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상의 심리학

일상의 심리학

김영진 (지은이)
맵씨터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800원
1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상의 심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상의 심리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592317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6-11-20

책 소개

우리는 살아가며 다양한 심리 현상에 직면하게 된다. 누구라도 이러한 심리현상의 원인에 대해 궁금해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자신의 심리, 즉 마음 작용이 궁금하기도 하고, 사회생활을 하며 겪게 되는 여러 어려움이나 고통의 심리적 원인이 궁금하기도 하다.

목차

오른쪽 마음, 왼쪽 마음?
대뇌의 좌반구와 우반구: 심리적 기능 분화 19
대뇌 피질은 뇌량으로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작용한다분리된 뇌 환자의 실험좌반구와 우반구의 분화가 두 가지 다른 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행복한 얼굴 표정을 짓는 연습을 해보세요
정서의 표현 29
얼굴 표정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읽다행복해서 웃는 것일까 아니면 웃어서 행복한 것일까?

보는게 아니라 사실은 아는 것이다?
인간의 지각 37
눈으로 본다는 것착시효과

학습의 바탕은 서로 연결 짓기, 경험으로 생기는 마음의 변화
파블로프 조건화 44
조건반사와 학습한 번의 경험만으로도 혐오 학습이 이루어진다면역 체계도 학습이 된다

공부한 내용의 기억
어떻게 하면 기억을 잘할 수 있을까? 53
수동적인 저장을 넘어 능동적인 구성으로PQ4R 학습 방법인출 연습에 관한 실험

생각하고 궁리하는 사고 과정의 심리학
문제 해결 과정 61
문제의 기본 요소수단 목표 분석법유추법

언어를 통한 마음 탐구
아이들은 어떻게 언어를 습득하는가? 69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노출되는 언어 환경도 중요하다

개인차에 대한 이해와 측정
성격에 대한 평가 76
개인차 심리학, 성격5요인 성격 모형, Big Five

지적 능력의 개인차
지능에 대한 이해 83
지능 지수의 탄생지능의 본질

건강심리학
스트레스와 질병 91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 적응 반응스트레스와 면역 체계

정서 조절의 실패와 장애
우울증에 대한 이해 98
우울 경험의 긍정적 해석학습된 무기력 이론

행동주의 학습 이론의 적용
행동수정 104
행동수정 또는 행동치료체계적 둔감화 기법과 IT 기술의 접목

사회 상황에서의 마음 작용
귀인: 행동의 원인에 대한 추론 111
상황귀인과 성향귀인 그리고 공변모형귀인 오류와 편향

일관성을 추구하는 존재
인지부조화 이론 117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인지부조화, 페스팅거의 실험

마음에 대한 다양한 이해
심리학의 다양한 접근 125
상식 심리학과 과학 심리학심리학의 다양한 접근영향력 있는 심리학 접근?

마음의 뇌
전전두엽의 기능 133
게이지의 불행한 사고전전두엽의 발달 과정

빨리 배우는 사람
실패의 심리학 138
배우기의 심리신경학배움에 대한 생각

명상하는 마음
의식의 변화 144
명상이라는 의식 변화명상이 일으키는 변화

감각 경험은 어떻게 만들어 지나?
감각 경험 151
세상과 마음의 관계감각 경험을 결정하는 두 요인

사적이고 주관적인 의식 경험
잠과 꿈 158
잠과 꿈의 신경심리학꿈의 의미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 힘
동기부여의 심리학 166
동기의 내재적-외재적 차원배움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촉진하는 조건들

머릿속에 정보를 넣기
장기기억과 지식 표상의 종류 173
기억의 분류스스로도 자각하지 못하는 기억자각할 수 있는 기억

마음의 작용, 눈의 움직임
안구운동과 마음 182
눈은 마음의 창안구운동 추적 실험

공포를 경험하는 과정
편도체의 역할 189
편도체는 일종의 공포 탐지기짧은 순간에 이루어지는 판단

학습과학: 우리는 어떻게 배우는가?
배우고 가르치기의 과정 197
공부란 무엇일까?배우기와 가르치기의 세계깊이 있는 개념적 이해가 중요

배움과 가르침의 시작,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연결시키기
지식효과 204
지식효과배우고 가르치기의 출발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연결 짓기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집어넣고 꺼내기
기억술의 비밀 212
기억술의 기제장소법체제화의 원리

사려 깊은 연습을 통한 숙달
전문가와 초보자 223
잘 정리된 지식의미 있는 패턴을 읽어내기상황에 맞는 지식적응적인 전문성사려 깊은 훈련

배우기와 가르치기의 바탕이 되는 점검과 조절 과정
배움을 위한 메타인지란? 234
메타인지에 대한 비유메타인지를 어떻게?

