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강원교육노동운동사

강원교육노동운동사

(당당한 교육노동)

원영만 (지은이)
한내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강원교육노동운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강원교육노동운동사 (당당한 교육노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노동운동
· ISBN : 979118500906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4-01-10

책 소개

정권의 폭압에 눌려 진실을 말하지 못하고 정권의 시녀로 살아온 교사들이, 굴종의 삶을 떨치고 교육노동자로 자신의 존재를 찾아가기 위해 고민하고 분노하고 절망하면서도 끝내 당당한 교육노동자의 삶을 지켜온 역사를 서술하고자 했다.

목차

발간사
추천사
서문

제1장 교육운동의 첫 발을 내딛다 · 17
강원교육운동의 태동(1985) · 19
‘춘천YMCA교육자협의회’ 창립 · 19
교육민주화 선언(1986) · 23
춘천Y교협, 강릉중등교사협의회준비위의 교육민주화 선언 · 23
강원교사협의회 창립과 활동(1987~1988) · 30
6월 항쟁, 호헌철폐 교사시국선언, 7.8.9 노동자 대투쟁 · 30
민주교육추진 강원교사협의회 창립 · 33
굴레를 벗고 자기목소리를 내다 · 36
아직도 선생님은 대한교련 회원이십니까? · 38
점점 열기를 더해가는 민주교육법 쟁취 서명운동 · 40

제2장 마침내 교육노동자로 서다 · 43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결성(1989) · 45
가자, 교원노조 건설로 · 45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결성 - 참교육의 깃발을 세우다 · 48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강원지부 결성 · 51
정권의 폭압에 결사항쟁으로 맞서다 · 54
연대투쟁으로 전교조를 지키다 · 63
숨 가쁘게 달려온 89년, 그 길을 돌아보며 · 75
전교조합법성 쟁취와 해직교사 원상회복투쟁(1990) · 81
정권의 탄압을 뚫고 앞으로 나아가다 · 81
창립 1주년 전국교사대회, 강원지부결성 기념대회 · 88
교육여건개선 및 일상사업 · 92
아스팔트를 뒤덮은 평준화해제 반대 고등학생 시위 · 96
연대의 깃발을 들고 나서다 · 99
공안탄압에 맞선 교육노동자의 결연한 투쟁(1991) · 103
살인폭력 정권 규탄투쟁에 나서다 · 103
6.20 광역의회 선거 출마 · 108
또 다시 아스팔트를 달구다, 고입부활 반대투쟁 · 109
교육여건개선과 교육비리 척결 투쟁 · 113
정책토론회와 4대 선거 · 116
집단고민 집단실천으로(1992) · 120
투쟁하는 강원지부 진출하는 전교조 · 120
해직교사 원상복직 투쟁의 포문을 열다 · 123
대통령 선거투쟁 · 132
해직교사 원상회복을 위한 투쟁(1993) · 133
제5대 전교조 위원장과 시 ? 도 지부장 선거 · 133
사회 중요 현안으로 떠오른 해직교사 복직 문제 · 134
어린이날 행사를 비롯한 일상 활동 · 145
해직교사 어떻게 살아왔나 · 147
노태우 정권의 교육노동자 대학살 · 147
거리의 교사로 세상을 배우다 · 149
동지들의 피와 땀을 먹고 살다 · 151
해고 43명 구속 4명 불구속 34명, 벌금총액 1,780만원 · 153
먼저 간 동지들을 가슴에 묻으며 · 154
해직생활 5년의 이모저모 · 157
마침내 학교현장으로 · 161
해직교사, 미완의 복직(1994) · 163
해직교사 1,524명중 1,294명 복직 · 163
비공개 현장 지부장 선출 · 165
가장 힘들고 갑갑했던 한 해 · 166

제3장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 맞서다 · 169
5·31 교육개혁안은 교육공공성에 대한 도발(1995) · 171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안, 판도라 상자를 열다 · 171
전교조의 교육개혁안 발표와 교육관계법 개정 청원 · 172
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 · 174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창립 · 176
노동법개정 논의와 전교조합법화 논쟁(1996) · 179
노사관계개혁위원회 구성과 노동법 날치기 통과 · 179
노동법개정 국면과 전교조 합법화 투쟁 · 182
교육소비자를 다수파로 한 학교운영위원회 도입 · 187
현장 집행부의 어려움을 헤치고 · 188
총파업투쟁과 현장공개 활동 강화(1997) · 190
민주노총, 총파업 투쟁의 깃발을 올리다 · 190
전교조합법성 쟁취를 위한 현장교사의 공개적인 진출 · 193
97년 대통령 선거투쟁과 진보진영 · 196
노동운동의 대의와 맞바꾼 전교조 합법화(1998) · 198
노사정 합의, 자본의 품으로 · 198
99년 7월부터 전교조 합법화 · 201
교육자치 투쟁에 나서다 · 206
전교조 합법화를 앞두고 또 한명의 동지를 보내다 · 207

