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등도덕과 교육론

초등도덕과 교육론

이범웅, 박찬석, 오유석, 김병연, 이인태 (지은이)
박영스토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초등도덕과 교육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등도덕과 교육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7279075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5-03-03

책 소개

도덕과 교육 관련 윤리사상과 이론을 최대한 쉽고 자세하게 설명함과 동시에, 핵심 개념, 토의 · 토론 거리, 추가적인 읽기 자료를 제시하는 교재다. 제1부 동양윤리사상과 도덕교육’에서는 공자, 맹자, 순자의 윤리사상을 소개하였다.

목차

01동양윤리사상과 도덕교육

제1강 사람다움[仁]의 실천: 공자 ..................................................................2
1. 들어가는 말.................................................................................................... 2
2. 예와 인의 관계 ............................................................................................. 4
3. 효제와 충서 ................................................................................................ 8
4. 덕치와 정명 사상 ........................................................................................ 11
5.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14
6. 핵심 개념................................................................................................. 15
7. 토의 · 토론 주제.......................................................................................... 15
8. 더 읽어볼 책................................................................................... 16
* 참고문헌 .......................................................................................................... 17

제2강 도덕성의 회복과 확충에 대한 탐구: 맹자 .............................................18
1. 들어가는 말 .......................................................................................... 18
2. 사단지심과 성선 .................................................................................. 20
3. 도덕성 회복을 위한 마음공부 ..................................................................... 24
4. 왕도정치와 민본주의 ............................................................................ 29
5.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 31
6. 핵심 개념 ..................................................................................... 32
7. 토의 · 토론 주제 ..................................................................... 33
8. 더 읽어볼 책 ............................................................................................ 33
* 참고문헌 ........................................................................................... 34

제3강 욕망의 조절과 사회적 규범의 확립: 순자 .............................................35
1. 들어가는 말 ............................................................................................... 35
2. 선천적 본성과 인위적 노력의 구분 .................................................... 37
3. 예(禮)의 성립 가능성과 사람다움의 재정립 .................................................. 41
4. 마음의 작용을 통한 인위[僞]의 완성 ............................................................. 45
5.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 48
6. 핵심 개념 ............................................................................. 49
7. 토의 · 토론 주제 ............................................................................... 49
8. 더 읽어볼 책 ................................................................................. 50
* 참고문헌 .......................................................................................................... 51


02 서양윤리사상과 도덕교육

제4강 덕 이론의 탄생: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54
1. 시작하는 말 ....................................................................................... 54
2. 인간에 대한 탐구: 소크라테스 vs 소피스테스 ................................................. 55
3. 검토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대화술과 덕 교육 ...................................... 57
4. 앎과 행함: 좋음의 원리와 아크라시아 ................................................................ 60
5. 아름다운 것과 아름다움: 플라톤의 이데아론 .......................................................... 61
6. 정의로운 국가와 정의로운 사람 ............................................................................ 64
7. 동굴 밖으로 나온 죄수: 플라톤의 교육론 ............................................................. 69
8. 핵심 개념 ........................................................................................ 73
9. 토의 · 토론 주제 ............................................................................. 73
10. 더 읽어볼 책 .............................................................................. 74
* 참고문헌 ....................................................................................... 75

제5강 덕 이론의 완성: 아리스토텔레스 ........................................................77
1. 시작하는 말 ...................................................................................... 77
2. 최고선으로서 행복............................................................................... 78
3. 정의 ............................................................................................... 86
4. 인간과 공동체 ............................................................................................... 89
5.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론 ................................................................. 91
6. 핵심 개념 ...................................................................................... 93
7. 토의 · 토론 주제 ................................................................................... 94
8. 더 읽어볼 책 ............................................................................................... 94
* 참고문헌 ....................................................................................................... 95

제6강 의무와 덕의 종합: 칸트와 프랑케나 ....................................................97
1. 들어가는 말 ............................................................................................ 97
2.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의지의 자유 ........................................................... 98
3. 선의지 .............................................................................................. 101
4. 정언명령 .............................................................................................. 104
5. 칸트의 도덕교육론 .............................................................................. 111
6. 프랑케나 ................................................................................................ 113
7. 핵심 개념 ............................................................................................ 116
8. 토의 · 토론 주제 .................................................................................. 116
9. 더 읽어볼 책 ..................................................................................... 116
* 참고문헌 ......................................................................................... 117

03교육사상과 도덕교육

제7강 사회화로서의 도덕교육: 뒤르켐 ....................................................... 120
1. 들어가는 말 ....................................................................................... 120
2. 인간 · 사회 · 도덕에 대한 뒤르켐의 관점 ............................................... 122
3. 합리적 도덕성, 그 세 가지 요소 ................................................................... 125
4. 도덕교육론의 개념과 방법 ........................................................................... 131
5.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문제점 ................................................................. 135
6. 핵심 개념 ............................................................................................ 137
7. 토의 · 토론 주제 ....................................................................................... 138
8. 더 읽어볼 책 .............................................................................. 138
* 참고문헌 ........................................................................................ 139


제8강 통합적이고 합리적인 인격 형성: 듀이와 피터스 ...................................140
1. 들어가는 말........................................................................................... 140
2. 도덕적 성장을 지향하는 통합적 인격의 형성 ...................................................... 141
3. 이성의 궁전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습관과 전통의 마당을 거쳐야 한다 ............. 147
4.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 153
5. 핵심 개념 ................................................................................................... 154
6. 토의 · 토론 주제 .................................................................................. 154
7. 더 읽어볼 책 ........................................................................................... 155
* 참고문헌 .............................................................................................. 156