생각하며 배우고 가르치기
메타인지 훈련하기 242
목표 설정과 계획모니터링과 점검자신에게 혹은 타인에게 설명해 보기강의를 메타인지 가르치며 하기숙제를 메타인지 가르치며 내기시험을 메타인지 가르치는 도구로 쓰기

왜 나이가 들수록 세월이 빨리 흘러가는 것처럼 느낄까?
시간과 기억 253
왜 우리는 나이가 들수록 세월이 빨리 흘러가는 것처럼 느낄까?시간이 빨리 지나가는 느낌, 나이 탓만은 아니다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 할까?
공부 방법 260
가장 효율적인 공부 방법?공부 방법에 관한 연구 결과

감정으로 물들인 바래지 않는 기억
정서와 기억 268
기분 일치 효과기분-상태 의존 기억정서의 표현 통제

비합리적 지연의 과정
미루기의 심리학 275
미루기는 나쁜 행동일까?미루기는 시간 관리의 실패?미루기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법

보는 것이 행동하는 것?
행동 유도성 282
행동 유도성인간과 사물의 상호작용지각이 곧 행위?

얼굴 알아보고 기억해내기
얼굴 지각과 기억 288
사람의 얼굴 잘 기억하나요?뇌에 들어 있는 얼굴 기억 장치여자가 남자보다 얼굴을 더 잘 기억한다

저자소개

김영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언어심리학 전공) 미국 켄트주립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Ph.D., 인지심리학 전공) 현재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빨리 배우는 사람
실패의 심리학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라는 말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이 말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 단순히 실패한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해, 주변에 실패한 사람들이 성공한 사람보다 많기에 하는 말일까? 아니면, 좀 더 세련되게 생각하여 실패를 하다 보면 확률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일까? 사실 우리는 이런 기대를 갖곤 한다. 도박장 슬롯머신에서 계속 돈을 잃으면서 왠지 대박의 찬스가 가까이 오고 있는 것처럼 느낀다. 하지만 이는 우리의 주관적인 확률 추정의 오류, 소위 말하는 도박꾼의 오류도박꾼의 오류다. “실패하기를 두려워하지 말고 과감히 연속해서 시도하라”라는 처세술적 충고에서도 실패하다 보면 언젠가는 성공하게 된다는 막연한 기대가 포함되어 있다. 이 두 가지가 이 격언의 진정한 의미가 아니라면 어떤 숨은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이번 글은 바로 이에 대한 탐색이다.

배우기의 심리신경학
심리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심리학에서 실험한다는 말을 이해하기 쉽지 않다. 물리, 화학 실험은 접해 봤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내적인 마음의 작용을 어떻게 실험할 것인가에 대한 감이 없기 때문이다. 심리학 실험심리학 실험의 정수를 간단히 설명하자. 마음은 자신의 모습을 그냥 보여주지 않는다. 그러기에 마음의 작용이 발현하도록, 즉 자신의 모습을 보여 주도록 하는 무엇이 필요한데, 이것이 실험 과제실험 과제(task)이다. 그리고 이 과제에 여러 비교 조건비교 조건을 만들어 어떤 반응 혹은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관찰, 기록하면 되는 것이고 이것이 바로 심리학 실험의 정수이다. 그래서 심리학에서는 여러 기발한 과제를 고안해 왔다. 물론 어떤 과제들은 아주 단순해 보일 수도 있다.
구체적 예를 들어 모서(Moser)와 동료 심리학자들이 사용한 다음의 과제를 보자. 사람들에게 컴퓨터 화면에 다섯 개로 이루어진 ‘MMMMM’이거나 ‘NNMNN’같은 글자를 보여주고 가운데 글자에 대해 마우스로 가능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독자들이 이미 알아챘듯이 전자는 양쪽 측면에 있는 글자가 가운데와 같으며 후자는 서로 다르다. 우선 양 측면 글자들을, 가운데 글자가 제시되기 전 35ms에 제시하고 나중에 가운데 글자가 제시된다. 그리고 모든 글자가 100ms 동안 화면에 남아 있다가 사라진다. 사람들은 마우스의 오른쪽을 ‘M’ 반응으로 왼쪽을 ‘N’으로 신속하게 반응해야 한다. 그리고 반응이 정확했는가를 알려준다. 비록 아주 단순해 보이지만 정확하고 신속하게 반응하려면 집중을 해야 한다. 그리고 실수를 유발하기 위해 총 480번을 시행하면서 때로 반대의 반응, 즉 왼쪽을 ‘M’ 반응으로 오른쪽을 ‘N’으로 반응하도록 바꾼다. 이 상황에서 반응 시간반응 시간, 정확한 반응의 수, 실험을 지속하면 변하는 반응 시간 등 여러 가지를 측정할 수 있다.
위의 연구자들은 이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면서 실험 대상자의 뇌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특히 이들은 실패 혹은 실수를 했을 경우에 일어나는 뇌파의 변화에 관심을 두었다. 이 방식을 보통 사건관련전위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라고 부르는데 비슷한 여러 연구를 통해 실수와 실패에 대한 두 가지 다른 뇌파 반응을 찾아냈다고 한다, 첫 번째는 실수-관련 부적전위실수-관련 부적전위(error-related negativity, ERN)로 실수반응 후 대략 50ms 이후에 일어나며, 두 번째는 실수 후 100-600ms 후에 나타나는 실수-정적전위실수-정적전위(error positivity, Pe)이다. 이 두 뇌파 반응은 모두 전측 대상회(anterior cingulate)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전자는 맞는 반응과 틀린 반응 사이의 갈등을 나타내며, 후자는 실수를 자각하고 주의를 더 기울이는 반응이라고 여기고 있다. 말하자면 큰 ERN과 Pe 반응 모두 실수 후 더 천천히 더 정확한 반응을 하려는 적응적인 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배움에 대한 생각
이야기를 진행시키기 전에 다음 문장에 ‘매우 동의하면 6점을, 전혀 동의하지 않으면 1점’을 주는 식으로 6점 척도상에서 응답해 보자.

