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599221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6-06-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 아이들의 올바른 성장을 돕는 평가를 위하여
1장 | 우리 교육의 현주소
우리 교육의 현황과 과제
성적 때문에 스트레스받는 아이들
PISA를 통해서 본 우리 교육의 단면
삶의 만족도와 행복
2장 | 평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평가, 무엇이 문제인가?
평가는 관행이 아니라 교육의 본질이다
평가에 대한 오해
평가의 본질은 무엇인가?
평가에도 철학이 필요하다
평가혁신의 발자취
앞으로의 평가 방향
3장 | 학교 현장에서의 평가 들여다보기
선배 교사가 후배 교사에게
연구부장은 힘들다
평가만 하라면 하겠다
평가 컨설턴트가 본 현장 평가
시험 범위가 아니라 성취기준이다
4장 | 평가 파헤치기
목적에 따른 평가 분류 -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일제식 정시평가 vs 교사별 상시평가
지필평가 vs 수행평가
상대평가 vs 절대평가
성취평가제 이해하기
정의적 능력 평가
협력적 문제해결능력 평가
5장 | 평가 전문성 따라잡기
평가에도 전문성이 필요하다
평가방법 선정 능력
평가도구 개발 능력
평가실시 및 채점, 성적부여 능력
평가결과 활용 능력 - 피드백
평가 윤리성 인식 능력
6장 | 평가에도 룰이 있다
교육부 훈령
시·도교육청 학업성적관리 시행지침
학교 학업성적관리규정
학교 학업성적관리위원회
훈령의 개정이 가져온 파장
국가교육과정이 제시한 평가
7장 | 학급평가계획 세우기
학급 평가계획서의 의미
만들어가는 교육과정과 평가계획서
성취기준-교수학습-평가의 관계 이해하기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평가계획 수립하기
8장 | 수행평가의 두 얼굴
수행평가의 시작
교실 속의 수행평가
연구부장의 수행평가 제작 지침
좋은 수행평가문항의 조건
수행평가에서 유의할 점
수행평가 평가기준표 만들기
수행평가문항 개발 절차
교실 속의 수행평가방법 1 - 기록 방법에 따른 분류
교실 속의 수행평가방법 2 - 평가자에 따른 분류
교실 속의 수행평가방법 3 - 평가 장면에 따른 분류
9장 | 논술형 문항 개발을 위한 노하우
왜 논술형 평가인가?
좋은 논술형 문항의 조건
문항 출제자의 조건
논술형 평가의 장단점과 문항구조
논술형 문항의 개발 절차
평가문항 실제 개발하기
문항 출제를 위한 교과목 이해
채점 절차와 방법
10장 | 평가결과의 입력과 통보
NEIS에 평가결과 입력하기
가정통지표 만들기
성장참조형 통지표
NEIS의 변신을 기대한다
11장 | 참된 평가를 위한 제언
형성평가의 재조명이 필요하다
평가문항의 변화가 필요하다
점수를 통한 피드백은 이제 그만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가 필요하다
교대 커리큘럼의 변화가 필요하다
연수의 질적 강화도 방법이다
교사의 평가권을 보장해야 한다
재평가도 중요하다
12장 | 교사가 묻고 교사가 답하다
에필로그_ 평가는 학생과 교사를 성장시키고 수업을 변화시킨다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우리나라 교육의 많고 많은 문제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은 단연 사교육비 지출이라고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