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 성리학의 창신, 녹문 임성주의 학문과 사상

조선 성리학의 창신, 녹문 임성주의 학문과 사상

강순애, 곽신환, 김문준, 김인규, 김풍기, 박례경, 손흥철, 유원기, 황의동 (지은이)
책미래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 성리학의 창신, 녹문 임성주의 학문과 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 성리학의 창신, 녹문 임성주의 학문과 사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85134697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3-12-20

책 소개

18세기 조선의 진정한 유학자 녹문 임성주(1711~1788)를 학술적으로 심도 있게 조명한 전문적인 학술서이다. 녹문의 생애, 율곡성리학의 계승과 창신, 성리학적 위상, 심성론, 인물성동이론, 경학, 예학, 경세,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녹문의 생애, 사상, 인품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였다.

목차

녹문 임성주의 가계와 생애 (강순애)
녹문의 율곡성리학 계승과 창신 (황의동)
임녹문의 리기론과 성리학사상의 위상 재고 (손흥철)
녹문 임성주의 심성론과 인간 이해 (김문준)
녹문 임성주의 인물성동이론과 그 리기론적 토대 (유원기)
녹문 임성주의 경학연구와 학문 태도 (곽신환)
녹문 임성주 예학의 범주와 성격 (박례경)
임녹문의 현실인식과 경세사상 (김인규)
녹문 임성주의 근본주의적 재도론과 도학시의 세계 (김풍기)
녹문, 임윤지당, 운호 3남매의 우애와 학문 (손흥철)

•부 록1 : 녹문 임성주 선생 행장(行狀)
•부 록2 : 녹문 임성주 선생 연보(年譜)
•부 록3 : 녹문 임성주 선생 신도비문(神道碑文)
•부 록4 : 녹문 임성주 선생 연구목록