1. 나의 지능은 나 자신도 바꿀 수 없는 아주 기본적인 무엇이라고 할 수 있다.
2. 나는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지만, 나 자신의 지적 능력을 변화시킬 수 없다.
3. 나 자신의 현재 지능과 관계없이, 나는 지능을 어느 정도 늘 변화시킬 수 있다.
4. 나는 나 자신의 지능을 상당히 변화시킬 수 있다.

심리학자인 캐롤 드웩(Dweck)과 동료들은 학업이나 직업적 성취에 인지적 능력이 아니라 학습과 지능에 대해 사람들이 갖고 있는 신념이 중요하다는 연구를 해왔다. 그리고 지능, 성격 등 심리적 특성이 불변이라고 믿는 사람들을 고정 마음가짐고정 마음가짐(fixed mind-set)으로, 지능은 변할 수 있고, 학습을 통해 발달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을 성장 마음가짐성장 마음가짐(growth mind-set)이라고 구분하였다. 말하자면, 이는 사람들이 지능에 관해 갖고 있는 암묵적인 이론암묵적인 이론(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TOI)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네 질문에서 처음 두 가지는 고정 마음가짐을, 나중 두 질문은 성장 마음가짐을 묻는 것이다. 독자 여러분들은 어떻게 응답했는지 확인하고 자신에게 어떤 마음가짐이 강한지 평가해보기 바란다. 이러한 구분은 단지 사람들의 특성을 나누는 것 이상의 시사점이 있다고 연구자들은 주장한다. 즉 우리들의 학습과 노력 등과 관련을 지울 수 있다. 특히 이 구분은 실패에 대한 서로 다른 대응을 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고정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은 실패를 어쩔 수 없는 자신의 능력 부족의 증거로 보고 자신이 실수한 과제에서 철수해 버린다. 자신의 부족함에 직면하지 않고 새로운 학습 기회를 포기하는 것이다. 하지만 성장 마음을 가진 사람들은 실패를 교육적인 기회로 받아들이고 실수에서 배우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지능도 노력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는 특성이기 때문이다. 실험 장면에서도 이를 관찰할 수 있을까?
다시 돌아가 앞에서 얘기했던 연구와 연결시키자. 심리학자 모서가 시도한 것은 바로 이 연결, 즉 뇌파 측정과 개인의 지능에 대한 마음가짐을 연결시키는 연구를 한 것이다. 아래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성장 마음가짐이 높을수록 실수정적전위(Pe)의 증가, 즉 어두운 검은색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TOI 숫자가 높을수록 Pe 반응이 증가하는 관련성을 그래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성장 마음가짐이 높은 사람들이 고정 마음가짐을 갖고 있는 사람에 비해 실수 후 훨씬 높은 정확성을 보인 결과를 얻었다. 즉 이들은 실수를 자각하고 더 주의를 기울여 좋은 수행으로 연결하는, 즉 실패에서 배워 성공으로 가는 길을 만든 것이다.

실패의 심리학 이미지 1
물리학자 보어는 전문가를 “아주 작은 영역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실수를 한 사람”이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계속 실패하며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른가를 배워가는 것이 전문가이며, 또한 빨리 배우는 사람의 특징이라는 점을 역설하는 것이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표현은 실패를 통해, 실패에서 배워 가는 과정의 당연한 귀결이 성공이라는 뜻인 것이다. 성장 가능성을 믿고, 실패에 직면해 다시 실패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배우는 과정’이 성공의 요건이 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