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85093789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8-11-15
책 소개
목차
서장 : 5,036명의 죽음-거기에는 구할 수 있는 목숨이 있었다
21년 전, 고베에서 받은 충격 | 5,036명의 사체검안서 데이터 | 최신기술로 가능해진 ‘가시화’와 ‘완전 재현’ | 밝혀진 의외의 사실 | 지진으로 인한 죽음을 ‘세 가지 시간대’로 검증하다
1장 : 목숨을 앗아가는 ‘질식사’의 진상-지진 발생 직후
지진의 비극을 제대로 전해온 것일까 | 지진 직후 ‘죽음’과의 대면 | 발굴, 5,036명이 남긴 삶과 죽음의 기록 | 사망 시각이 던지는 ‘구조 가능한 목숨이 있었다’는 사실 | 당시의 데이터를 찾아 일본 각지로 | 방대한 데이터를 최신기술로 해석, 열쇠는 ‘세 가지 시간대’ | 지진 직후 ‘가장 위험한 시간대’ | 60퍼센트에 공통된 의외의 사인, 질식 | ‘건물 잔해 아래에서 들려오는 목소리’의 수수께끼 | 가장 많은 시신을 본 의사
2장 : 어느 대학생의 죽음-반복되는 비극·진전 없는 내진화
왜 20대에서 ‘질식사’가 많았을까 | 젊은이의 희생이 집중된 지역 | 어느 대학생의 죽음, 고베대학 모리 와타루 씨 | 연립주택 1층을 고른 이유, 효도가 낳은 비극 | 반복되는 비극, 구마모토에서는 왜… | 목숨을 지키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들
3장 : 시간차 화재의 위협-지진 발생 1시간 이후
시간차 화재, 그 정체를 밝히다 | 시간차 화재의 피해를 본 지역, 나가타구 | 시간차 화재에 휘말린 여성이 있었다 | 두 사람의 생사를 가른 것은 무엇이었을까 | 한 장의 충격적인 사진 | 야부시타 씨의 여동생, 지금도 슬픔을 안고 있는 유족 | 쓸쓸해 보이던 언니의 뒷모습 | 생각지도 못한 형태로 만난 언니
4장 : 자료가 밝혀준 통전 화재-21년 만의 진실
소방 당국에 묻혀 있는 기록, 시간차 화재의 정체는 | 통전 화재의 전모를 검증하기 위해 | 통전과 화재의 인과관계를 조사, 어느 연구자와의 만남 | 최신기술로 자료를 해석, | 화재와 통전의 인과관계 처음으로 드러나 | 전기가 통한 장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화재가 일어났다 | 실험으로 밝혀진 통전 화재의 위험
5장 통전 화재에 대비하라
통전 화재는 동일본 대지진에서도 일어났다 | 복구 ‘희망’과 함께 발생하는 통전 화재의 딜레마 | 동일본 대지진의 ‘통전 화재’ 전모는 | 수도직하지진, 전문가가 지적하는 위험성과 위기감 | 최악의 경우에는 6,000명이 위험에 | ‘통전 화재’ 대책은 진전이 있을까? 전력회사의 대책은 | 통전 화재, ‘감진 차단기’로 막는다 | 보급되지 않는 ‘감진 차단기’ 그 이유는? | ‘한 건의 화재도 허용하지 않는다’, 요코하마시의 도전 | ‘화재만 없었더라면…’, 지진 이후 21년, 유족의 마음은
6장 : 교통정체에 빼앗긴 목숨-지진이 발생하고 5시간 후
턱없이 부족한 구조의 손길 | ‘정말 도움이 되었던 걸까…’, 회한을 풀지 못하는 지원 소방대원 | 회한을 풀지 못하는 지원 소방대원 | 항공사진으로 알아낸 의외의 교통정체 원인은 | 정체를 악화시킨 승용차 이용 | 현지에서 분투한 지역 소방관들의 여한 | ‘○’와 ‘X’ 잊을 수 없는 기억 | 모은 정보를 살리지 못하고 | 구조를 기다렸던 사람들은? | 가족 모두가 묻혀버린 오토리이 씨 | 의식이 있었던 아내의 맥박이 뛰지 않는다 | 지진으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의 연대 | 미에에서 달려온 아즈마 씨도 힘든 상황에…, | 동일본 대지진으로 다시 일어난 교통정체, | 살리지 못한 교훈 | 수도직하지진, 그때 도로는… | 후회하기에 앞서, | 히가시나다 소방서 하나야마 씨의 생각
7장 : 아직도 진전이 없는 근본 대책
내진화는 진척이 있는가 | 지진 방재의 원점 | 지진 피해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 재해는 사회의 약점을 파고든다 | 프로그램에서 할 수 없었던 것
후기 223 | 옮긴이의 말 226
리뷰
책속에서
사상 처음인 진도 7를 기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에서는 6,434명이 목숨을 잃었다. 모든 일이 상상을 넘어서는 것들이었다. 전파하거나 전소한 가옥이 11만 채였다. 대도시가 한순간에 붕괴해 어제까지 당연했던 평온한 삶, 그리고 소중한 목숨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실을 눈앞에서 본 것이다.
도로 한편에 한 줄로 늘어선 것이 눈에 들어왔다. 자세히 보니 아스팔트 위에 깔아놓은 ‘이불’과 ‘다다미’였다. 그곳에 누운 것은 피난민들이 아니라 지진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의 시신이었다. 한겨울 얼어붙은 밤하늘 아래, 황망하게 목숨 잃은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식의 시신을 조용히 지키고 있는 사람들.
묘비의 날짜를 오랫동안 바라보던 히사에 씨가 짜내는 듯한 목소리로 했던 이야기가 무겁게 울린다. “지진 이후는 그때 이렇게 했더라면 혹은 저렇게 했더라면, 온갖 아쉬움을 이겨내려 애써온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