04심리학과 도덕교육

제9강 도덕성에 대한 인지발달론적 접근(1): 피아제 ......................................158
1. 들어가는 말 ........................................................................................... 158
2. 인지 발달 이론의 주요 개념과 특징 ................................................................. 160
3. 피아제의 인지 발달 단계 ................................................................................. 162
4. 도덕성 발달에 관한 피아제의 연구 ................................................................. 165
5.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 ................................................................................ 169
6.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문제점 ......................................................... 172
7. 핵심 개념 ................................................................................................. 176
8. 토의 · 토론 주제 ............................................................................................. 176
9. 더 읽어볼 책 ............................................................................................. 177
* 참고문헌 ............................................................................................... 178

제10강 도덕성에 대한 인지 발달론적 접근(2): 콜버그 ...................................179
1. 들어가는 말 ............................................................................................... 179
2. 도덕성에 대한 철학적 가정 ......................................................................... 181
3. 3수준과 6단계 ........................................................................................ 184
4.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 .................................................. 189
5.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 193
6. 핵심 개념 ........................................................................................ 195
7. 토의 · 토론 주제 .............................................................................. 196
8. 더 읽어볼 책 ............................................................................ 196
* 참고문헌 ............................................................................................ 197


제11강 여성의 목소리와 배려 윤리: 길리건과 나딩스 ....................................199
1. 들어가는 말 .................................................................................................... 199
2. 남성과 다른 여성의 도덕적 목소리 ...................................................... 201
3. 3단계와 2과도기 ................................................................................ 204
4. 관계의 윤리: 배려하는 사람과 배려받는 사람 ....................................... 208
5. 배려의 범위와 의무 .................................................................................... 210
6. 여성의 도덕성, 배려 윤리에 대한 비판적 관점 ....................................... 212
7.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 213
8. 핵심 개념 ....................................................................................... 216
9. 토의 · 토론 주제 .......................................................................... 216
10. 더 읽어볼 책 ................................................................................. 217
* 참고문헌 ......................................................................................... 218

제12강 행동주의 도덕 심리학과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 ............................... 219
1. 들어가는 말 ....................................................................................... 219
2. 행동주의 도덕 심리학의 이해 ..................................................................... 220
3. 관찰을 통한 학습과 행동 변화 ....................................................................... 225
4. 상호결정론 ..................................................................................................... 230
5. 도덕적 이탈 .................................................................................................... 234
6.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 238
7. 핵심 개념 ............................................................................................ 240
8. 토의 · 토론 주제 ....................................................................................... 241
9. 더 읽어볼 책 .................................................................................... 241
* 참고문헌 ........................................................................................... 242

저자소개

오유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했고 그리스 국립 아테네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충북대 인문학연구소 전임연구원을 거쳐, 백석대학교에서 10여 년간 교수로 재직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서양고중세사상과 인공지능윤리, 환경윤리, 기독교윤리 등이다. 저서로는 『서양고대철학 2』(공저),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쾌락』, 『피론주의 개요』, 『소크라테스 회상록, 소크라테스의 변론』 등이 있다. 그 외에도 관련 분야의 많은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범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충북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석사 및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9년부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도덕교육 이론 및 도덕과 교육 지도법, 통일교육론, 민주시민윤리교육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까지 공감, 행복, 감사, 긍정심 등을 주제로 도덕교육과 연관 지어 논문과 저서 및 역서를 집필하고 연구해왔다. 그리고 북한이해교육 및 통일교육 등과 관련된 논문과 책을 저술하였다. 저서로는 『도덕과 교육론』, 『도덕과 교육의 실제』, 『21세기 북한학』, 『통일 시대의 북한학』, 『인문고전 군주론』, 『정치사회사상』, 『고통과 공감의 연대』, 『시민성 이론과 시민교육』, 『옴니버스 시민교육』, 『세계의 시민교육』 등이 있고, 대표 역서로는 『넥스트』, 『인성교육』, 『마르크스의 생태학』, 『감사와 행복한 삶』, 『교육의 미래와 학교혁신』, 『자율성과 전문성을 지닌 교사되기』, 『서비스 러닝』 등이 있다. “프랑스 시민교육의 탐색을 통한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함의에 대한 고찰”을 비롯하여 30편 이상의 논문을 등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이인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기도에서 10여 년간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 심리학, 발달 심리학,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 등이다. 저서로는 『초등도덕과 교육론』(공저),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공저),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청소년의 합리성과 발달』(공역), 『도덕 발달과 실재』(공역)가 있으며, 그 외에도 도덕 · 윤리과 교육 관련 수십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병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고, 같은 대학 윤리교육과에서 『학교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오랫동안 근무했다. 도덕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평화교육, 시민교육, 통일교육, 세계시민교육, AI 윤리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통일교육의 페다고지』, 『실감미디어 시대의 통일교육』(공저), 『선생님, 평화통일이 뭐예요?』(공저) 등이 있다. 이 외에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통합사회』 등 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였고, 도덕과 교육, 민주시민교육, 평화교육, 통일교육 관련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박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대학원에서 「한국 통일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도덕 윤리 교육, 통일 교육, 다문화 교육 등이다. 주요 연구 저서로는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 실제』(공저), 『초등 도덕과 교육론』(공저), 『북한 교육 연구』(공저), 『남남갈등 대립으로 끝날 것인가』, 『도덕, 통일 그리고 통합』, 『안보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2795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