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 복지의 논의 : 쟁점, 과제 및 전망

교육 복지의 논의 : 쟁점, 과제 및 전망

박주호 (지은이)
박영스토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육 복지의 논의 : 쟁점, 과제 및 전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 복지의 논의 : 쟁점, 과제 및 전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85754093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14-12-15

목차

교육복지의 논쟁과 이론적 기초

제1장|교육복지의 등장과 개념적 쟁점
제2장|학교사회복지와의 관계 쟁점
제3장|보편적.선별적 교육복지 논쟁
제4장|교육복지의 철학적 토대 탐색

대상별 교육복지의 필요성과 추진 현황

제5장|저소득층에 대한 교육복지 서비스
제6장|다문화 자녀에 대한 교육복지 서비스
제7장|농어촌 지역에 대한 교육복지 서비스
제8장|학교 부적응자에 대한 교육복지 서비스

성공적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과제

제9장|교육복지에 대한 학교관계자의 인식 제고
제10장|교육 취약계층 학생의 특성 이해
제11장|교육복지 전달체계의 효율성 제고
제12장|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연계.협력 강화

교육복지 모형 탐색과 전망

제13장|복지국가 유형에 따른 교육복지의 제도적 모형
제14장|한국형 교육복지 모형 구축을 위한 제언

저자소개

박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미국 조지아대학교 석사 및 박사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및 행정학과 학사 교육부 지식정보정책과장, 학술진흥과장, 대학지원과장 제35회 행정고시 합격 저서 및 주요 학술논문 교육복지의 논의: 쟁점, 과제 및 전망(2014). 박영스토리(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Park, J. H., & Byun, S. (2021). Principal suppor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group-level teacher expectations.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32(1), 1-23. Park, J. H., Cooc, N., Lee, K. H. (2020 Online First).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influence in managerial and instruction related decision-making,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commitment: A multivariate multilevel model.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 Leadership. Kim, D. H., Lee, I. H., & Park, J. H.* (2019). Examining non-formal learners’ self -directed learning patterns in open educational resource repositories: A latent class approach.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50(6), 3420-3436. (*Corresponding author) Park, J. H., Lee, I. H., & Cooc, N. (2019). The role of school-level mechanisms: How principal suppor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group-level teacher expectations affect student achievem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55(5), 742-780. Park, J. H., & Lee, J. L. (2015). School-level determinants of teacher collegial interaction: evidence from lower secondary schools in England, Finland, South Korea, and the US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50, 24-35.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