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 청주(淸州), 자 성노(成老), 호 성재(省齋). 한강 정구의 13대손으로 성주 갖말에서 태어나 족조 정래석(鄭來錫)과 외숙 장승택(張升澤)에게 수학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 때 영남 유림 300여 명과 함께 <청주적신파늑약소(請誅賊臣罷勒約疏)> 연명 상소에 참여했고, 1919년 3·1운동 이후 곽종석(郭鍾錫)·장석영(張錫英) 등과 함께 파리 강화 회의에 제출된 파리장서에 대표 유림으로 서명하였다. 이 사건이 발각되자 성재는 성주경찰서 소환을 거부하고, 의리정신(義理精神)에 입각하여 1919년 3월 9일 자결 순국하였다. 그는 파리 장서 운동 관련자 중 유일한 자결 순국자였다. 1983년 대통령 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고, 묘소는 2009년 성주에서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펼치기
정우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중국 북경대학 방문학자,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장, 경북대학교 도서관장, 경상북도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다. 주로 한국문학사상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남명문학의 철학적 접근』(1998), 『남명학의 생성공간-용처럼 나타나고 우레처럼 소리쳐라』(2014),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2009), 『모순의 힘-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2019), 『국역 흑산일록-대구감옥 127일, 그 고난의 기록』(2019), 『국역 후산졸언』(2020),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2022), 『국역 신당일록』(2024)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구본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고전문학과 경학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다. 역서로는 『인백당선생일고』(공역, 2006), 『매향유회』(공역, 2007), 『인악대사문집』(공역, 2009), 『국채보상운동기록물』(공역, 2017~2022), 『동유기실』(공역, 2023)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전일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포항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금석문탁본회장과 경상북도 문화재전문위원, 대구경북서예가협회 이사를 하고 있다. 주로 한국금석문을 연구하며, 금석문탁본과 선현들의 간찰을 탈초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한국한자자전연구』(2003), 『퇴계 이황 아들에게 편지를 쓰다』(공역, 2008), 『국역 인악대사문집』(공역, 2009), 『국역 가서-퇴계선생 편지』(공역, 2011), 『청도의 금석문』(2011), 『성주의 금석문 탁본집』(2011), 『대구광역시 소재 조선시대의 송덕비』(2017), 『달성의 금석문Ⅰ,Ⅱ』(2020), 『경산의 근대서화가 희재 황기식』(2021)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