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85333168
· 쪽수 : 191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3
제1장 왜 우리는 ‘다문화를 두려워하는가 ·7
1. 들어가는 말 ·8
2. 다문화주의 연구에서 문화 개념의 활용 ·11
3.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주의 ·22
4. 도덕적 공황 상태 연구의 개념과 성격 ·26
5.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도덕적 공황 상태 연구의 양면성 ·30
6. 맺음말 ·42
제2장 우리의 삶은 어떻게 왜곡되어 있을까 ·45
1. 들어가는 말 ·46
2. 도덕적 공황 상태에 관한 두 가지 모델 ·48
3. 미디어에서 도덕적 공황 상태 생산의 양상 ·55
4. 도덕적 공황 상태에 대한 윤리문화적 접근의 가능성 ·60
5. 맺음말 ·68
제3장 서로 다른 윤리적 삶이 충돌할 때, 도덕윤리교육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71
1. 들어가는 말 ·72
2. 윤리문화의 유형들과 충돌 원인 ·73
3. 윤리문화의 충돌의 경험과 가능성 ·80
4. 윤리문화 충돌의 예방과 극복을 위한 윤리교육의 중요성 ·89
5. 맺음말 ·94
제4장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 통합은 불가능한 일인가 ·97
1. 들어가는 말 ·98
2.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적용 문제 ·100
3. 한국 사회의 다문화 충돌과 해결 가능성 ·108
4. 한국 다문화 구성원들의 사회통합적 전망 ·117
5. 맺음말 ·121
제5장 통합적 다문화 도덕윤리교육의 가능성 : ‘통일’의 가치 ·125
1. 들어가는 말 ·126
2. 문화 개념의 다문화별 적용과 한계 ·128
3. 단일민족 개념에서 한반도 통일의 가치와 정체성의 문제 ·132
4. 한반도 통일의 가치 확립을 위한 다문화 사회의 접근 방안 ·142
5. 맺음말 ·146
제6장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도덕윤리교육의 과제는 무엇인가 ·151
1. 들어가는 말 ·152
2장 한국 다문화 윤리교육의 내용과 실제 ·155
3. 다문화의 정체성과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 개념 ·163
4. 다문화의 도덕 ·윤리적 접점으로서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 ·168
5. 맺음말 ·174
참고문헌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