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5769301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0-07-24
책 소개
목차
길라잡이 … 05
들어가며 … 11
1장 코로나
교육을 생각하다
전염의 시대 … 19
진화는 최적의 선택으로 … 23
21세기 교육을 생각하다 … 29
2장 변화
(1)한국부모
한국부모의 근심 … 39
한국교육의 기원 … 43
한국의 교육시스템 … 53
(2)다른 나라는?
다른 나라의 교육방식 … 61
유럽 3개국의 비교 … 67
(3)손흥민의 귀국
귀국의 안정감 … 81
아빠의 한마디 … 85
엠파시, 너무나 귀중한 말 … 91
3장 최적의 시대
(1)AI 시대의 교육
인공지능과 교육 … 103
AI 실용주의 시대 … 111
AI 시대, 학교의 역할 … 121
(2)고교학점제
뜨거운 고교학점제 … 131
새로운 시간표의 도전 … 141
수업만큼 휴식을 … 151
(3)교육전문대학원
새로운 교사양성기관의 탄생 … 159
교사가 되는 길 … 165
3인조 교사공동체 … 173
마치면서 … 179
보충설명 … 184
감사의 글 … 19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차 인공지능 시대의 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1997년 세계 체스 챔피언을 물리친 딥블루가 등장했고, 2016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알파고가 인간 이세돌을 격파하더니, 그다음 해 2017년에는 알파고제로가 나타나 알파고마저 물리쳐 버렸습니다. (...) 딥러닝의 기반은 데이터이고 인공지능은 데이터로 학습을 해 나가니, 인간이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데이터를 만드는 일을 한다면 살아남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21세기에 들어 코딩의 중요성과 창의성이 강조되는 이유입니다.
<인공지능과 교육>
학교는 기계가 사람보다 뛰어나게 잘하는 내용을 관습적으로 가르쳐서는 안 됩니다. 수십 년 전 계산기가 등장하자 계산이 중요했던 수학 교육은 추론이나 문제해결을 강조하는 쪽으로 변해 갔습니다. 인공지능 시대의 수학 교육은 어디로 가야 할까요? 이해를 실질적으로 적용하여 창의적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실질 이해력’을 향해가야 합니다. 그리고 다른 과목에도 이 원칙은 똑같이 적용됩니다.
<AI 시대, 학교의 역할>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미래지향적 답변은 많은 부분이 선생님의 가르치는 내용과 방식의 변화에 달려 있습니다. 선생님은 학생에게 인류의 지식유산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위의 많은 정보를 이용하여 학생 스스로 깨우쳐 앞으로 헤쳐 나가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 새로운 문제를 정의하고 새로운 해결법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선생님이 가르쳐야 할 우선순위로 올려야 할 것입니다
<AI 시대, 학교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