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을 지향하는 인성교육)

강옥태, 김경수, 김국현, 김민수, 김현수, 김혜진, 박균열, 박형빈, 배문규, 변창호, 손병욱, 신호재, 심성보, 안성규, 윤영돈, 윤용남, 이두연, 이상호, 이영경, 이인재, 이인태, 이철주, 장승희, 홍석영, 황종환 (지은이), 한국윤리교육학회 (엮은이)
교육과학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을 지향하는 인성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4799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0-05-15

책 소개

인성교육은 좋은 시민과 시민성 함양을 지향하는 민주시민교육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서양의 풍부한 문화적.윤리적 자산을 바탕으로 한 인성교육은 ‘건강한 시민성’, ‘유덕한 시민성’을 기르는 데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 2
서장: 성공하는 삶과 인성교육(손병욱) / 7

제1부 동서양 사상의 재구성을 통한 인성교육 / 25
1. 남명(南冥) 조식(曺植) 사상의 인성교육적 함의(이상호) ··············27
2. 율곡의 학교규범 정립과 인성교육론(이영경) ································41
3. 불교 인성론의 윤리교육적 함의: 대승기신론의 일심(一心)을 중심으로(장승희) ··········57
4. 충효(忠孝)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윤용남) ····································75
5. 아리스토텔레스 친애 사상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김민수) ·······················89
6. 칸트의 인성교육론(이두연) ··························································109
7. 키에르케고어의 인성교육(황종환) ···············································129

제2부 정의롭고 포용적인 시민적 인성교육 / 143
1. 도덕적 시민성과 정치적 시민성의 공존을 통한 시민적 인성교육의 모색(심성보) ·················································································145
2. 시민적 인성교육이란 무엇인가: 민주시민교육과 인성교육의 조화 가능성 탐색(윤영돈) ····································································167
3.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시민 양성을 위한 도덕과 교육 방안: 볼테르의 ‘관용’을 중심으로(신호재) ···········································183
4. 뉴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박형빈) ·······················203

제3부 도덕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의 방향 / 221
1.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목적(김국현) ························································223
2.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 방안(이인재) ········································239
3.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효과성 검증 방법(박균열ㆍ이인태) ·····················265
4. 실천지향의 인성 개념 탐구(이철주) ···································································289
5.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과 도덕과 교육의 인성교육 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김현수) ···············································································································309

제4부 학교급별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 323
1.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중학교 자유학기 적용 사례연구(김혜진) ·····················325
2. 간화선 수행법과 인성교육적 함의(안성규) ························································347
3. 남명의 출처관을 통한 인성교육의 자아정체성 확립 방안: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의 청렴연수를 중심으로(김경수) ·········································361
4. 화랑 풍월도에 나타난 청소년 인성교육 탐구(변창호) ······································377
5. 동학 윤리 사상의 인성교육 적용방법 모색: 경남교육청 인성교육 시행계획을 중심으로(배문규) ··········································393
6. 대학에서의 인성교육: 경상대학교를 중심으로(강옥태ㆍ홍석영) ·······················407

