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식론적 인지와 발달

인식론적 인지와 발달

(정당화와 진리의 심리학)

David Moshman (지은이), 이인태, 신호재 (옮긴이)
박영스토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식론적 인지와 발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식론적 인지와 발달 (정당화와 진리의 심리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회/심리학
· ISBN : 9791172790738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철학적 인식론과 인지 심리학의 기초를 검토한 후, 아동기 및 이후 단계에서 지식의 발달적 변화를 다룬다. 특히, 객관성과 주관성, 합리성, 정당화, 그리고 진리와 같은 근본적인 개념과 관련된 지식의 변화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다.

목차

한국 독자들을 위한 서문 ............................................................................... 1
인식론적 인지와 발달 .................................................................................... 3
추천사 ...................................................................................................................................... 4
서문 ......................................................................................................................................... 8
역자 서문 ............................................................................................................................... 10

I
Ⅰ 인식론과 인지

1. 명왕성에 닥친 위험 ....................................................................... 22
위험에 빠진 명왕성 ............................................................................................... 22
세 가지 인식론 ..................................................................................................... 25
행성 문제 ............................................................................................................. 30
이 책의 개요 ........................................................................................................ 31
2. 진리와 정당화에 대한 연구............................................................. 34
인식론: 지식에 대한 이론 ...................................................................................... 35
정당화된 참인 믿음으로서의 지식 .......................................................................... 35
정당화, 진리, 그리고 회의주의 .............................................................................. 39
지식 유형의 구분 .................................................................................................. 43
철학과 심리학 ...................................................................................................... 45
피아제의 발달적 인식론 ........................................................................................ 48
결론 .................................................................................................................... 50
3. 인지와 메타인지 ............................................................................ 52
인지: 지식과 추리 ................................................................................................. 52
메타인지와 자기규제 ............................................................................................ 55
합리성의 세 가지 개념 .......................................................................................... 57
어디에나 존재하는 추리 ........................................................................................ 59
이중 처리 ............................................................................................................. 62
인지 발달 ............................................................................................................. 66
결론 .................................................................................................................... 68


Ⅱ 인식론적 인지와 발달

4. 인식론적 인지 ............................................................................. 74
페리의 이론,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 ........................................................................ 75
아동 발달에 관한 세 가지의 문헌 ........................................................................... 78
교육에 관한 두 가지의 문헌 ................................................................................... 81
너무나 많은 영역들 ............................................................................................... 85
결론 .................................................................................................................... 88
5. 아동기의 인식론적 발달 ................................................................. 90
거짓 믿음의 발견 .................................................................................................. 91
미취학 아동의 마음 이론 ....................................................................................... 93
구성주의자적 마음 이론 ........................................................................................ 97
인식론적 발달의 과정 ......................................................................................... 102
결론 .................................................................................................................. 105
6. 아동기 이후의 인식론적 발달 ........................................................106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페리의 연구 .......................................................................107
성찰에 대한 킹과 키치너의 연구 ..........................................................................111
객관성과 주관성에 대한 맨스필드와 클린치의 연구 ..............................................115
청소년에 대한 챈들러의 연구 ..............................................................................118
추론에 대한 쿤의 연구 ........................................................................................121
인식론적 발달의 패턴 .........................................................................................125
결론 ..................................................................................................................128

Ⅲ 인식론적 영역

7. 과학과 논리의 인식론 ...................................................................134
메타논리적 이해 .................................................................................................135
메타논리적 이해의 발달 ......................................................................................137
메타논리적 이해의 구성 ......................................................................................142
과학의 인식론 ....................................................................................................144
과학 인식론의 발달 .............................................................................................146
논리적 추론과 과학적 추론 ..................................................................................150
결론 ..................................................................................................................153
8. 도덕성과 사회적 관습의 인식론 .....................................................154
도덕 인식론 ........................................................................................................155
도덕 발달 ...........................................................................................................157
원칙에 입각한 도덕 추론 .....................................................................................164
사회적 관습의 합리성 .........................................................................................168
선례에 기반한 추론 .............................................................................................170
헌법적 추론 ........................................................................................................173
결론 .................................................................................................................. 176
9. 역사와 정체성의 인식론 ................................................................177
확장의 위험성 .................................................................................................... 177
역사의 인식론 .................................................................................................... 178
역사는 과학인가? ............................................................................................... 184
정체성의 인식론 ................................................................................................. 187
인식론적 영역의 합리적 구성 .............................................................................. 192
결론 .................................................................................................................. 193


Ⅳ 진리에 대한 진리
10. 이론적 결론 .................................................................................198
인식론적 인지에 관한 발달적 이론 ....................................................................... 198
10개의 핵심 개념 ............................................................................................... 201
인지와 발달 ........................................................................................................ 203
인식론적 인지와 발달 ......................................................................................... 204
결론 .................................................................................................................. 213
11. 인식론의 실천 ............................................................................. 215
응용 인식론 ........................................................................................................ 215
창조, 진화, 그리고 과학 교육 ............................................................................... 217
정체성, 역사, 그리고 도덕성 ................................................................................ 223
심의와 민주주의 ................................................................................................. 227
결론 .................................................................................................................. 231
12. 향후 연구 전망 ............................................................................ 232
인식론의 범위 .................................................................................................... 233
메타인지 ............................................................................................................236
지식의 원천에 대한 지식 .....................................................................................240
인식론적 영역에 대한 지식 ..................................................................................243
인식론적 덕과 합리적 정체성 ..............................................................................245
결론 ..................................................................................................................246
용어 정리 ........................................................................................ 248
참고 문헌 ........................................................................................ 252

저자소개

이인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기도에서 10여 년간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 심리학, 발달 심리학,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 등이다. 저서로는 『초등도덕과 교육론』(공저),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공저),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청소년의 합리성과 발달』(공역), 『도덕 발달과 실재』(공역)가 있으며, 그 외에도 도덕 · 윤리과 교육 관련 수십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신호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며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 · 학습, 교육평가 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구성과 실행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과 교육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도덕 심리학과 도덕철학, 인성교육, 시민교육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미디어와 인격권’ 교육: 커리큘럼 및 활성화 방안』(공저), 『현대 한국사회와 시민성』(공저),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청소년의 합리성과 발달』(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국가 인성교육 정책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본 틀 연구」, 「디지털 시민교육의 의의 및 도덕과 접근 방안 탐색」, 「민주시민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까지」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