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주주의
· ISBN : 979118512128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9-10-22
책 소개
목차
한국 독자 여러분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 책에 관하여
감사의 말
PART 01 ‘통치’ 다시 보기
1장 우리는 왜 또 다른 ‘통치-ocracy’를 필요로 하는가: 존 벅
2장 우리는 왜 또 다른 ‘통치-ocracy’를 필요로 하는가: 샤론 빌린스
3장 소시오크라시의 역사
4장 사이버네틱스와 소시오크라시
PART 02 조직의 권력 재설계
5장 포괄적 의사결정
6장 품질 개발
7장 조향과 구조
8장 새로운 리더십 전략
9장 자유롭고 스스로 최적화하는 조직
PART 03 강점 체계화
10장 서클 그리고 실행
11장 동의와 라운드
12장 임원 선출
13장 조직 만들기를 통한 업무 체계화
14장 돈이라는 척도
후기: 함께하기 위한 초대
소시오크라시 센터와 관련 자료
부록
부록 [가] 소시오크라시: 레스터 프랭크 워드
부록 [나] 소시오크라시, 미래의 민주주의: 케이스 부커
부록 [다] 새로운 사회 디자인의 근거: 헤라르트 엔덴뷔르흐
부록 [라] 한 사람을 위한 소시오크라시: 샤론 빌린스
부록 [마] 정관 사례 1: 소시오크라시 기업용
부록 [바] 정관 사례 2: 소시오크라시 비영리단체용
부록 [사] 소시오크라시 조직 구축을 위한 지침
용어 해설
참고 문헌
책속에서
소시오크라시는 특별하다. 구성원들의 참여와 정서적 만족을 통해 조직이 어떻게 민주적이면서도 효율적이고 민첩할 수 있는지 손에 잡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수평적 조직을 만드는 것이 리더의 권한을 빼앗아 오는 것이 아니라 리더의 짐을 함께 나누어 지는 것이며, 그것이 곧 구성원들의 권익을 보장하는 길임을 알게 해준다. 조직이 탄탄하고 지속 가능하게 스스로 성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소시오크라시: 자율경영 시대의 조직개발』은 삶과 일을 둘러싼 환경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할 힘을 사람들에게 부여하는 일종의 통치 방식을 알려준다. 이 방식은 민주주의와 마찬가지로 자유와 평등을 존중하지만, 민주주의와 달리 다수결 원칙이나 투표, 독재적 리더십에 바탕을 두지 않는다. 소시오크라시(sociocracy)는 각 집단이 지식을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여 동의를 이루는 식으로 공동으로 자치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가 이 책의 요지다.
소시오크라시는 개념부터가 민주주의와 다른 전제에 바탕을 두고 있다. sociocracy(소시오크라시)는 ‘동료’나 ‘동반자’를 뜻하는 라틴어 socius(소키우스)에서 온 말이다. socius의 결합형인 socio-(소키오-)와 ‘통치’를 뜻하는 -ocracy(-오크라키)를 합치면 ‘서로 친밀한 관계가 있는 사람들에 의한 통치’를 가리키는 말이 된다. 같은 어원 socio-가 ‘~에 관한 연구’를 뜻하는 -ology(-올로기)와 결합해, 사회와 사회집단―하나의 목표, 하나의 목적을 공유하는 사람들―에 관한 연구인 사회학(sociology)의 이름을 짓는 데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