중국, 싱가포르
4장 / 대학 학문 구조의 혁신
1 대학 구조 체계의 혁신
2 교육 과정 운영의 혁신
|제3부| 어떻게 해야 할까?
5장 / 교육 경영체로서의 대학 변화
1 대학 경영 혁신-IR 시스템 도입
2 교육 수요 다변화에 대한 대학의 재정 건전성 확보
3 교수 구성과 관련한 제도 개혁
4 미래 인재 수요자를 위한 새로운 협력
5 미래를 대비한 재무 구조 혁신을 위한 정부, 기업, 대학의 협력
6장 / 미래 변화 속에서의 대학
1 교육 공동체의 대학 변화 요구와 책임
2 지역 기반을 탈피한 고등 교육 정착
3 행복을 관리하는 대학 교육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많은 미래 학자는 변혁에 따른 대학의 위기를 주장하고 있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와 경제학자 피터 드러커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캠퍼스가 사라지고 전 세계 대학의 절반은 20년 내에 문을 닫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UN 미래보고서는 2030년에 사라지는 10가지 중 하나가 강의실과 공교육이고 전통적인 대학 교실 수업의 90퍼센트는 개방형 온라인 교육으로 대체된다고 밝혔다. 케빈 켈리Kevin Kelly는 100년 전통의 기존 대학은 20년 이내에 사라진다는 극단적인 예견을 하였고, 대학 교수 이현청은 한국의 대학이 2030년에 60개 정도 사라질 것으로 전망하였다(박영숙 & 제롬 글렌, 2016).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대학의 위기에 학생들이 진학을 희망하는 대학으로 혁신해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을 완수해야 할 책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저자가 동국대학교에서 미래인재개발원장 재임 시 입학부터 학생들의 개인별 진로, 역량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드림패스(DreamPATH) 시스템을 최초로 개발하였다. 드림패스는 그 이후 총장 재임 때까지 미래 인재상에 맞춘 학생의 역량 개발을 위해서 프로그램의 고도화를 추진했던 동국대학교의 고유 프로그램이다. 2014년 당시 학부 교육 선진화(ACE) 사업의 목표는 역량을 갖춘 리더를 대학에서부터 관리해야 한다는 목표가 있었지만, 대학에서는 역량 및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는 것을 파악하게 되었고, 이에 동국대학교만의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입학에서부터 관리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키우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