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용인(龍仁), 호는 도곡(陶谷)이다. 아버지 이세백(李世白)은 좌의정을 지냈으며, 본인도 형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했던 명재상이다. 숙종조부터 영조조까지 활약했던 노론계 인물로서 오랜 노소 대립과 갈등 속에서 파직, 삭직되는 등 몇 차례 고초를 겪기도 했으나 그때마다 쉽게 복직된 점이 눈길을 끈다. 정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때도 있었으나 생애 전반을 놓고 보면 비교적 안정적으로 등용·천거·임명되는 삶을 살았다고 하겠다. 이에 말년에는 노론의 영수로 추대되어 노론 정권 사상 최대의 참변이라 꼽히는 신임옥사(辛壬獄事)의 희생자들, 즉 노론 4대신(김창집·이이명·이건명·조태채)을 비롯한 수많은 노론계 인사들의 신원 및 복권을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학문과 문예에 큰 관심을 두어 문장으로도 이름이 있었으며 도서관을 방불케 할 정도의 수천 권 장서가로 유명하다. 자신이 보고 들은 모든 정보를 기록하고 정리하려는 벽(癖)이 있을 정도로 자료 수집 및 저술에도 몰두했던 면모가 있다. 청나라에 다녀와 쓴 연행기, 40세에 금강산을 여행하고 남긴 유람기가 제법 알려져 있으며 저서 《도곡집(陶谷集)》 32권이 있다.
펼치기
성백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5월 22일 충남(忠南) 예산(禮山) 출생.
아명(兒名)이자 자는 동영(東英), 호는 한송(寒松), 본관은 창녕(昌寧).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 수학.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 사사.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 수료,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실 전문위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사전편찬원,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군사연구소) 책임편찬원.
국방부 공로상 수상, 민족문화추진회 고전번역상 수상.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교수,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자 양성과정 강사,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및 사범대학 국사교육과 한문 지도(약 15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문화재 전문위원, 서울시청 쓴소리단 위원.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
현)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유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고문, 김해 월봉서원 원장.
펼치기
김창효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6년 전남 장흥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였다. 민족문화추진위원회 국역연수원 연수부 및 일반연구부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해동경사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