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602773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03-03
책 소개
목차
알프레드 아들러 어록
첫머리에 | 심리학 ‘최후의 거인’ - 그 실상에 대하여
Chapter 1 아들러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 아들러 심리학의 기본 태도란?
2 ‘용기의 심리학’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3 개인심리학의 아버지 아들러의 생애
4 아들러와 같은 시대를 산 사람들
5 아들러 심리학과 드러커 이론의 공통점
6『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이 아들러 심리학에서 받은 영향
〈칼럼〉 아들러의 아내 라이사
Chapter 2 아들러 심리학의 키워드‘ 열등감’
1 아들러는 왜 ‘열등감’에 주목하였나
2 아들러 심리학에서 ‘열등감’의 중요성은 어디에 있는가
3 열등감이 개인에게 작용하는 역할
4 열등감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하면 어떻게 되나
5 우월감 콤플렉스와 열등감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6 열등감 콤플렉스에 빠지지 않으려면
〈칼럼〉 프로이트가 보낸 초청장
Chapter 3 인간의 사는 방식을 결정하는‘ 생활양식’
1 아들러 심리학이 중시하는 목적론의 특징은 무엇인가
2 고유의 목표나 생활양식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3 응석받이로 자란 사람의 생활양식
4 자신의 생활양식을 직시하고 바로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5 잘못된 생활양식은 고칠 수 있을까
6 생활양식의 수정을 저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7 우리들의 사는 방식은 트라우마에 따라 결정되는가
〈칼럼〉 아들러의 초기 회상
Chapter 4 아들러가 제창한‘ 공동체 감각’이란 무엇인가
1 ‘공유지의 비극’에서 파탄을 맞는 사회를 생각해 보자
2 아들러가 제창한 ‘공동체 감각’의 의미
3 아들러가 분류한 4가지 성격
4 ‘사회에 유용한 사람’이 되기 위한 구체적 행동
5 상대방을 더없이 소중한 동료로 삼기 위해서
6 어떻게 공동체의 이익에 공헌할 것인가
7 이기적인 경영자가 어떻게 인간답게 변했나
〈칼럼〉 공동체 감각에 놀란 사람들
Chapter 5 우리가 몰두해야 할 인생의 세 가지 과제
1 살아가면서 몰두해야 할 과제
2 사회와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
3 친구를 만들기 위한 비장의 방법
4 어떤 식으로 일과 관계를 맺을 것인가
5 경제학에서 주장하는 비교 우위는 정말 올바른가
6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7 왜 파트너와의 사랑에 공동체 감각이 필요할까
〈칼럼〉 어린이를 잘 다루었던 아들러
Chapter 6 오늘을 살아가는 무기‘, 용기의 심리학’
1 아들러가 채택한 심리요법
2 아들러가 사용한 용기 부여란
3 응석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자연스러운 결말’이란
4 용기를 꺾는 유형
5 스스로에게 용기를 불어넣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6 요컨대 인생의 의미란 무엇인가?
7 아들러 심리학으로 ‘지구인’이 돼라
〈칼럼〉 아들러와 니진스키
* 맺는 말 - 이 시대, 아들러가 인기를 끄는 까닭
리뷰
책속에서
아들러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사람은 공통적으로 열등감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들은 그 열등감을 해소하기 위해 자신을 개선해 가는 존재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를테면 사람은 열등감을 느끼게 됨으로써 ‘부정적으로 느끼는’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느끼는’ 상황으로 자신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열등감을 갖는다는 것은 반드시 나쁜 일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자신을 개선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열등감은 한 사람 인생의 악역이 아니라 오히려 선한 역할을 한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아들러는 왜 열등감에 주목했나 中
우리들은 뭔가를 실패하면 “또 일을 저질렀네. 나는 왜 맨날 이 모양일까? 정말이지 뭐 하나 제대로 하는 게 없네!” 하고 자학적 태도를 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나의 실패로 열 가지의 실패를 미리 단정 짓는 태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이 계속되면 열등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게 되고, 행동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는 극히 비관적인 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서 낙관적인 사람은 어떤 일에 성공을 거두면, 그 원인을 내적(내가 잘해서야), 항시적(언제나 잘해서)이고, 전체적인(뭐든지 다 잘해서) 것으로 귀속시키려는 경향이 있고 실패를 하게 되면, 그 원인을 외적(내 잘못이 아니다)이고, 일시적(이번만)이고, 예외적인(이런
종류의 일만) 것으로 귀속시키려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성공을 하면 그 원인을 내적 요인(자신의 탓)으로, 실패하면 외적 요인(남이나 환경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너무 적당주의(편의주의)적 행위로 보입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는 낙관적 경향을 가지는 것이 열등감에 발목을 잡히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는 점은 틀림없습니다.
-열등감 콤플렉스에 빠지지 않으려면 中
공동체 감각을 알기 쉽게 말하면 사람이 전체의 일부라는 것, 전체와 함께 살아가는 일을 실감하는 것입니다. 공동체 감각의 의미를 보다 쉽게 알려면, 역으로 공동체 감각이 결여된 상태를 고찰해 보면 좋을 것입니다. 그것은 사적 논리에 근거한 태도입니다.
‘그들이 목표를 달성했을 때 그들 외에는 누구도 이익을 볼 수 없고, 그들의 관심은 오직 자신에게밖에 가닿지 않는다. 그가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목표는 허구의 개인적 우월에 지나지 않고, 그들의 승리는 자신에게 있어서만 뭔가 의미 있는 것에 불과하다『(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것이 공동체 감각이 결여된 사적 논리에 따른 태도입니다. 공동체에서 살아가는 자가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고 남에게서 얻을 것만을 생각한다면, 그리고 그 같은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이 늘어나면 앞서 살펴본 ‘공유지의 비극’에서처럼 공동체를 유지하는 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 따라서 공동체 감각을 얻기 위해서는 남들도 마찬가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할 것, 즉 사적 논리에 대칭되는 상식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공동체에 공헌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한 요건이 됩니다.
-아들러가 제창한 ‘공동체 감각’의 의미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