저자소개

강순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成均館大學校 圖書館學科에서 學士, 碩士를 거쳐 文學博士를 받았다. 國會圖書館, 國立中央圖書館에서 圖書館 및 古書實務를 담당하였으며, 成均館大, 同德女大, 漢城大의 文獻情報學科에서 강의를 하였다. 國家文化財非常任專門委員을 역임하였다. 현재 漢城大學校 知識情報學部 敎授이며, 인천광역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한국기록관리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 및 연구발표 <서지학개론>, <기록관리론>, <月印釋譜 卷25 硏究>, <고문헌의 조직과 정보활용>, <月印釋譜 卷20 硏究>, <大藏經의 世界> 등이 있으며, 최근에 발표된 논문으로는 <조선조 한글활자 판본을 통해본 활자주조법의 기술적 발전에 관한 고찰>, <한국 민간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 활용 방안>, <연세대 소장의 초참본 월인석보 권13.14 연구>, <역사자료 정보화 사업 중장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直指와 佛敎文化>, <새로 發見된 初本 月印釋譜 卷15에 관한 硏究>, <高麗大藏經校正別錄의 學術的 意義>, <大方廣佛華嚴經의 流通本에 대한 考察>, <새로 發見된 內醫院字本 諺解痘瘡集要에 관한 硏究>, <朝鮮朝 活字本系의 妙法蓮華經 板本에 관한 硏究>, <奎章閣의 圖書編撰·刊行 및 流通에 관한 硏究>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곽신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충북 옥천 출생으로, 대전고, 숭실대학교 철학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 논문 「주역의 자연관과 인간관」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2년부터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성리학, 주역철학, 중국철학사, 한국철학사 등 동아시아철학을 연구하며 강의하였고 2019년 가을 정년퇴임 후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파견교수, 대만 교육부 한학연구중심 초빙교수, 미국 뉴욕주립 버펄로대학 방문교수로 연구하였고, 숭실대학교에서 학생처장, 교무처장, 대학원장,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장을 역임하였다. 한중철학회회장, 주역학회회장, 율곡학회회장, 철학연구회회장을 역임하였고 주자학술상, 열암학술상, 율곡학술대상,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주요 저·역서로 『주역의 이해』(서광사, 1990), 『철학에의 초대』(서광사, 1992), 『중국철학의 정신』(서광사, 1993), 『직하철학』(철학과현실사, 1995), 『주자언론동이고』(소명출판, 2002), 『조선유학자의 지향과 갈등』(철학과현실사, 2005), 『태극해의』(소명출판, 2009), 『소강절의 선천 역학』(예문서원, 2012), 『우암 송시열』(서광사, 2012),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예문서원, 2014), 『윤산온-공의와 배려의 행로』(숭실대학교출판부, 2017), 『편하설-복음과 구원의 글로벌화』(숭실대학교출판부, 2017), 『주역의 지혜』(서광사, 2017), 『1583년의 율곡 이이』(서광사,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풍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났다.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고전문학사의 라이벌』(공저), 『선가귀감, 조선 불교의 탄생』, 『한시의 품격』, 『선물의 문화사』, 『한국 고전 소설의 매혹』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공역), 『옥루몽』 등이 있다.
펼치기
황의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세종시 연동면 명학리(황우재)에서 태어나, 대전 보문고,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충남대 대학원에서 율곡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청주대 철학과 교수로 10년간 재직하고, 1994년부터 충남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14년 정년퇴임하였다. 충남대 대학원장, 유학연구소장, 학생지원처장, 도서관장을 역임하고, 율곡학회 회장, 방촌황희선생사상연구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제4회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하였고, 현재 충남대 명예교수로 구봉문화학술원장을 맡고 있다. 율곡 성리학의 심층 연구와 현대적 해석에 많은 노력을 해 왔고, 한국유학사에서 우계학파의 위상과 그 의의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 성과를 보여주었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철학연구》, 경문사, 1987 《한국사상》, 청주대출판부, 1990 《한국의 유학사상》, 서광사, 1995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1(성리학편)》, 서광사,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2(경세 사상편)》, 서광사, 1998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 예문서원, 1999 《유교와 현대의 대화》, 예문서원,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 율곡 이이》, 예문서원, 2002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 서광사, 2004 《우계학파 연구》, 서광사, 2005 《율곡 이이》, 살림출판사, 2007 《기대승》, 성균관대출판부, 2008 《기호유학연구》, 서광사, 2009 《한국유학사상연구》, 서광사, 2011 《이율곡 읽기》, 세창미디어, 2013 《율곡에서 도산으로》, 충남대출판문화원, 2014 《역사의 도전과 한국유학의 대응》, 책미래, 2015 《사는 것도 모르면서 죽음을 어찌 아느냐》, 서광사, 2017 《조선 유교지식인의 꿈과 실천》, 책미래, 2020 《나라를 위하여, 백성을 위하여 -방촌 황희-》, 도서출판 보림, 2021 《황의동의 율곡철학연구》, 책미래, 2022
