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에서 가족학(가족관계 및 교육, 가족문화)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2017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서울 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교수학습·상담심리 연구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교직부 소속으로 <심리검사를 활용한 심리치 료>와 <심리학의 이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가정법원 상담위원으로 2014년부터 현재까지 활동 중이며, 2022년부터는 통일부 통일교육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 관심사는 가족관계, 심리상담, 문화 갈등, 남북 사회 통합 등입니다. 주요 논문으로는 「50~60대 북한이주 남성들의 일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의 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20대 이혼을 결심한 신혼기 부부에 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북한이주민과 근무하는 남한 사람들의 직장생활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등 60여 편이 있으며, 저서로는 『절박한 삶』(2021년 서울대학교 다양성 위원회 선정 도서), 『21세기 부모 교육』(2023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 도서), 『북한이주민과 지역 사회복지』(2024년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 선정 도서), 『공감을 넘어, 서로를 잇다』(2024) 등이 있습니다. 2016년 KBS 〈생로병사의 비밀 : 뇌의 기적〉 600회 특집에 부부상담사로 출연하였고, 2021년 KBS 통일열차 일요초대석, 2024년 BBC Korea(‘북한에도 동성애가 있을까? 개념조차 없이 부정당하는 북한 성소수자, 인권 침해로 봐야 할까’)에도 출연하였습니다.
펼치기
하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이다.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로, 통일부 남북관계관리단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예술·미디어·기술을 통해 북한사회와 남한 내 북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둘러싼 제도와 정책 구조에 관심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AI 시대 북한 정보 개방을 위한 남한 사회의 구조적 전환>(2025), <남북대화의 협상 커뮤니케이션 유형 구조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1971년 남북적십자 파견원접촉 사례를 중심으로>(2025), <북한 주민들의 노래 개사를 통한 현실 풍자와 규범의 전복: 폐쇄된 사회의 창조적 저항>(2024) 등이 있다.
펼치기
한기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북한 개발협력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국제사회이론 연구로 통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남북관계의 현장과 이론의 조화를 중시하며, 통일부 과장(서기관) 재직 당시 개성 남측 상주대표로 근무했다. 경인통일교육센터 사무처장과 제5대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한국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고 제7회 국립외교원 학술논문상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현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 교수 겸 연구실장이며, (사)북한연구학회 대외협력위원장 겸 《아주경제》 필진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연구 및 저서로는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Republic of Korea: With a Case Study of Latin America,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6-1(2016), 「숙적관계(rivalry) 이론의 남북한 분쟁관계 적용 가능성 검토」, 『통일연구』 제20권 2호(2016), 「남북한 체제통합을 위한 기능주의 대북정책의 재고찰」, 『통일연구』 제23권 1호(2019), 「지속가능한 남북한 인도주의 협력을 위한 제도적 연구」, 『법제연구』 제58호(2020), 「북한 개발협력에 관한 연구경향과 대안이론 검토」, 『입법학연구』 제17집 2호(2020), 「한미동맹이 남북한 라이벌리(rivalry)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제39권 2호(2020), 「북한 내 취약계층의 SDGs 달성을 위한 남북교류협력방안 모색」, 『통일연구』 제26권 1호(2022), The Perpetuated Hostility in the Inter-Korean Rivalry, KOREA OBSERVER, 49-2(공저, 2018), 『북한의 복지 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남북한 교류협력 방안 연구』, (공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한반도 평화를 향한 다섯 가지 시선』(공저, 선인 2024),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일상·접촉·공존』(대표저자, 한국학술정보 2024), “고령화 사회 북한과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과제” 『문화와 정치』 제11권 4호(2024), “북한의 대남 적대인식 환경 연구 -연락·협의기구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제29권 1호(2025), 『경기도민 통일인식 실태 분석과 통일교육의 과제: 2021년과 2024년, 3년간의 변화』(한국학술정보 2025) 등이 있다.
펼치기
손인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통일학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반도 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로서 통일,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남북보건의료협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한반도평화연구원 행정팀장,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간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연구위원, 23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위원이다. 저서로는 『트라우마와 사회치유』(공저, 역사비평사, 2019), 『통일보건의료의 미래』(공저, 박영사, 2023)가 있다.
펼치기
조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통일학협동과정에서 통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이자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이다. 또한, 통일부 산하 통일교육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최근 연구는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사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표연구로는 “The Weakening of Social Control in North Korea since the Arduous March: The Case of Physical Education”(2023), “흥남철수작전의 재구성: 아비규환과 질서정연 사이의 진실 재조명”(공저, 2019)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