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퇴계/율곡
· ISBN : 979118513467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6-20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내면서
제1부 율곡의 삶과 철학적 입장
제1장 근대의 여명과 율곡의 삶
1. 16세기 근대의 여명과 함께 태어나다
2. 타고난 총명과 노력으로 성인의 길을 예비하다
3. 나라와 백성을 위해 살다
제2장 율곡의 철학적 입장
1. 도학적 입장에서 역사를 보다
2. 이기지묘(理氣之妙)의 입장에서 세계를 보다
3. 열린 눈으로 학문을 하다
제2부 율곡의 성리학 이해
제1장 율곡의 세계 이해
1. 율곡의 자연관
2. 리(理)는 무엇이고 기(氣)는 무엇인가?
3. 이기(理氣)의 상보적 이해와 역할
4. 율곡 세계 이해의 논리
1) 이기지묘(理氣之妙)
2)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
3) 이통기국(理通氣局)
제2장 율곡의 인간 이해
1. 율곡의 인간관
2. 인간 정신 일반에 관한 이해
3. 전인적 인간 이해
1) 마음의 이해
2) 본성의 이해
3) 감정과 욕망의 이해
4. 인성의 이기지묘 심층 이해
제3장 율곡의 지각론(知覺論) 이해
1. 인간의 지각능력과 방법
2. 지각의 이기(理氣)구조와 철학적 근거
3. 지각의 방법
4. 지각의 3층과 목표
제4장 율곡의 마음공부 이해
1. 마음공부의 가능성과 목적
2. 마음공부의 체계
3. 마음공부의 방법
1) 뜻을 세워라 -입지(立志)-
2) 이치를 탐구하라 -궁리(窮理)-
3) 뜻을 참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라 -성의정심(誠意正心)-
4) 기질을 고치라 -교기질(矯氣質)-
5) 경(敬)의 생활화 –거경(居敬)–
6) 힘써 행하라 -역행(力行)-
제5장 율곡의 가치론 이해
1. ‘이기지묘(理氣之妙)’의 가치론적 함의
2. 문(文)과 무(武)의 가치적 조화
3. 가치의 구경지(究竟地) –지선(至善)과 중(中)-
제3부 율곡의 경세학 이해
제1장 율곡의 역사인식과 개혁론
1. 16세기 후반의 역사인식과 우환의식
2. 나라와 백성을 위한 개혁
제2장 율곡 경세론의 철학적 기초
1. 실학의 선구적 담론 ‘무실론(務實論)’
2. 의리(義)와 실리(利)의 대동(大同)세계
3. 경세의 두 길 -양민(養民)과 교민(敎民)-
제3장 경세대안과 근대정신
1. 430여 년 전 이미 ‘국시(國是)’를 논하다
2. 말길(言路)이 열려야 나라가 흥한다
3. 국가의 원기(元氣) –사림(士林), 공론(公論), 기강(紀綱)-
4. 행정의 목적이 백성에 있다
5. 교육에 대한 담론
6. 십만양병론과 「육조계(六條啓)」의 국방대책
제4부 율곡의 학문적 특성과 자리매김
제1장 율곡의 학문적 특성
1. 균형적 사고와 조화적 가치관
2.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의 철학정신
3. 변하는 세계, 변화하는 인간, 창조적 사회
제2장 한국유학사에서 율곡의 자리매김
1. 기호학파, 율곡학파를 열다
2. 성리학과 실학의 길을 함께 걷다
3. 주자학을 계승하며 조선 성리학을 창신하다
부록 1 율곡어록
부록 2 율곡연보
부록 3 율곡 관련 저술과 논문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의 율곡학에 대한 일관된 입장은 이기지묘(理氣之妙)에 있다. 율곡의 세계를 보는 시선과 인간을 보는 눈은 이기지묘(理氣之妙)에 있다. 그리고 율곡이 추구한 이상의 세계도 가치도 이기지묘(理氣之妙)에 있다. 율곡은 이(理)와 기(氣)가 조화된 세상, 이(理)의 가치와 기(氣)의 가치가 조화된 삶을 이상으로 삼았다.
<이 책을 내면서>
진실로 나라에 편안하고 백성에게 이로우면 모두가 해야 할 일이요, 진실로 그 나라를 편안하게 할 수 없고 그 백성을 보호할 수 없다면 모두가 할 수 없는 일이다.
<율곡어록>
인군이 엄하지 않은 것을 걱정하지 말고 공평하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공평하면 밝고 밝으면 위엄이 그 가운데에 있다.
<율곡어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