찾아보기 / 422

저자소개

이영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의 윤리사상』, 『율곡의 도덕실천 지향 인성교육론』, 『다산의 윤리학』, 『한국사상과 마음의 윤리학』 등의 단독 저술과 『인성교육의 철학적 성찰』, 『도덕성과 윤리교육』, 『시대 속의 맹자, 주제 속의 맹자』 등의 공동 저술이 있다.
펼치기
손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부설 청담사상연구소 연구위원이다. 1954년 경남 산청에서 태어났다. 1976년에 경상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1983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철학 전공으로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부터 2018년까지 경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그 사이 (사)남명학연구원 상임연구위원, 한국윤리교육학회(KEEA)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서산, 조선을 뒤엎으려 하다』, 『한국선비문화연구원 탐구』(저서), 『기학(氣學)』(역서) 등의 저·역서와 「남명 경의사상의 기저로서의 정좌수련」, 「성공하는 삶과 인성교육」, 「청담조사(靑潭祖師)의 사상과 진주정신」(논문)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황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명예교수(철학 상담)다. 독일 뮌헨대학교(LMU)에서 철학박사(Okologische Gerechtigkeit. Eine interkulturelle Begrundung, 생태적 정의. 상호문화적 근거화)를,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생태 윤리의 근거 정립을 위한 자연관 연구)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철학과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현)를 졸업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철학과 교환교수, 세인트 올라프(St. Olaf)대학, 홍 키에르케고어 도서관(The Hong Kierkegaard Library) 방문교수, 한국 키에르케고어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연구재단 지원 저서 『키에르케고어와 도덕교육』, 『키에르케고어의 ‘나’를 찾는 도덕 발달』, 논문 “번영하는 삶을 위한 불안과 절망의 극복” 등 40편이 있다. 실존 사상가 키에르케고어에서 ‘나’의 형성과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펠프스 교수의 경제적 번영을 중심으로 번영하는 삶을 연구한다.
펼치기
박균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윤리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경상국립대학교에서 학사, 서울대학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역복무 중에는 서부사하라에서 영어통역장교로 UN 평화유지활동(PKO)을 수행한 바 있고, 이어서 국방부 대변인실 외신보도장교, 육군3사관학교 교수로 복무했으며, 전역 후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미국 UCLA 한국학센터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현 소속 대학에서 주로 정치윤리 분야를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고, 도덕교육방법론으로 도덕성 측정과 인공지능윤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치의식 판단을 위한 전자장치 및 방법」(2021년, 등록번호: 10-2238586)과 「인공지능의 자율적 도덕 판단 및 수행을 위한 시스템」(2021년, 등록번호: 10-2241311)이라는 주제로 2건의 특허가 특허청에 등록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Community, Ethics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공저), 『도덕판단력측정』(공저), 『평화안보와 가치교육』, 『국가윤리교육론』(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성서 속의 인물과 윤리적 역량: 모세오경』(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음악윤리학』, 『인간안보』(공역), 『심리치료와 상담의 윤리학』(공역), 『공감과 도덕발달』(공역), 『윤리탐구공동체교육론』(공역)(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다문화주의 윤리학』(공역),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석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인격주의에 기초한 생명윤리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서양 윤리 사상, 생명 윤리, 철학적 인간학이다. 저서로는 『인격주의 생명윤리학』, 역서로는 『생명윤리학』, 『웰다잉』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대학교 문학 박사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2014년부터 ‘다문화 교육의 이해’ 교양 강의 진행 중 주요 저서 『‘생활과 윤리’ 동양윤리와 만나다』(공저), 도서출판 씨아이알, 2020.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공저), 교육과학사, 2020. 『융복합 시대의 인간과 윤리』(공저), 경상대학교출판부, 2016.
펼치기
이인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부 연구윤리자문위원회 자문위원으로 있으며,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사무총장을 역임하고 있다.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 ‘연구윤리의 이해와 실천’, ‘아리스토텔레스의 감정론과 초등 도덕교육적 함의’ 등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철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 연구」)를 받았다. 전주교대와 대구교대 그리고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강의하였고, 현재는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며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역서는 『철학의 과업』(공역, 인간사랑, 2010), 『도덕적 감정과 직관』(공역, 씨아이알, 2015) 등이 있다. 논문은 주로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에 관한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그 이외에 「초등도덕교육에서 도덕원칙의 적용에 관한 연구」(2016), “A Study on the Dialogue Learning of Stream of Meaning”(2015), 「실천지향의 인성 개념 탐구」(2014),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서의 불교의 적용가능성 탐구」(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윤영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칸트에 있어서 도덕교육과 미적 도덕성의 문제」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학, 종교철학, 인문 치료학 등을 도덕교육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해 왔고, 기독교 윤리학으로 관심사를 확장하고 있다. 저서로 『다문화시대 도덕교육의 프리즘과 스펙트럼』, 『인성건강과 인문치료』, 『미학적 윤리학과 도덕교육』, 『정신건강과 도덕교육』 등이 있다.
