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85877297
· 쪽수 : 449쪽
· 출판일 : 2014-10-30
책 소개
목차
악도론(樂圖論)
권96 악도론(樂圖論)
서악(序樂), 원률(原律), 비수(備數), 심도(審度), 화성(和聲)
권97 악도론(樂圖論)
가량(嘉量), 권형(權衡), 누서(絫黍), 정척(定尺)
권98 악도론(樂圖論)
12율(十二律)/황종(黄鍾), 대려(大呂), 태주(太蔟), 협종(夾鍾), 고선(姑洗), 중려(仲呂)
권99 악도론(樂圖論)
12율(十二律)/유빈(蕤賓), 임종(林鍾), 이칙(夷則), 남려(南呂), 무역(無射),응종(應鍾)
권100 악도론(樂圖論)
12율(十二律)/총론(總論), 선궁(旋宮)
권101 악도론(樂圖論)
12율(十二律)/율려상생(律呂相生) 상(上), 율려상생(律呂相生) 중(中), 율려상생(律呂相生) 하(下), 율려자성(律呂子聲), 변사청(辨四清)
권102 악도론(樂圖論)
12율(十二律)/율려합음양성(律呂合陰陽聲), 율려변천지사방성(律呂辨天地四方聲),율려후기지법(律呂候氣之法), 율려응기지절(律呂應氣之節)
권103 악도론(樂圖論)
12율(十二律)/율려수도(律呂數度), 율려제량(律呂齊量), 율려위경(律呂圍徑), 율려청탁(律呂清濁)
권104 악도론(樂圖論)
12율(十二律)/율려청군성(律呂聽軍聲), 율려교육시(律呂敎六詩), 율려종팔풍(律呂從八風), 율려대합악(律呂大合樂)
권105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오성(五聲)/오성(五聲) 상(上), 오성(五聲) 중(中), 오성(五聲) 하(下), 삼궁무상(三宮無商)
권106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 상(上), 팔음(八音) 중(中), 팔음(八音) 하(下), 성음통론(聲音通論)
권107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오성(五聲)[궁(宮).상(商).각(角).치(徴).우(羽)], 변사성(辨四聲), 금사성(禁四聲), 명이변(明二變), 악덕(樂德), 악어(樂語)
권108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팔음위(八音位), 팔음차(八音次), 금(金), 석(石), 토(土), 혁(革), 사(絲), 포(匏), 죽(竹), 목(木)
권109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금지속(金之屬) 상(上)/종제(鐘制), 용(鏞), 박(鎛)[표(剽).잔(棧)]
권110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금지속(金之屬) 중(中)/편종(編鐘), 청종(青鐘).적종(赤鐘).황종(黄鐘).백종(白鐘).흑종(黒鐘), 화종(和鐘), 흔종(釁鐘), 명종(銘鐘), 종성(鐘聲) 상(上), 종성(鐘磬) 중(中), 종성(鐘聲) 하(下), 수(修)
권111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금지속(金之屬) 하(下)/사금통론(四金通論), 금순(金錞)[순우(錞于)], 금탁(金鐲)[금정(金鉦).정녕(丁寧)], 대금요(大金鐃).소금요(小金鐃)[소정(小鉦)], 금탁(金鐸), 목탁(木鐸)
권112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석지속(石之屬)/경제(磬制), 석경(石磬), 옥경(玉磬)[천구(天球)], 편경(編磬).이경(離磬)[효(毊)], 생경(笙磬).송경(頌磬)[가경(歌磬)], 건(寋)
권113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당상.당하악(堂上堂下樂) 상(上), 당상.당하악(堂上堂下樂) 하(下), 방중악(房中樂), 악현(樂縣) 상(上), 악현(樂縣) 중(中), 악현(樂縣) 하(下)
권114 악도론(樂圖論)
속부(俗部)/한.진.송.제(漢晉宋齊) 악현(樂縣), 양(梁) 악현(樂縣), 후위(後魏) 악현(樂縣), 북주(北周) 악현(樂縣), 수(隋)악현(樂縣), 당(唐) 악현(樂縣), 후주(後周) 악현(樂縣), 성조(聖朝) 악현(樂縣)
권115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토지속(土之屬)/토고(土鼓), 와고(瓦鼓), 고부(古缶),대훈(大塤:古塤).소훈(小塤), 아훈(雅塤).송훈(頌塤)
권116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혁지속(革之屬) 상(上)/부(拊), 족고(足鼓), 영고(楹鼓).건고(建鼓), 현고(縣鼓), 뇌고(靁鼓).뇌도(靁鼗).영고(靈鼓).영도(靈鼗).노고(路鼓).노도(路鼗), 기고(夔鼓)
권117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혁지속(革之屬) 중(中)/도(鼗)[마(麻).비(鞞).제(鞮)].요(料)[도(鞀)], 분고(鼖鼓), 고고(鼛鼓), 진고(晉鼓), 제고(提鼓), 대척(大鼜).중척(中鼜).소척(小鼜)
권118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혁지속(革之屬) 하(下)/고론(鼓論), 삭고(朔鼓)[인고(朄鼓)], 응고(應鼓), 비고(鼙鼓), 노고(魯鼓).설고(薛鼓), 악(咢)
권119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사지속(絲之屬) 상(上)/금슬(琴瑟) 상(上), 금슬(琴瑟)중(中), 금슬(琴瑟) 하(下), 대금(大琴).중금(中琴).소금(小琴), 차대금(次大琴), 아금(雅琴), 십이현금(十二絃琴), 양의금(兩儀琴)
권120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사지속(絲之屬) 하(下)/칠현금(七絃琴), 대슬(大瑟).중슬(中瑟).소슬(小瑟).차소슬(次小瑟), 송슬(煩瑟), 금조(琴操), 歩(보)
권121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죽지속(絲之屬) 상(上)/언소(䇾簫).효소(筊簫), 소소(韶簫), 통소(洞簫), 위약(葦籥).죽약(竹籥),빈약(豳籥), 산약(簅籥).중약(仲籥).약약(箹籥), 죽율(竹律)
권122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죽지속(絲之屬) 하(下)/관(管).열(篞).묘(篎), 도량관(都良管).반관(班管), 동관(彤管), 고죽관(孤竹管).손죽관(孫竹管).음죽관(陰竹管), 적(篴), 대지(大篪).소지(小篪).기(沂), 화(和), 탕(簜)
권123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포지속(匏之屬)/생(笙).소생(巢笙), 화생(和笙)[봉생(鳳笙)], 대우(大竽).소우(小竽), 황(簧)
권124 악도론(樂圖論)
아부(雅部)/팔음(八音)/목지속(木之屬)/축(柷)[강(椌).격(擊)].어(敔)[갈(楬).알(戛)].진(籈).지(止), 응(應), 종순(鐘筍).경순(磬筍). 종거(鐘簴).경거(磬簴), 논상(論上), 논하(論下), 치우(植羽).벽삽(璧翣).업(業), 숭아(崇牙), 종(樅)
부록
정오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