펼치기
유원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청남도 천안에서 출생했다. 서강대학교(BA,1990)를 졸업하고, 영국의 글래스고대학교(MPhil, 1994)와 브리스톨대학교(PhD,1999)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전공했으며, 고대 그리스 철학과 한국 철학의 비교 연구를 위해 성균관대학교(PhD,2011)에서 성리학 (퇴계와 율곡)을 전공했다. 특히, 자연과 인간의 구성과 본성을 밝히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행복의 조건을 묻다》(2009), 《조선 성리학 논쟁의 분석적 탐구-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론》(2018),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철학》(2023)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에 관하여》(2001), 플라톤의 《필레보스(또는 즐거움에 관하여)》(2013)와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향연》(2018) 등의 그리스어 원전 번역서를 비롯하여 우드필드의 《목적론》(2005), 암스트롱의 《어느 물질론자의 마음 이야기》(2015), 로위의 《플라톤의 철학》(2019), 콜링우드의 《자연이라는 개념》(2024) 등이 있으며, 동서양 철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펼치기
손흥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및 석·박사 학위를 받고 중국 南京大學 哲學系 방문학자를 지냈다. 안양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한국국제대학교 교수, 율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중국 국제유학연합회(ICA) 제6기 이사회 이사, 中國 河南省 國際河洛文化硏究會 해외이사로 있다. 저서 『鹿門 任聖周의 삶과 哲學』(서울, 지식산업사, 2004) 외 3권, 역서 『이정의 신유학』(徐遠和 著)(서울, 동과서, 2011) 논문 「다산 정약용의 性嗜好說과 그 논거분석」(다산학술문화재단, 《茶山學》4, 2003.06) 「Globalization, Ecofeminism and Im-Yunjidang’s Philosophy(A Comparative Study on East & West Feminist Philosophy)」(Journal of Philosophy and Religion. Asumtion University. 2005.06) 「北宋的改革思想管見」(中國 陝西省社會科學院, 《人文雜志》2007年第1期, 2007.01) 「明齋 尹拯의 實心 實學으로 본 公共幸福」(《南冥硏究論叢》19집. 2014, 03) 「栗谷의 經世論과 疏通의 정신」(율곡학회, 《율곡사상연구》27, 2013.12) 등 국내외 75여 편 발표
펼치기
박례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대진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전문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동아시아 고대 예제의 예경학적 기초와 정현 예학 및 삼례학에 대한 연구와 역주를 진행해왔다. 논저에 「조선시대 국장에서 조조의 설행 논의와 결과」,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 존존의 정당화 문제」,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적 맥락에 대한 성찰」, 『의례 역주(5)』(공역), 「정현 예학의 이론 구성적 성격-정현 삼례학과 고례의 재구성」, 『역주 주례주소(1)』(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경남 합천 출생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과 졸업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 수료(철학박사) 社團法人儒道會附設漢文硏修院수료 한국사상사학회 제2회 논문상 수상(1999년) 현 영산대학교 교수 <저서 및 논문> 저서:『한국철학사상사』(공저, 한울, 1997) 『한국실학사상사』(공저, 다운샘, 2000) 『논어의 종합적 고찰』(공저, 심산, 2003) 『민족주의의 장벽을 넘어』(공저, 성균관대출판부, 2005) 『홍대용 - 조선시대 최고의 과학사상가』(성균관대출판부, 2008) 『대학의 종합적 고찰』(공저, 심산, 2013) 역서:『 譯註槿域書畵徵』(공역, 시공사, 1998) 『유학 제3기 발전에 관한 전망』(공역, 아세아문화사, 2007) 논문:「北學思想硏究」(박사학위논문)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역사인식」 「淸雍正帝의 통치기반과 통치철학」 「조선 후기 실학파의‘民’에 대한 인식과 정치권력론의 새로운 지평 - 民本主義에 서 民權主義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김원행의 학문과 석실서원에서의 강학활동」 「조선 후기 노론 학맥의 분화와 그 세계관 - 18세기 호락학파의 형성과 현실인식을 중심으로」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녹문 임성주(任聖周)의 학문은 율곡(栗谷)의 리기지묘(理氣之妙)를 더욱 치밀하게 발전시킨 이론으로서, 조선성리학 6대가(六大家)의 위상을 지닌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조선성리학을 창신(創新)한 참된 유학자로 평가할 수 있다.
- 손흥철의 글 -


녹문의 학문은 육경(六經)에서 그 근본을 탐구하고, 사서(四書)에서 고찰하여 그 요지를 넓히고, 백가(百家)의 서적을 참고하여 그 동이(同異)를 정정(訂正)하는 등, 시비(是非)와 의리(義理)의 변론에 명확하였다. 곧 녹문은 수기치인(修己治人)과 성인(聖人)을 지향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의 군자행(君子行)에 매진하였던 학자였다.
- 손흥철의 글 -


녹문의 철학은 한마디로 일원적 묘의 철학이라고 보아진다. 그는 천인합일(天人合一), 리기동실(理氣同實), 심성일치(心性一致), 지행일치(知行一致) 등 인간과 세계의 인식에서 하나로 보려는 관점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 이것은 이미 16살 때 율곡의 천인합일에 큰 깨침을 얻었다는 것에서 연장선상이다.
- 황의동의 글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