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유학의 다양한 시선

조선유학의 다양한 시선

황의동 (지은이)
책미래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유학의 다양한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유학의 다양한 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85134734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4-04-25

책 소개

황의동(충남대) 교수가 조선유학을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한 연구서이다. 황교수는 그동안 율곡철학을 비롯해 조선유학 전반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해 왔다. 이 책은 지은이가 정년퇴직 후 발표한 논문과 기 발표된 글들을 모아 엮은 연구서이다.

목차

이 책을 내면서

제1부 조선유학의 파종(播種)과 深化
제1장 晦軒 安珦의 학문과 그 위상
제2장 一齋 李恒과 高峰 奇大升의 교유와 학문
제3장 退溪와 栗谷의 철학정신
제4장 牛溪 成渾의 德行과 尊崇
제5장 鹿門 任聖周의 栗谷性理學 계승과 創新

제2부 조선유학의 실천적 학풍
제1장 유교적 경세의 실천, 厖村 黃喜
제2장 율곡의 리더십과 務實論
제3장 默齋 李貴의 경세실천과 율곡철학의 계승

제3부 ‘향토유학’의 전개양상과 특성
제1장 상주유교문화와 중모(中牟)학풍
제2장 壬辰亂期 청주지역의 유학과 학맥
제3장 17세기 ‘대전유학’의 인문학적 탐구
제4장 21세기 洪州정신의 재조명
제5장 內浦儒學의 학맥과 특징
제6장 扶餘의 학맥과 유학
제7장 瑞山의 학맥과 학풍

저자소개

황의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세종시 연동면 명학리(황우재)에서 태어나, 대전 보문고,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충남대 대학원에서 율곡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청주대 철학과 교수로 10년간 재직하고, 1994년부터 충남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14년 정년퇴임하였다. 충남대 대학원장, 유학연구소장, 학생지원처장, 도서관장을 역임하고, 율곡학회 회장, 방촌황희선생사상연구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제4회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하였고, 현재 충남대 명예교수로 구봉문화학술원장을 맡고 있다. 율곡 성리학의 심층 연구와 현대적 해석에 많은 노력을 해 왔고, 한국유학사에서 우계학파의 위상과 그 의의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 성과를 보여주었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철학연구》, 경문사, 1987 《한국사상》, 청주대출판부, 1990 《한국의 유학사상》, 서광사, 1995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1(성리학편)》, 서광사,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2(경세 사상편)》, 서광사, 1998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 예문서원, 1999 《유교와 현대의 대화》, 예문서원,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 율곡 이이》, 예문서원, 2002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 서광사, 2004 《우계학파 연구》, 서광사, 2005 《율곡 이이》, 살림출판사, 2007 《기대승》, 성균관대출판부, 2008 《기호유학연구》, 서광사, 2009 《한국유학사상연구》, 서광사, 2011 《이율곡 읽기》, 세창미디어, 2013 《율곡에서 도산으로》, 충남대출판문화원, 2014 《역사의 도전과 한국유학의 대응》, 책미래, 2015 《사는 것도 모르면서 죽음을 어찌 아느냐》, 서광사, 2017 《조선 유교지식인의 꿈과 실천》, 책미래, 2020 《나라를 위하여, 백성을 위하여 -방촌 황희-》, 도서출판 보림, 2021 《황의동의 율곡철학연구》, 책미래, 2022
펼치기

책속에서

율곡의 誠은 宋學에 의해 實로 구체화되어 實理, 實心이 되고 實學의 논리로 발전한다. 율곡은 인간 주체의 진실한 마음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 實心이 사회적으로 확충되고 실현되어야 한다 하였다. 그리고 이 誠은 眞實이라는 윤리적 의미 말고도 實用, 實踐의 의미를 擔持하여 務實學風으로 나타났고, 17세기 이후 조선 후기 실학의 발흥에도 영향을 미쳤다.
- 퇴계와 율곡의 철학정신


李貴의 務實학풍과 경세경륜의 실천은 그의 말대로 그가 존경하고 배우고자 했던 율곡의 철학정신을 충실히 계승한 것이다. 율곡의 학문은 크게 보면 성리학과 경세학으로 대별된다. 이 둘을 함께 아울러야 진정한 의미에서 율곡학이 완성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金長生-宋時烈-權尙夏-韓元震으로 이어지는 율곡학파의 전통에서 務實학풍이나 경세론은 매우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율곡의 務實학풍과 경세론을 가장 충실히 계승 실천한 이가 바로 ‘默齋 李貴’라고 생각된다. 이귀의 학문적 위상이 새롭게 재평가되어야 할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 묵재 이귀의 경세실천과 율곡철학의 계승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