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018380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2-28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Part 1 우리 마음의 심리적ㆍ문화적 경계
Chapter 01
집단 간 갈등의 심리적 원인과 결과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 김찬중ㆍ이미나
Chapter 02
미디어의 이주민 타자화에 관한 문화연구적 시선 / 방희경
Chapter 03
인식의 가두리 안에 갇혀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에 관한 시론 / 이호규ㆍ김범수
Part 2 일상에서의 경계들에 대한 성찰
Chapter 04
경계에서 만난 사람들 / 박상영
Chapter 05
‘먼저 온 통일촌’이라 불리는 영국 뉴몰든 이야기 / 고선영
Chapter 06
이주여성과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마음속에 쌓이는 경계들 / 강봉수
Chapter 07
한국에서의 유학 생활과 다름에 관한 생각 / 조우징
Chapter 08
손안에 있는 새 / 금선희
Part 3 미디어와 언론에서의 경계와 갈등
Chapter 09
TV 뉴스의 북한이주민 재현 / 오원환
Chapter 10
고려인을 다룬 미디어의 시선 / 신유리
Chapter 11
TV 프로그램에서 사라진 결혼이주여성 / 윤복실
Chapter 12
미디어 재현 속 외국인 거주 공간 / 김성은
Chapter 13
신문 사설이 재현하는 북한이주민의 모습 / 김활빈
Chapter 14
위험한 간첩, 불쌍한 인간: 한국 영화 속의 북한 공작원 이미지 / 노광우
Chapter 15
구분 짓기와 차이 두기의 국경: UNITV의 북한 캠페인과 소통 전략 / 김해영
Part 4 우리 마음의 경계 지우기
Chapter 16
재난과 다문화 시대, ‘해결지향 평화저널리즘’이 필요한 이유와 실천 사례 / 정의철
Chapter 17
이주민, 손님이 아닌 주인으로 / 이종희ㆍ이경숙
Chapter 18
탈북민들의 미디어를 활용한 경계 넘기 / 조수진
Chapter 19
메타버스 공간에서 국경의 의미 / 김대경
Chapter 20
메타버스에서 마음의 경계 넘기 / 하승희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로 다른 집단 간 마음의 경계를 없애고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을 들자면 집단 간 만남이 있다. 집단 간 만남이 편견과 차별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라는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많은 연구를 통해 확인되어 왔다.
- Chapter 01 집단 간 갈등의 심리적 원인과 결과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한국 사회에서는 오랫동안 ‘단군의 자손’이란 신화가 역사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었고 그를 바탕으로 ‘순혈주의’와 ‘단일민족주의’가 작동했다. 이런 환경에서 다른 민족의 사람들에게 배타적 태도를 보이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민족 외부의 사람들에게 배타적 태도를 보이는 것은 윤리·도덕적으로 옳지 못하고 실용적 측면에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 Chapter 02 미디어의 이주민 타자화에 관한 문화연구적 시선
익명의 온라인 커뮤니티 및 소셜미디어 공간에서는 누구나 특정 인물, 집단, 지역에 대한 고정관념과 감정적 편견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자신의 표현이 누군가에겐 상처가 될 수 있다.
- Chapter 03 인식의 가두리 안에 갇혀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에 관한 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