펼치기
안성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졸업 경상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재 진주중학교 교사
펼치기
박형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LA(UCLA) 교육학과에서 방문학자(Visiting Scholar)를 지냈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에듀테크전공 및 인공지능인문융합전공 교수다. 서울교육대학교 신경윤리융합교육연구센터 및 가치윤리AI허브센터 센터장이다. 도덕윤리교육, 인격교육, AI윤리교육, 신경윤리학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AI윤리와 뇌신경과학 그리고 교육』(2024), 『인공지능윤리와 도덕교육』(2022), 『AI시대 대한민국 교육변혁』(2024), 『도덕교육학: 그 이론과 실제』(2021), 『뇌 신경과학과 도덕교육』(2019)(2020세종학술도서), 『통일교육학: 그 이론과 실제』(2020), 『도덕지능수업』(2023), 『학교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1), 『가정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2), 『사회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2) 등이 있다. 역서로는 『양심: 도덕적 직관의 기원』(2024)(2024세종학술도서), 『말빈 벌코위츠의 PRIMED 인격교육론』(공역, 2024), 『어린이 도덕교육의 새로운 관점』(공역, 2019)(2019세종학술도서), 『윤리적 감수성』(공역, 2022), 『윤리적 판단력』(공역, 2022), 『윤리적 실천』(공역, 2022), 『윤리적 동기부여』(공역,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국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학위,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이었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충북교육청 민주시민교육 자문위원장, 국민권익위원회 자문위원, 한국윤리학회 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은 도덕심리학이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윤리와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심성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부산교육대학교 명예교수. 퇴직 후 서울시 교육청 민주시민교육 자문위원장, 경기도 교육청 인성교육 부자문위원장과 함께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상임대표, 흥사단교육운동본부 상임대표, 함께배움 상임이사 등을 맡으며 민관학 영역에서 열심히 교육 개혁 운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김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윤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교육과 도덕심리학이다.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고전과 윤리』, 『2015 개정 교육과정 범교과 학습 주제 교수학습 자료 인성교육』 개발 연구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였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중학교 자유학기 적용 사례연구」, 「도덕과 논술형 평가의 방향과 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강옥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대학교 인재개발원 연구원
펼치기
김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선비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겸임교수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경남연구원 경남학연구센터 비상임연구위원 겸 운영위원 한국국학진흥원 자문위원 의령의병박물관 자문위원 한국주역학회 학술이사 한국철학사연구회 학술이사 인제대학교 INJE 미래전략연구기획단 외부연구원 경북대학교 연구교수 역임 한국동양철학회 총무이사 역임 남명선생탄신500주년기념사업회 사무국장 역임 경상남도인재개발원 2015년도 베스트강사 제2회 도교학술상 수상 저서: <북송초기의 삼교회통론>, <용의 등에 내려앉은 봉>, <덕천서원지> 외 10여 권 논문: <서유기>에 나타난 유불도의 특징과 삼교회통론 외 40여 편
펼치기
김민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서울대학교 아동보육과/교양교육센터 교수
펼치기
김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펼치기
배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창원명곡고등학교 교사
펼치기
변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웅상여자중학교 교사
펼치기
신호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며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 · 학습, 교육평가 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구성과 실행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과 교육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도덕 심리학과 도덕철학, 인성교육, 시민교육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미디어와 인격권’ 교육: 커리큘럼 및 활성화 방안』(공저), 『현대 한국사회와 시민성』(공저),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청소년의 합리성과 발달』(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국가 인성교육 정책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본 틀 연구」, 「디지털 시민교육의 의의 및 도덕과 접근 방안 탐색」, 「민주시민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까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용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펼치기
이두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펼치기
이인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