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자유주의의 부상과 미래

신자유주의의 부상과 미래

데이빗 코츠 (지은이), 곽세호 (옮긴이)
나름북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자유주의의 부상과 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자유주의의 부상과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91186036440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8-10-18

책 소개

'사회적 축적 구조론'의 관점에서 현재의 지배적 경제체제인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탄생하고, 작동했는지를 구체적 경제 데이터를 토대로 밀도 있게 분석한다.

목차

데이터 및 그 출처 _ 6
그림 및 표 일람 _ 7

한국어판 서문 _ 10
서문 _ 14
감사의 글 _ 19

1. 들어가기 _ 21
2. 신자유주의란 무엇인가 _ 33
3.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등장 _ 95
4.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어떻게 작동했는가 _ 161
5. 위기 _ 227
6. 역사적 시사점 _ 317
7. 미래의 경로 _ 347

해설 _ 장시복(목포대학교 경제학과)
: 사회적 축적 구조 이론과 신자유주의의 흥망성쇠 _ 386

옮긴이의 글 _ 396

참고 문헌 _ 400
찾아보기 _ 414

저자소개

데이빗 코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예일대에서 경제학 석사를, U.C.버클리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의 대표적인 원로 좌파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사회적 축적 구조 이론(SSA)에 근거해 자본주의 체제의 공황과 제도적 재편을 연구했다. 또한 구 공산권 국가들의 자본주의 체제 이행 문제에 대해서도 보수적인 주류 경제학계와 날카롭게 대립하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좌파 경제학과 중 하나인 매사추세츠주립대 경제학과(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학과장으로 20년간 대학원 과정을 이끌었고 현재는 동 대학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상하이재경대학(Shangai University of Finance and Economics) 정치경제학 공동 학과장 및 특훈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 《고르바초프부터 푸틴까지: 소련 체제의 몰락과 신 러시아 (Russia's Path from Gorbachev to Putin: The Demise of the Soviet System and the New Russia)》, 《미국에서의 은행의 대기업 통제(Bank Control of Large Corporations in the United States)》 등이 있으며, 공황론, 사회적 축적 구조론, 체제 이행론 및 대안 체제 분야에 걸쳐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펼치기
곽세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수학 석사를 마쳤다. 현재 미국 매사추세츠 주립대 경제학과에서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고, 셰클(G. L. S. Shackle), 스라파(P. Sraffa)와 같은 비주류 전통의 경제학자들의 이론을 주류 경제학의 의사 결정 이론과 일반균형이론의 방법론을 통해 연구하고 있다. 특정 경제학파나 도그마의 조류에 속하기보다 외부에서 그 방법론적 차이를 바라보는 관점을 취하려 노력 중이다. 자본주의를 기술하는 사회적 축적 구조론 특유의 방식과 그것이 갖는 장기적인 정치적 함의에 대해서도 방법론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 규제 자본주의는 대체로 1940년대 말부터 시작해 1970년대 말까지 지속한 것으로 간주하고,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1980년대 초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지속된 것으로 본다. 다수의 데이터를 통해 판단할 때, 미국의 규제 자본주의 형태는 1966년부터 이윤율이 하락하기 시작해, 대체로 1973년 무렵부터 그 효율적 작동을 멈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기 정점을 기준으로, 1948년부터 1973년이 규제 자본주의 시스템이 제대로 기능하던 시기이고, 1973년부터 1979년이 규제 자본주의의 구조적 위기의 시기라고 규정할 수 있다.


많은 개도국의 경우 규제 자본주의는 흔히 ‘발전 국가(developmental state)’ 형태를 띠었는데, 정부를 장악한 집단은 국가 권력을 급속한 경제 발전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다. … 1980년대까지도 한국을 비롯한 몇몇 아시아 국가들이 발전 국가 체제를 고수했지만,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부터는 기존까지 발전 국가 체제를 고수하던 몇몇 국가마저 심대한 신자유주의적 재편을 겪어야만 했다. 중국의 경우는 1978년 중앙 계획경제와 국유 기업에 기반을 둔 경제체제에서 이탈해 사기업과 국유 기업, 시장과 계획이 혼합된 발전 국가 체제를 도입했다.


신자유주의는 1960년대 후반 사상계에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해, 1970년대에 걸쳐 점차 세를 불렸다. 새로운 버전의 자유 시장 경제학의 갑작스러운 출현과 확산은 당시의 대표적인 경제학자들에게 지극히 이례적이고 불가해한 현상으로 보였다. 1970년대 말에 이르면 이 새로운 자유 시장 경제학은 강단의 젊은 세대 경제학자들의 지지에 힘입어 기존의 주류 케인스 경제학을 점차 밀어붙이기 시작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