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치·사회 사상과 통일교육

정치·사회 사상과 통일교육

조일수, 박성근, 신호재, 조주현, 김상범, 허윤회, 김형렬, 임상수, 박균열, 신원동, 박찬석 (지은이), 한국윤리학회 (엮은이)
울력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치·사회 사상과 통일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치·사회 사상과 통일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85136776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서구 근현대를 관통하는 주요 정치·사회 사상을 망라하는 심도 있는 내용과 체계적인 구성으로 정치 사회 사상 전반에 대한 포괄적 접근과 균형 잡힌 이해를 위한 최적의 지침서이다.” 그리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남북한 관계와 통일 문제 그리고 학교 통일 교육의 핵심을 파악하는 안내서”이다.

목차

1. 자유주의 및 공동체주의 사상 ― 조일수
2.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화주의 ― 박성근
3. 대의 및 참여 민주주의 ― 신호재
4. 하버마스와 롤스의 심의 민주주의 ― 조주현
5. 롤스의 정의론 ― 김상범
6. 분배 정의 ― 허윤희
7. 고전적 사회계약론 ― 김형렬
8.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고민 ― 임상수
9. 국제 문제에 대한 윤리적 쟁점과 대안 ― 박균열
10. 북한 이해 ― 신원동
11. 통일 교육의 지향 ― 박찬석

저자소개

박균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윤리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경상국립대학교에서 학사, 서울대학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역복무 중에는 서부사하라에서 영어통역장교로 UN 평화유지활동(PKO)을 수행한 바 있고, 이어서 국방부 대변인실 외신보도장교, 육군3사관학교 교수로 복무했으며, 전역 후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미국 UCLA 한국학센터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현 소속 대학에서 주로 정치윤리 분야를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고, 도덕교육방법론으로 도덕성 측정과 인공지능윤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치의식 판단을 위한 전자장치 및 방법」(2021년, 등록번호: 10-2238586)과 「인공지능의 자율적 도덕 판단 및 수행을 위한 시스템」(2021년, 등록번호: 10-2241311)이라는 주제로 2건의 특허가 특허청에 등록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Community, Ethics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공저), 『도덕판단력측정』(공저), 『평화안보와 가치교육』, 『국가윤리교육론』(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성서 속의 인물과 윤리적 역량: 모세오경』(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음악윤리학』, 『인간안보』(공역), 『심리치료와 상담의 윤리학』(공역), 『공감과 도덕발달』(공역), 『윤리탐구공동체교육론』(공역)(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다문화주의 윤리학』(공역),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조일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지털민주주의 형성을 위한 민주시민성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충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정치철학 및 정치사상, 시민 교육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왈쩌(M. Walzer)의 정의 전쟁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화주의적 애국심에 대한 연구」, 「공화주의적 시민성에 대한 연구」, 「정치적 의무의 정당성 여부에 대한 연구」, 「학교 시민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애국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가능성 연구」, 「디지털 시민의식에 대한 규범적 연구」, “Digital Democracy and the Citizenship for the Information Age” 등이 있고, 『정보화시대의 사이버윤리』(공역)를 번역하였다.
펼치기
조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도덕교육(정치철학)을 전공하여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4년부터 국립목포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중·고등학교 교과서인 『도덕 1, 2』, 『생활과 윤리』 과목 개발에 대표 저자로 참여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 대한 공로로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 전문 강사와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출판이사를 맡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정의론 구축에 관한 연구」, 「하버마스와 롤스의 심의민주주의 연구」, 「자유주의 시민성과 도덕과 인성교육의 과제」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미디어와 윤리』, 『현대 한국 사회와 시민성』(공저), 『시민성 이론과 시민교육』(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호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며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 · 학습, 교육평가 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구성과 실행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과 교육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도덕 심리학과 도덕철학, 인성교육, 시민교육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미디어와 인격권’ 교육: 커리큘럼 및 활성화 방안』(공저), 『현대 한국사회와 시민성』(공저),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청소년의 합리성과 발달』(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국가 인성교육 정책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본 틀 연구」, 「디지털 시민교육의 의의 및 도덕과 접근 방안 탐색」, 「민주시민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까지」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형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및 대학원에서 윤리교육을 전공하였다. Fulbright Graduate Student Fellowship 수혜를 받고 미국 UCLA에서 국제 비교 교육과 시민교육을 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고교유형별 청소년 사회참여역량의 차이」, “Immigration status and adolescents’voting intention in 17 European countries: The importance of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context”, “A Cross-national examination of political trust in adolescence: The effects of adolesc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country’s democratic governance” 등이 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고교유형이 학생의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주배경 청소년의 정치 사회화에 대한 연구”, “북한 이탈 청소년의 정치 사회화에 대한 연구” 등의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를 수행해 왔다.
펼치기
허윤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대학원에서 「견제 민주주의의 시민교육적 함의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응용윤리, 시민 교육, 다문화 교육 등이다. 주요 연구로는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공역), 「넛지의 도덕과 교육에의 함의와 활용 방안」, 「공화주의적 심의와 도덕과 교육에의 함의」, 「회복적 정의의 비판적 검토」, 「담론윤리의 도덕과 교육에의 함의와 적용 방안」, 「도덕과에서 토의·토론 교육 방안 연구」, 「자율 개념과 도덕 교과서 내용 분석」 등이 있다.
펼치기
임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지털 정보사회의 정보윤리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 언주중학교 교사와 서울여자대학교 정보영상학부 초빙 교수를 거쳐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 윤리, 학교 폭력과 사이버 불링,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 교육 등이다. 도덕교육의 수업 방법론과 정보 윤리 이슈에 관한 다수의 연구를 비롯해, 고령자 운전면허 반납, 재외동포의 귀환과 사회 통합 등의 ‘생활과 윤리’에 관련되는 주제들을 다양하게 접근하고 있다.
펼치기
박성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정치철학 및 정치사상, 통일 교육, 시민 교육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신로마 공화주의에서 공동선 개념의 의미」, 「페팃의 헌정적 공화주의와 도덕 교육의 과제」, 「마키아벨리 공화주의의 도덕 교육 적용 연구: 『로마사 논고』를 중심으로」, 「존 롤스의 정의론과 도덕 교육」 등이 있고, 『모드락 시민성과 시민교육』(공저) 등의 책을 펴냈다.
펼치기
박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대학원에서 「한국 통일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도덕 윤리 교육, 통일 교육, 다문화 교육 등이다. 주요 연구 저서로는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 실제』(공저), 『초등 도덕과 교육론』(공저), 『북한 교육 연구』(공저), 『남남갈등 대립으로 끝날 것인가』, 『도덕, 통일 그리고 통합』, 『안보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상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수
펼치기
신원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험주의 교육으로서의 봉사학습과 봉사활동의 실행 양상」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안동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도덕·윤리 교과 교육, 통일 교육 등이다. 주요 연구로는 「사회인지 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과 수업에서 플립러닝 활용을 위한 예비적 고찰」, 「통일교육에서 북한 일상생활 접근의 함의와 적용 방안」, 「인도주의적 개입에 대한 고찰과 도덕교육적 함의」, 「듀이 자유주의의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적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