제4장 교육시장화 공세와 전교조 투쟁 · 209
전교조의 진출과 한계(1999) · 211
마침내 전교조 합법화 · 211
처음 가는 길, 단체교섭 투쟁 · 220
노사정위원회 탈퇴와 민주노총 합법화 · 225
어려운 시기 전교조를 지탱해준 상근 동지들 · 226
3년 연속 최우수 평가받은 강원도교육청의 허상 · 228
단체협약 체결과 이행투쟁(2000) · 230
연가투쟁으로 중앙교섭 타결 · 230
1년여 줄다리기 끝에 첫 번째 지부 단체협약 체결 · 238
조직 활성화를 위한 결단, 전임자 확보위해 조합비인상 · 239
진보정당 창당, 총파업, 신자유주의 세계화반대 투쟁 · 240
가자 현장으로, 학교방문의 돛을 올리다(2001) · 244
학교방문 ? 학교마다 전교조 바람을 · 244
단체협약 이행촉구 강원도교육청 항의농성 투쟁 · 247
몰려오는 교육시장화의 검은 먹구름 · 252
해직교사 명예회복과 교육위원회 진출(2002) · 262
13년 만에 해직교사 명예회복(?) · 262
교육개혁 열망 - 조직후보 모두 교육위원 진출 · 264
제도개선투쟁과 두 번째 단체협약 체결 · 266
사람들 이야기의 첫마디가 된 공공성(公共性) · 272
참교육실천 강령 제정 · 274
신자유주의 벽을 넘어 교육에 새 희망을(2003) · 276
교육개방 저지와 WTO 반대투쟁 · 276
정보인권의 새 장을 열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 폐기 투쟁 · 283
출범 7개월 만에 지부장 사퇴 그리고 보궐선거 · 291
고교평준화 쟁취와 고입선발고사 폐기 투쟁 · 294
더 이상 죽이지 마라 · 298
학교학원화 저지와 공교육 개편 운동(2004) · 302
학교학원화 저지투쟁 · 302
첫발 내딛는 민중진영의 공교육개편운동 · 306
정치활동은 교사들의 당연한 권리 · 308
남북교육자 통일대회 · 310
세 번째 단체협약 체결 · 312
개혁입법 쟁취투쟁 · 313
또 다시 평준화 투쟁의 불을 지피다(2005) · 324
강원도민의 열망 고교평준화 · 324
교원평가 도입 물위로 · 335
교육통제와 구조조정에 맞서다(2006) · 348
교원평가, 차등성과금 폐지투쟁 · 348
조합원 교육으로 사회의식과 활동력 고양 · 356
네 번째 단체협약 체결 · 360
교육자치는 구두선(口頭禪) · 362
참교육 실천은 전교조의 일상활동 · 364
교육과 실천으로 다시 서는 교육노동자(2007) · 366
불법징계 저지투쟁 선포 · 366
학교방문을 통해 본 교육현장의 모습 · 369
교문 앞에서 멈춰버린 청소년 인권 · 374
차별철폐투쟁 · 376
한미자유무역협정, 자본에게는 천국 노동자민중에게는 지옥 · 385

제5장 신자유주의를 넘어 교육노동해방의 길로 · 389
87년 체제의 종언, 진보정당의 참패 · 391
시대상황과 미래를 담아내는 참교육으로 · 394
교육은 세상을 바꾸는 힘 · 402

부록 · 406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결성 선언문 · 406
참교육실천강령 · 408
전교조 결성 이전 집행부 명단(1985~1989.5) · 409
전교조강원지부 집행부 명단(1989~2008) · 410
전교조강원지부 지회장 명단(1989~2008) · 412
전교조강원지부 해직조합원 명단(1989 ~1992) · 413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 415

저자소개

원영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영만 황선희 부부. 1980년에 처음 만나 동행을 시작했다. 1985년 춘천Y교사협의회 결성, 1986년 교육민주화 선언 참가, 1987년 교사협의회 결성, 1989년 전교조 결성에 힘쓰고, 해직교사의 길도 함께 걸었다. 전교조 26년 역사가 우리 부부의 삶이다. 초록의 젊은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우리 인생은 가을이다. 우리 부부가 살아온 삶은 어떤 빛깔일까? 원영만은 2006년에 다시 해직교사가 되었고, 그 기간에 '당당한 교육노동-강원교육노동운동사'를 썼다. 황선희는 38년의 교육노동자 생활을 끝내고 2015년 8월에 명예퇴직을 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