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72611347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5-02-17
책 소개
목차
서문
1 고따마 부처님
완전한 깨달음, 그리고 깨달음의 증명│부처님이 밝힌 깨달음의 과정│여래십호, 여래십력, 네 가지 두려움 없음│믿음과 계│타 종교와 외도에 대한 부처님의 배려│보시의 결실│세 부류의 사람│부처님은 요술쟁이라는 소문│자신과 법을 섬으로 삼아라│경장, 율장, 논장
2 초기불교의 가르침
초기불교의 공(空)│무기(無記), 설명하지 않음│화의 파괴력, 탐진치│지혜와 마음을 다스리는 훈련│갈등 해결│버려야 할 것들│지계(持戒), 불교 공부와 수행의 바탕│신통과 가르침의 기적│라훌라여, 다시는 태어나지 마라│독송하면 보호받는 경들
3 윤회와 업
윤회는 있다│천신(天神)은 있다│사람으로 태어난다는 것│업이란 무엇인가│업과 윤회의 법칙 1 : 범부와 성자│업과 윤회의 법칙 2 : 업의 종류│업과 윤회의 법칙 3 : 과보를 가져오는 조건│업과 윤회의 법칙 4 : 업의 멈춤│업과 윤회의 법칙 5 : 예류자가 되려면
4 몸· 느낌· 마음· 법
4념처 수행은 왜 중요한가│정념(正念), 바른 마음챙김이란│《대념처경》 요약│신념처 1 :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신념처 2 : 네 가지 자세, 분명하게 알아차림│신념처 3 : 몸의 서른두 가지 혐오4, 대, 공동묘지 관찰│수념처와 심념처│법념처 1 : 다섯 가지 장애와 다섯 가지 무더기, 여섯 가지 감각 장소와 족쇄│법념처 2 :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법념처 3 :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① 고성제, 집성제│법념처 4 :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② 멸성제, 도성제
5 마지막 가르침
《대반열반경》 속 부처님 최후의 발자취│윤회를 벗어나 깨달음으로│마지막 안거, 열반의 암시│여덟 가지 지배와 여덟 가지 해탈│보리분법, 네 가지 큰 권위, 마지막 공양│한 쌍의 살라 나무 아래에서│마지막 제자, 마지막 유훈│부처님의 반열반│부처님이 계시지 않는 지금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부처님을 더 많이 이해할수록 불교를 더 정확하게 보게 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면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부처님을 알고자 노력해야 한다. 우리가 부처님을 이해할 때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노력을 하신 분’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언컨대 부처님의 노력을 이해하려 할 때 불교가 정확히 보일 것이고, 그 길을 따른다면 비로소 무엇을 실천해야 하는지 알게 되며, 누구든지 부처님만큼 노력한다면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은 인과 법칙에 따라 일어나는데, 그것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잡아당기든지 밀어내게 된다.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 것이 어리석음이고, 잡아당기는 것이 욕망이며, 밀어내는 것이 성냄이다. 성냄은 인상을 쓰고 화를 내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미 일어난 일을 거부하는 것이 근본이다. 이러한 욕망, 성냄, 어리석음을 소멸시키는 길이 중도이고 8정도이며, 누구든지 와서 보고 스스로 알 수 있는 것이다.
공에 대한 수행은 지금 앉아 있는 곳에서 시작할 수 있다. 우리를 힘들게 하고 번잡하고 피곤하게 하는 것들을 하나씩 없애고, 앉은 자리에서 ‘항상하다, 즐겁다, 이것은 나의 것이다’라는 표상이 없는 경지를 이루고 나면, ‘무상, 고, 무아도 한계가 있다, 이것 또한 형성된 것이다’라고 그것의 한계를 넘어서고 아라한의 경지에 갈 수 있다. 우리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들을 없애서 공한 경지를 얻어야 한다. 이것이 공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